본문으로 이동

최강야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강야구15세 이상 시청가
장르 예능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JTBC
방송 기간 1기 : 2022년 6월 6일 ~ 2023년 2월 20일
2기 : 2023년 4월 10일 ~ 2024년 1월 22일
3기 : 2024년 4월 15일 ~ 2025년 2월 10일
4기 : 2025년 9월22일~ 현재
방송 시간 매주 월요일 밤 10시 30분 ~ 12시 50분
방송 시즌 4
방송 횟수 125회 (2025년11월10일기준)
출연자
음성 1채널 모노 사운드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데이터 방송 SD 제작 ·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최강야구》는 JTBC의 야구 전문 예능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

[편집]

레전드 프로야구 은퇴 선수들이 세상에 없던 원 팀이 되어 돌아왔다! 자신의 한계를 부수고 세상의 편견을 부술 양보 없는 승부를 펼친다! <최강야구>는 멈추지 않는다.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이다

방송 일정

[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JTBC 2022년 6월 6일 ~ 2023년 2월 13일 매주 월요일 밤 10시 30분 ~ 12시 40분
2023년 2월 20일 매주 월요일 밤 10시 30분 ~ 11시 40분 최강야구 골든글러브 어워즈
2023년 4월 10일 ~ 2024년 1월 22일 매주 월요일 밤 10시 30분 ~ 12시 50분
2024년 4월 15일 ~ 2025년 2월 10일 매주 월요일 밤 10시 30분 ~ 12시 50분
2025년9월22일 ~현재 매주 월요일 밤 10시 30분 ~ 12시 50분 최강 몬스터즈와 달리 팀명 앞에 '최강'이 붙지 않는데, 공식 보도 자료에서도 '최강 브레이커스'라는 명칭은 단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2025 시즌의 목표가 아마추어 아구 최강 3팀과의 컵 대회에서 우승하여 '최강'이라는 칭호를 획득하는 것이기 때문.

주연 구단

[편집]

상대팀

[편집]

2022년

[편집]

2023년

[편집]

2024년

[편집]

시청률

[편집]

2022년

[편집]
최저 시청률 최고 시청률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시청률 비고
대한민국 (전국) 대한민국 (수도권)
1 6월 6일 2.6% 2.8%
2 6월 13일 2.5% 2.9%
3 6월 20일 2.4% 3.1%
4 6월 27일 2.2% -
5 7월 4일 2.6% 3.3%
6 7월 11일 2.4% 2.6%
7 7월 18일 2.1% 2.6%
8 7월 25일 2.3% 2.6%
9 8월 1일 2.3% 2.6%
10 8월 8일 1.9% 중간부터 수도권에 내린 기록적인 폭우로 인해 뉴스특보가 긴급 방송됨에 따라 11시 30분쯤부터 1시간 가까이 방송이 중단, 원래라면 방송이 끝나는 시간인 새벽 12시 30분쯤에 나머지 1시간 분량이 다시 방송되어서 새벽 1시 30분쯤에 방송이 끝났다.
11 8월 15일 2.2% 2.6%
12 8월 22일 2.5% 3.2%
13 8월 29일 2.2% 2.6%
14 9월 12일 2.1% 2.7%
15 9월 19일 2.1% 2.3%
16 9월 26일 3.0% 3.3%
17 10월 3일 2.7% 3.2%
18 10월 10일 2.3% 2.8%
19 10월 17일 2.4% 2.8%
20 10월 24일 2.3% 3.0%
21 11월 7일 1.8% 2.2%
22 11월 14일 1.9% 2.5%
23 11월 21일 1.7% 2.3%
24 12월 5일 1.6% -
25 12월 12일 1.7% -
26 12월 19일 2.0% -
27 12월 26일 1.6% -

2023년

[편집]
최저 시청률 최고 시청률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시청률 비고
대한민국 (전국) 대한민국 (수도권)
28 1월 2일 1.9% -
29 1월 9일 3.1% 3.5%
30 1월 16일 2.5% 2.9%
31 1월 23일 2.5% 2.9%
32 1월 30일 2.6% 3.1%
33 2월 6일 2.9% 3.5%
34 2월 13일 3.0% 3.6%
35 4월 10일 2.7% 3.1%
36 4월 17일 2.9% 3.4%
37 4월 24일 3.4% 3.9%
38 5월 10일 3.0% 3.5%
39 5월 8일 3.3% 3.4%
40 5월 15일 3.0% 3.5%
41 5월 22일 2.7% 3.0%
42 5월 29일 3.3% 3.7%
43 6월 5일 3.2% 3.8%
44 6월 12일 2.8% 3.3%
45 6월 19일 2.8% 3.5%
46 6월 26일 3.3% 3.6%
47 7월 3일 3.0% 3.5%
48 7월 10일 2.9% 3.2%
49 7월 17일 3.3% 3.7%
50 7월 24일 3.2% 3.7%
51 7월 31일 2.6% 2.6%
52 8월 7일 2.9% 3.1%
53 8월 14일 3.3% 3.8%
54 8월 21일 3.0% 3.1%
55 8월 28일 3.2% 3.5%
56 9월 4일 2.8% 3.2%
57 9월 11일 2.7% 3.0%
58 9월 18일 2.7% 3.0%
59 9월 25일 2.7% 3.0%
60 10월 2일 3.0% 3.7%
61 10월 9일 2.5% 3.7%
62 10월 16일 2.4% 2.7%
63 10월 23일 3.2% 3.0%
64 10월 30일 2.5% 2.8%
65 11월 6일 2.8% 3.1%
66 11월 13일 2.5% 2.8%
67 11월 20일 2.6% 2.7%
68 11월 27일 2.8% 3.0%
69 12월 4일 2.7% 2.5%
70 12월 11일 2.9% 2.8%
71 12월 18일 2.7% -
72 12월 25일 3.3% -

2024년

[편집]
최저 시청률 최고 시청률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시청률 비고
대한민국 (전국) 대한민국 (수도권)
73 1월 1일 3.1% 3.2%
74 1월 8일 3.6% 3.7%
75 1월 15일 3.2% 3.2%
76 1월 22일 2.7% -
77 4월 15일 2.5% 2.6%
78 4월 22일 2.7% 2.8%
79 4월 29일 3.4% 3.6%
80 5월 6일 3.5% 3.7%
81 5월 13일 3.6% 4.3%
82 5월 20일 3.5% 4.0%
83 5월 27일 3.9% 4.3%
84 6월 3일 3.2% 3.5%
85 6월 10일 3.1% 3.6%
86 6월 17일 3.3% 3.9%
87 6월 24일 3.5% 4.4%
88 7월 1일 3.5% 3.7%
89 7월 8일 3.5% 3.8%
90 7월 15일 3.3% 3.2%
91 7월 22일 3.2% 3.7%
92 7월 29일 3.0% 3.4%
93 8월 5일 3.2% 3.4%
94 8월 12일 2.9% 3.3%
95 8월 19일 3.0% 3.3%
96 8월 26일 3.2% 3.7%
97 9월 2일 2.8% 3.0%
98 9월 9일 3.1% 3.2%
99 9월 23일 2.4% 2.9%
100 9월 30일 2.9% 3.3%
101 10월 7일 2.7% 2.9%
102 10월 14일 2.2% 2.3%
103 10월 21일 2.4% 2.6%
104 10월 28일 2.4% 2.6%
105 11월 4일 2.2% 2.4%
106 11월 11일 2.2% 2.5%
107 11월 18일 2.4% 2.9%
108 11월 25일 3.0% 2.7%
109 12월 2일 2.8% 2.8%
110 12월 9일 2.4% 2.4%
111 12월 16일 3.0% 3.4%
112 12월 23일 2.5% 2.6%
113 1월 6일 2.3% -
114 1월 13일 2.4% 2.3%
115 1월 20일 2.7% 2.7%
116 1월 27일 2.5% -
117 2월 3일 2.8% 2.8%
118 2월 10일 2.4% -

2025년

[편집]

최강야구 출연 선수 프로 입단

[편집]

2022년 시즌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출연팀 출연선수 입단팀 비고
최강몬스터즈 한경빈 한화
윤준호 두산
류현인 kt
박찬희 NC 은퇴
덕수고등학교 이승원 키움
심준석 피츠버그
이선우 롯데
백준서 SSG
김재형 삼성
충암고등학교 윤영철 기아
김동헌 키움
이태연 롯데
우승원 키움
변건우 SSG
동의대학교 강준서 삼성
이준명 kt
최윤서
백두산 롯데
북일고등학교 최준호 두산
문현빈 한화
장우진 두산
김민준 SSG
이승현 kt
경남고등학교 신영우 NC
김범석 LG
김정민 SSG
박윤성 키움
손민석 kt
U-18 국가대표 팀 김서현 한화
김민석 롯데
김정운 kt
이진하 롯데
박한결 NC
송영진 SSG
정준영 kt
서현원 삼성
박명근 LG
김재상 삼성
정대선 롯데
박태완 kt
성남 맥파이스 국해성 성남 맥파이스 재입단
신우재 한화
연천 미라클 박영빈 NC 재입단
인하대학교 정현승 SSG
조준혁 롯데
원광대학교 이동관 kt
김선동 한화

2023년 시즌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출연팀 출연선수 입단팀 비고
최강몬스터즈 정현수 롯데
황영묵 한화
고영우 키움
김민주 기아
원성준 키움
최강몬스터즈(트라이아웃) 김태호 NC
신효수 키움
이근혁 kt
이현민
이현준 삼성
휘문고등학교 김휘건 NC
이승민 SSG
정안석 한화
박성준 롯데
안우진
김종우 LG
장충고등학교 황준서 한화
육선엽 삼성
김윤하 키움
조동욱 한화
원종해 NC
권현 한화
류현준 두산
마산용마고등학교 장현석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손율기 두산
성균관대학교 심규빈 LG
경북고등학교 전미르 롯데
임종성 두산
김세훈 NC
이승현 한화
김준원 NC
충암고등학교 조현민
박채울 키움
변건우 SSG
부산고등학교 원상현 kt
성영탁 기아
독립리그 올스타 김지현 SS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손용준 LG
김주훈 키움
김민재 기아
동국대학교 정준재 SSG
최준서 한화
이재호 삼성
U-18 국가대표 팀 김택연 두산
조대현 기아
박지환 SSG
여동건 두산
임상현 NC
이상준 기아
박기호 SSG
한일장신대학교 이근혁 kt
군산상일고등학교 정민성 삼성
강민제 기아
박승호 키움
중앙대학교 강동훈 기아
강릉영동대학교 전다민 두산
김동현 삼성 육성선수
양도근

2024년 시즌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출연팀 출연선수 입단팀 비고
최강몬스터즈 유태웅 롯데 육성선수
최강몬스터즈(트라이아웃) 송은범 삼성 재입단
동의대학교 박부성 한화 육성선수
장충고등학교 김재원 kt
한승현 롯데
조창연 NC
고려대학교 박건우 롯데 육성선수
대구고등학교 배찬승 삼성
양현종 키움
권혁빈
강릉영동대학교 최건희 기아
장창훈 NC
박연준 두산 육성선수
이상화 롯데
박준기
최윤혁 NC

중계진

[편집]

결방 및 편성 변경

[편집]
2022년

수상 목록

[편집]
  • 2024년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스포츠예능프로그램 부문 수상

편성 문제

[편집]

JTBC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 《최강야구》와, 전 제작진 일부가 새롭게 제작한 《불꽃야구》 사이에서 저작권 및 포맷 침해 논란이 제기되었다. 이 사안은 방송 프로그램의 포맷 보호와 창작물의 권리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방송계 전반에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최강야구》는 JTBC에서 시즌 1부터 3까지 방영된 야구 예능 프로그램으로, 실제 전·현직 프로야구 선수들이 출연하여 아마추어 팀과 경기를 펼치는 리얼리티 형식을 취하였다. 이후 제작사 스튜디오C1과 연출자 장시원 PD가 JTBC와의 제작비 및 계약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을 겪은 후, 일부 출연진을 중심으로 유사한 구성의 신작 《불꽃야구》를 독자 제작하였다.

이에 JTBC는 《불꽃야구》가 《최강야구》의 포맷과 구성, 출연진 구성을 사실상 동일하게 차용하였다고 주장하며, 스튜디오C1 및 장시원 PD를 상대로 저작권법·상표법 위반 및 업무상 배임 혐의로 형사 고소를 제기하였다. 또한 JTBC 측의 저작권 침해 신고로 인해 《불꽃야구》 관련 영상이 유튜브 등 플랫폼에서 비공개 처리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였다.

참고 사항

[편집]
  • 장시원 PD가 채널A를 퇴사한 이후 JTBC로 이적하여 선보인 첫 번째 예능 프로그램이다.
  •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약 2%대에 머물렀으나, 시청자들로부터 높은 호평을 받았다.
  • 시즌의 명칭은 단순한 넘버링 방식이 아닌, 실제 프로야구와 동일하게 연도별 시즌제로 운영된다.
  • 《최강야구》 시즌 종료 이후 일정 기간 동안 공백 편성이 이루어졌으며, 2025년 2월 17일부터 9월 15일까지 공백 상태가 지속되었다.
  • 《최강야구》 시즌 3은 방송 초반 대비 시청률이 큰 폭으로 하락하여, 전반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
JTBC 월요일 밤 10시 30분 프로그램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JTBC 월화드라마
(2021년 11월 8일 ~ 2022년 2월 7일)
최강야구 (2022 시즌)
(2022년 6월 6일 ~ 2023년 2월 20일)
최강야구 (2023 시즌)
(2023년 4월 10일 ~ 2024년 1월 22일)
JTBC 월요일 밤 10시 30분 프로그램
최강야구 (2022 시즌)
(2022년 6월 6일 ~ 2023년 2월 20일)
최강야구 (2023 시즌)
(2023년 4월 10일 ~ 2024년 1월 22일)
최강야구 (2024 시즌)
(2024년 4월 15일 ~ 2025년2월10일)
JTBC 월요일 밤 10시 30분 프로그램
최강야구 (2023 시즌)
(2023년 4월 10일 ~ 2024년 1월 20일)
최강야구 (2024 시즌)
(2024년 4월 15일 ~ 2025년 2월 10일)
-
JTBC 월요일 밤 10시 30분 프로그램
최강야구 (2024 시즌)
(2024년 4월 15일 ~ 2025년 2월 1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