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최선호자 투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순위형 투표용지의 예시. 존 시티즌이 이 투표용지에서 최선호자이다.

최선호자 투표(First-preference vote)는 유권자가 가장 선호하는 후보를 투표하는 방법이다.[1][2][3][4] 최선호 단순 다수 투표와 같은 특정 순위형 투표제, 즉석결선투표제단기 이양식 투표 제도에서는 후보에 대한 최선호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우선시된다. 이는 중앙 압착 효과의 결과로 정치적 기반 또는 "핵심 지지층"에 영합하는 것을 유도한다. 콩도르세 투표법, 등급 투표, 보르다 개수와 같은 방법은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반다수 투표쿰스 방법과 같은 방법은 유권자의 최하위 순위에 지배되어 "가장 불쾌하지 않은" 후보를 선출하는 경향이 있어 정반대의 효과를 갖는다.

최선호 투표는 선거학자인쇄 매체방송 매체에서 선거 시 정당의 상태와 선거 간의 스윙을 광범위하게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4][5][6] 이 용어는 1920년대부터 연방, 주, 지방 수준에서 순위형 투표가 보편화된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에서 많이 사용된다.

각주

[편집]
  1. “Explainer: What is preferential voting?”. 스페셜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2017년 1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10일에 확인함. 
  2. “How the Dáil is Elected” (PDF).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Community and Local Government, (Ireland). November 2014. 10쪽. 2015년 5월 24일에 확인함. 
  3. "Full transcript – David Cameron – The case against AV – London – 18 February 2011". 뉴 스테이츠먼. 2011년 2월 18일. 2015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4일에 확인함. 
  4. “By-Election: Carlow-Kilkenny”. 아일랜드 라디오-텔레비전. 2015년 5월 23일. 2015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4일에 확인함. 
  5. “First Preference Vote”.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 2015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4일에 확인함. 
  6. “Cooma-Monaro Shire Council: Summary of First Preference Votes for each Candidate”. 《Local Government Elections 2012》. Electoral Commission of New South Wales. 2012년 9월 14일. 2021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