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텔프랑코베네토
카스텔프랑코베네토
Castelfranco Veneto | |
---|---|
Città di Castelfranco Veneto | |
![]() 옛 역사 중심지의 서쪽 문. | |
좌표: 북위 45° 40′ 동경 11° 56′ / 북위 45.667° 동경 11.933° | |
나라 | 이탈리아 |
주 | 베네토주 |
도 | 트레비소도 |
정부 | |
• 시장 | Stefano Marcon(LSP) |
면적 | |
• 총 면적 | 50.93 km2 (19.66 sq mi) |
해발 | 42 m (138 ft) |
인구 (2008년 8월 31일)[2] | |
• 총 인구 | 33,407 |
• 밀도 | 660명/km2 (1,700명/sq mi) |
데모님 | Castellani |
시간대 | UTC+1 (CET) |
• 일광 절약 시간제 | UTC+2 (CEST) |
우편 번호 | 31033 |
전화 코드 | 0423 |
수호성인 | 성 리베랄리스 |
성일 | 4월 27일 |
웹사이트 | 카스텔프랑코베네토 - 공식 웹사이트 |
카스텔프랑코베네토(Castelfranco Veneto, 베네토어: Casteło)는 이탈리아 북부 베네토주의 트레비소도에 있는 도시이자 코무네(기초 자치 단체)이다. 인구 기준으로 주도 트레비소와 코넬리아노에 이어 현에서 세 번째로 큰 자치 단체이다. 트레비소, 파도바, 비첸차 사이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잘 보존된 중세 성곽 도시이다.
이 도시는 화가 조르조네의 출생지로,[3] 그가 살던 집이 아직도 남아 있다. 또한 도시 대성당의 한 예배당에는 조르조네의 1504년경 작품인 《카스텔프랑코 제단화》가 전시되어 있다.
지리
[편집]영토
[편집]카스텔프랑코베네토의 자치구는 완전히 평평한 지역에 걸쳐 있으며, 트레비소도 서쪽 끝, 파도바도 경계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트레비소, 베네치아, 비첸차, 파도바 등 네 개의 현 청사를 비롯해 바사노델그라파, 치타델라, 몬테벨루나와 같은 주요 도시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유리한 위치 덕분에 매우 다양하고 완비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실제로 세 개의 주요 철도 노선이 시내 역에서 교차하며, 두 개의 중요한 도로 간선이 지나간다. 비첸차에서 트레비소를 연결하는 SS 53 포스투미아 도로와 메스트레에서 바사노 델 그라파로 이어지는 SS 245 카스텔라나 도로가 그것이다.
주요 하천은 무소네-무손 데이 사시 강이며, 그 외에도 아베날레, 무손첼로, 무소넬로, 무손 베키오와 같은 작은 하천들이 시 영토를 흐른다.
도시는 여러 개의 프라치오네(소규모 마을)로 나뉘어 있으며, 카스텔프랑코 베네토는 트레비소현 인근 자치 단체들에 비해 중요한 상업 및 산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역사
[편집]카스텔프랑코는 1195년에서 1199년 사이에 건립되었다. 당시 새로 형성된 트레비소 자치구는 경쟁 관계에 있던 파도바와 비첸차 사이 국경을 방어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 지역에서는 무손 강이 유일한 자연적 경계였으나 일시적 성격에 불과했다. 선택된 부지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였으며, 강 동쪽 제방에 이미 존재하던 구조물 위로, 포스투미아 가도와 아우렐리아 가도의 교차점에 가깝고, 귀족 성채인 카스텔로디고데고와 트레빌레 성, 그리고 주교 성채인 살바트론다, 리에세, 레사나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었다. 공사는 콜랄토 백작 셰넬라가 지휘했으며, 약 500명의 석공과 1,000명의 단순 노동자(“구아스타토리”)가 동원되었다. 약 10년 만에 성벽 건축은 완공되었고, 성을 두른 해자가 파여 두 개의 무손 강 지류(용천수)인 아베날레와 무소넬로의 물이 흘러들어갔다.
성이 세워진 뒤 트레비소 시는 자유민 100가구를 식민지로 이주시켰고, 이들에게 세금과 부담이 면제된 농지와 집을 부여했다. 이 때문에 ‘카스텔프랑코(세금에서 자유로운 성)’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에 따라 성 내부 인구 구성은 대부분 군인이 아니라 자유 시민들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내부 공간은 전형적인 도시 계획에 따라 구성되지는 않았다. 진정한 광장이 없었고, 가장 중요한 건물들은 주요 도로를 따라 배치되거나, 교회처럼 외곽(당시 현재 보르고 피에베에 있는 오래된 피에베 누오바 교구에 종속됨)에 위치해 있었다. 또한 회계 사무소나 구호소도 비슷한 방식으로 흩어져 있었다.
주요 명소
[편집]
도시의 오래된 부분은 정사각형 형태이며, 1211년에 트레비소 사람들이 세운 중세 성벽과 탑으로 둘러싸여 있다(치타델라와 비교 가능하다).[4]

카스텔프랑코베네토는 화가 조르조네의 출생지이며, 성벽 안에 자리한 대성당(두오모, 1723)에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성 프란체스코와 성 리베랄리스와 함께 있는 성모》(1504)가 소장되어 있다.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조르조네 제단화’로 불리며, 배경에는 옛 도시의 탑들이 묘사되어 있다.[5] 이 그림은 베네치아에서 복원 작업을 거쳤으며, 2005년 말 ‘라 팔라’(La Pala)의 귀환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
대성당 건물은 고대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 위에 프란체스코 마리아 프레티가 설계한 것이다. 내부에는 파올로 베로네세의 프레스코화 조각 일곱 점도 소장되어 있다.
교통
[편집]카스텔프랑코베네토역은 1877년에 개통되었으며, 트렌토–베네치아선, 비첸차–트레비소선, 칼랄초–파두아선 세 철도 노선의 교차로이다. 이 때문에 베네토 지역에서 가장 분주한 철도 분기점 중 하나이다.
1877년에 개통한 카스텔프랑코 베네토 기차역 은 트렌토-베네치아 철도, 비첸차-트레비소 철도, 칼랄초-파도바 철도의 세 철도 노선이 만나는 지점 입니다. 따라서 베네토에서 가장 붐비는 철도 환승역 중 하나입니다.
출신 인물
[편집]- 아고스티노 스테파니 (1655–1728): 가톨릭 주교, 외교관, 작곡가[7]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프레티 (1701–1774): 건축가
- 빈첸초 리카티 (1707–1775): 가톨릭 신부, 수학자, 물리학자
- 조르다노 리카티 (1709–1790): 수학자, 물리학자
- 파올라 드리고 (1876–1938): 작가
- 마리아 올리바 보날도 (1893–1976): 가톨릭 수녀, 교회의 딸 수도회 창립자
- 티나 안셀미 (1927–2016): 이탈리아 저항 운동가, 정치인,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장관
- 도나텔라 레토레 (1953년생): 가수 겸 작곡가
- 프란체스코 구이돌린 (1955년생): 축구 감독
- 마리오 브루넬로 (1960년생): 첼리스트
- 피아 파롤린 (1965년생): 생물학자, 열대 생태학자
- 클라우디오 콜데벨라 (1968년생): 전 농구 선수, 스포츠 경영인
- 알레산드로 발란 (1979년생): 사이클 선수
- 마누엘라 줄리아노 (1997년생): 축구 선수
자매 도시
[편집]각주
[편집]- ↑ “Superficie di Comuni Province e Regioni italiane al 9 ottobre 2011”. 이탈리아 통계청. 2019년 3월 16일에 확인함.
- ↑ All demographics and other statistics: Italian statistical institute Istat.
- ↑ “Giorgione :: Biografia ► Uffizi Firenze”. 《Uffizi Firenze》 (이탈리아어). 2024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Chisholm, Hugh, 편집. (1911). 〈Giorgione〉.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12 11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
Chisholm, Hugh, 편집. (1911). 〈Steffani, Agostino〉.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5 11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 “Gemellaggio con la città di Guelph – Comune Castelfranco Veneto”.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카스텔프랑코베네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