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타바루 전투
| 코타바루 전투 | |||||||
|---|---|---|---|---|---|---|---|
| 제2차 세계 대전 중 말레이 전역의 일부 | |||||||
1941년 7월 코타바루 바초크 해변의 모습. 당시 일본군 상륙 지점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있음. | |||||||
| |||||||
| 교전국 | |||||||
|
|
| ||||||
| 지휘관 | |||||||
|
|
| ||||||
| 군대 | |||||||
|
영국령 인도: |
일본 제25군: 제5사단 제18사단 일본 제국 해군 | ||||||
| 병력 | |||||||
| N/A |
경순양함 1척 구축함 4척 소해정 2척 구잠정 1척 수송선 3척[8] 보병 5,300명 | ||||||
| 피해 규모 | |||||||
|
전사 68명 부상 360명 실종 37명[9] |
수송선 3척 손상[8] 전사 320명 부상 538명[9][10] | ||||||
코타바루 전투는 진주만 공격이 시작되기 전인 1941년 12월 8일 자정 직후 (현지 시간)에 시작된 전투이다. 이 전투는 태평양 전쟁의 첫 주요 전투였으며[11] 영국령 인도 육군과 일본 제국의 지상군 사이에 벌어졌다.
말레이시아 동북부 해안 클란탄주의 주도인 코타바루는 1941년 영국 왕립 공군(RAF)과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RAAF)의 북부 말라야 작전 기지였다. 코타바루에는 비행장이 있었고, 공케닥과 마창에도 두 개가 더 있었다. 산발적인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공격,[12] 인도 해안 방어와 포격으로 인해 일본군의 손실이 상당했다.[13]
준비
[편집]일본의 침공 계획은 제5사단 병력을 태국 동해안의 빠따니와 송클라에 상륙시키고, 제ㅔ18사단 병력을 말라야 동북해안의 코타바루에 상륙시키는 것이었다. 태국에 상륙하는 병력은 서해안을 넘어 북서부 미연합 말레이 주인 크다주를 통해 말라야를 침공할 예정이었고, 동부 상륙군은 코타바루에서 동해안을 따라 말라야 내륙으로 공격할 예정이었다.
태국에서 북서 말라야로의 공격에 대한 영국의 방어 계획은 남부 태국에 대한 선제 공격인 크로콜 작전으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확보하고 적의 공격을 지연시키는 목적이다. 말라야 동해안 방어에 대한 영국의 계획은 북부 해안선을 따라 제9인도사단의 고정 해변 방어선과 남부 해안선을 방어하는 제8호주사단의 3분의 2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나머지 3분의 1은 암본,[14] 서티모르,[15] 라바울에 배치되었다[16]).
일본 공격군은 야마시타 도모유키 중장의 일본 제25군에서 차출되었다. 이들은 1941년 12월 4일 하이난섬 사마항에서 출항했다. 더 많은 병력을 실은 추가 함선들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남부의 사이공에서 수송선단에 합류했다. RAAF 정찰 록히드 허드슨이 일본 수송선단을 발견했다. 극동 영국 해군 사령관 토머스 필립스 제독은 순양전함 HMS 리펄스에 오스트레일리아 다윈로의 항해를 취소하고 가능한 한 빨리 싱가포르로 돌아오라고 명령했다.[17] 침공군은 12월 7일 영국 공군 제205비행대의 PBY 카탈리나 비행정이 다시 발견했지만, 카탈리나는 싱가포르의 항공 본부에 보고하기 전에 5대의 나카지마 Ki-27 전투기에 격추되었다.[18] 카탈리나를 지휘하던 패트릭 베델 비행장교와 그의 7명의 승무원은 일본과의 전쟁에서 연합군의 첫 희생자가 되었다.[17]
침공 이전에 일본군은 불만을 품은 소수의 말레이인을 "거북이 사회"라는 제5열 조직으로 모집했다. 말라야 경찰은 이 사회의 존재를 알고 있었고 일본군 상륙 직전에 여러 지도자를 체포했다. 코타바루에서 이 사회의 구성원은 침공군을 도왔고 안내자 역할을 했다.[19]
코타바루 상륙
[편집]
극동 영국군 사령관인 로버트 브룩포팜 항공원수는 일본 함대가 영국군의 공격을 유도하여 전쟁 명분을 제공하려 한다고 우려하여[20] 12월 7일 마타도르 작전을 개시하는 것을 주저했다. 마타도르 작전은 상륙 전 또는 상륙 중에 침공군을 파괴하려는 영국의 계획이었다. 그는 작전을 적어도 밤 동안은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12월 7일/8일 자정 직후, 코타바루 해변을 순찰하던 인도군 병사들이 약 3 km 떨어진 해안에 정박하고 있는 3척의 대형 그림자, 즉 수송선 아와지산마루, 아야토산마루, 사쿠라마루를 발견했다. 이 배들은 타쿠미 분견대(타쿠미 히로시 소장, 아와지산 마루 탑승) 소속 약 5,200명의 병력을 싣고 있었다. 이들 병력의 대부분은 중국 전쟁의 베테랑이었다.[17]
일본 침공군은 제18사단 예하 부대로 구성되었다. 공격 부대는 제56보병연대(나스 요시오 대령, 사쿠라 마루 탑승)에서 나왔으며, 제18산악포병연대(다카스 카츠토시 중령)의 산악포대 1개, 제12공병연대(후지 이치에 중령), 제18사단 통신대, 제12수송연대 1개 중대, 제18사단 의무대 1개 중대, 제18사단 의무대 제2야전병원으로 지원되었다. 이들은 하시모토 신타로 소장이 지휘하는 함대(코타바루 침공군)의 호위를 받았으며, 이 함대는 경순양함 센다이, 구축함 아야나미, 이소나미, 시키나미, 우라나미, 소해정 제2호와 제3호, 구잠정 제9호로 구성되었다.[17]
침공은 12월 8일 현지 시간 00:30경(도쿄 현지 시간 12월 8일 2:00, 그리니치 표준시 12월 7일 17:00)에 포격과 함께 시작되었다. 진주만 공격을 향해 비행하던 일본 항공모함 항공기는 목적지에서 약 50분 거리에 있었다. 진주만 공격은 켈란탄 현지 시간 01:48(일본 시간 12월 8일 3:18, 그리니치 표준시 18:18, 하와이 시간 12월 7일 7:48)에 시작되었다. 그 때문에 미국에서는 진주만 공격을 보통 12월 7일 공격으로 불린다. 상륙정의 적재는 수송선이 정박하자마자 거의 즉시 시작되었다. 거친 파도와 강풍이 작전을 방해했고 여러 소형 선박이 전복되었다.[12] 여러 일본군 병사가 익사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00:45까지 첫 번째 상륙정 대열이 4열로 해변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다.[17]

방어군은 아서 바스토 소장(제9사단장)의 인도 제9보병여단 소속 제8인도보병여단(베르톨트 웰스 키 준장)으로, 21산악포대(인도 포병대)(J.B. 소퍼 소령)의 3.7인치 산악곡사포 4문이 지원했다. G.A. 프레스턴 중령이 지휘하는 도그라 연대 소속 3/17대대는[21] 상륙 지점으로 선택된 10 mi (16 km) 길이의 해안선을 책임지고 있었다. 영국군은 좁은 해변과 섬들을 지뢰, 유자철선, 엄폐호로 요새화했다. 이들은 인근 비행장 옆에 배치된 왕립 포병대 제5야전포병연대 소속 73야전포대의 지원을 받았다.[22] 3/17 도그라 대대가 방어하는 지역은 코타바루의 바당과 사박의 좁은 해변으로 구성되었다. 이 해변은 두 개의 하구로 나뉘어 있었고, 이 하구는 개울, 석호, 늪지대 섬의 미로를 통해 펭칼란 체파 강 하구로 이어졌으며, 그 뒤에는 코타바루 비행장과 내륙으로 가는 주요 도로가 있었다.[23]
도그라 부대는 즉시 포병과 기관총으로 침공군에게 맹렬한 사격을 가했다. 자정 무렵 일본군 제1파는 상륙정으로 해변을 향해 돌진하고 있었다. 쓰지 마사노부 대령은 말라야 전역에 관한 그의 저서에 다음과 같이 썼다.
| “ | 잘 준비된 적의 토치카는 맹렬하게 강한 화력을 퍼부었고, 해변에 물 반, 흙 반 상태로 누워 있던 우리 병사는 고개를 들 수 없었다.[24] | ” |
일본군 제1파와 제2파는 도그라 부대의 토치카와 참호에서 쏟아지는 맹렬한 사격에 묶였지만, 치열한 백병전 끝에 하구 남쪽 강둑 방어선에 돌파구가 생겼다.[23] 북쪽 강둑에서 일본군은 날이 밝자 개활지에 갇힌 채 섬에 묶였다. 인근 비행장에서 출격한 연합군 항공기는 침공 함대와 섬에 갇힌 병사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일본군 제1파와 제2파의 사상자는 매우 컸다.[25] 일본군은 두 개의 토치카 진지와 지원 참호가 파괴된 후에야 해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격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도그라 부대는 비행장 앞의 방어선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21] 키 준장은 예비대인 제12변경군연대 소속 2/12연대와 제13변경군소총대 소속 1/13연대를 도그라 부대 지원을 위해 투입했다. 10시 30분, 키는 2/12변경군연대가 남쪽에서, 1/13변경군소총대가 북쪽에서 공격하여 잃어버린 해변을 탈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해변에서의 전투는 치열했으며 양측 모두 더 많은 사상자를 냈다. 영국군은 일부 진전을 보았지만 돌파구를 막을 수 없었다. 오후에 두 번째 공격이 들어갔지만 다시 돌파구를 막는 데 실패했다.[23]
코타바루 비행장은 대피되었고 12월 8일 해질녘에는 시야가 매우 좋지 않았으며, 일본군은 이제 영국군 부대 사이를 침투할 수 있었고 남쪽으로의 추가 상륙 위협이 있었기 때문에 키 준장은 아서 바스토 소장(제9사단장)과 히스 중장(제3군단장)에게 필요하다면 철수 허가를 요청했다.[23]
공습
[편집]
RAF 코타바루에 주둔한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 제1비행대대는 각각 250 lb (113 kg) 폭탄 4발을 실은 록히드 허드슨 폭격기 10기를 발진시켜 일본 수송선을 공격했다. 17번의 출격에서 허드슨 폭격기 2기가 격추당하고 3기가 심하게 손상되었다. 존 그레이엄 레이턴 존스 비행 중대장이 조종하는 허드슨 폭격기 1대는 해변 교두보를 기총소사하던 중 피격된 후 만재된 상륙정에 추락하여 탑승한 일본군 병사 약 60명이 사망했다. 전투가 끝날 무렵에는 단 5대의 허드슨 폭격기만이 비행 가능한 상태로 남았다.[27]
일본군 수송선 세 척 모두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아야토산 마루와 사쿠라 마루는 여전히 항해할 수 있었던 반면, 아와지산 마루는 불에 타 버려졌다.[28] RAAF 제1비행대의 공격으로 승무원 중 최소 110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28] 잔해는 나중에 자체적으로 침몰하거나 12월 12일에 네덜란드 잠수함 K XII에 어뢰 공격을 받았다.[29]
강력한 방어에도 불구하고 다쿠미는 12월 8일 오전 중반까지 3개 보병 대대를 해안에 상륙시켰다. 키 준장이 시작한 반격은 실패했고 일본군은 9일 코타바루 마을을 점령했다. 밤새 치열한 전투 끝에 비행장이 위협받자 아서 커밍 중령의 2/12변경군연대는 비행장을 사수하려 했고 빛나는 후방전투를 벌였다.[30] 커밍은 나중에 쿠안탄 전투에서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받게 된다. 키는 코타바루에서 철수 허가를 요청했고 승인받았다.[22]
일본군은 코타바루 상륙이 전체 말레이 전역에서 가장 격렬한 전투 중 하나였다고 주장한다. 일본 측은 약 300명이 사망하고 500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 Klemen (1999–2000). “Lieutenant-General Arthur Ernest Percival”. 《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 2011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L, Klemen (1999–2000). “Rear-Admiral Shintaro Hashimoto”. 《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 2023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Niehorster 2020.
- ↑ 《1 Squadron RAAF》, Australian War Memorial
- ↑ 《8 Squadron RAAF》, Australian War Memorial
- ↑ 《21 Squadron RAAF》, Australian War Memorial
- ↑ 《453 Squadron RAAF》, Australian War Memorial
- ↑ 가 나 Hackett, Bob; Kingsepp, Sander, “IJN SENDAI: Tabular Record of Movement”, 《Imperial Japanese Navy Page》, 2011년 1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Warren 2002, 64쪽.
- ↑ Rahill, Siti, (교도 통신사) "Remembering the war's first battle", 재팬 타임스, 10 December 2009, p. 3.
- ↑ Burton 2006, 91쪽: "태평양 전쟁의 첫 주요 전투는 일본 항공모함 항공기가 하와이에 강하하기 두 시간도 더 전에 시작되었다."
- ↑ 가 나 Dull 2007, 37쪽.
- ↑ 〈싱가포르 전투〉《전쟁의 장군들》. 제6 회. Windfall Films. 2009년 9월 21일. 50 분.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 ↑ L, Klemen (1999–2000). “The Japanese Invasion of Ambon Island, January 1942”. 《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 ↑ L, Klemen (1999–2000). “The Japanese Invasion of Dutch West Timor Island, February 1942”. 《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 2013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L, Klemen (1999–2000). “The capture of Rabaul and Kavieng, January 1942”. 《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
- ↑ 가 나 다 라 마 L, Klemen 외 (1999–2000). “Seventy minutes before Pearl Harbor – The landing at Kota Bharu, Malaya, on December 7, 1941”. 《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 2021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Warren 2002, 86쪽.
- ↑ Jap fifth column in Malaya was small, Allington Kennard, The Straits Times, 24 August 1947, Page 6
- ↑ Richards & Saunders 1954, 16–17쪽.
- ↑ 가 나 “Dogra Regiment”. Globalsecurity.com. 2009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Jeffreys & Anderson 2005, 35쪽.
- ↑ 가 나 다 라 Percival 1946.
- ↑ Tsuji 1997, 75쪽.
- ↑ Tsuji 1997.
- ↑ Burton 2006, 92쪽.
- ↑ Burton 2006, 96쪽.
- ↑ 가 나 Burton 2006, 95쪽.
- ↑ 《Dutch Submarines: The submarine KXII》, Dutch Submarines, 2011년 1월 4일에 확인함
- ↑ Smith 2006.
참고 문헌
[편집]- “Australians at War”. Australian War Memorial.
- Burton, John (2006). 《Fortnight of Infamy: The Collapse of Allied Airpower West of Pearl Harbor》.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9114-096-X. OCLC 255121507.
- Dull, Paul S (2007). 《A Battle History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1941–1945》. Naval Institute Press. 37쪽. ISBN 978-1-59114-219-5.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 Hackett, Bob; Kingsepp, Sander. “Imperial Japanese Navy Page”.
- Jeffreys, Alan; Anderson, Duncan (2005). 《British Army in the Far East 1941–45》. Battle Orders 13. Oxford: Osprey Publishing. ISBN 1-84176-790-5. OCLC 907132823.
- L, Klemen (1999–2000). “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 2011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Niehorster, Leo (2020년 2월 21일). “Order of Battle, Royal Air Force, Far East Command, Norgroup, 8th December 1941”. 《World War II Armed Forces – Orders of Battle and Organizations》.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 Percival, Arthur (1946). “Chapter IX – The Battle For Kedah”. 《Percival's Official Report to the British Government》. FEPOW Community. 2009년 5월 23일에 확인함.
- Pike, John. “Military”. Globalsecurity.com. 2009년 5월 23일에 확인함.
- Rahill, Siti (2009년 12월 10일). “Remembering the war's first battle”. Kyodo News. 《재팬 타임스》. 3면.
- Richards, Denis; Saunders, Hilary St. G. (1954). 《The Fight Avails》. Royal Air Force 1939–1945 II. London: HMSO. ISBN 978-0-11-772114-2.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 Smith, Colin (2006). 《Singapore Burning》. London: Penguin Books. ISBN 978-0-14-101036-6.
- Tsuji, Masanobu (1997). Howe, H. V. (편집). 《Japan's Greatest Victory, Britain's Worst Defeat》. 번역 Lake, Margaret E. Staplehurst, Kent: Spellmount. ISBN 1-873376-75-8. OCLC 38337840.
- Warren, Alan (2002). 《Britain's Greatest Defeat, Singapore 1942》. London: Hambledon and London. ISBN 1-85285-328-X. OCLC 1036868327. OL 18479046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