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베 공작 요한 2세
보이기
클레베 공작 요한 2세
| |
---|---|
![]() 클레베 공작 요한 2세 | |
신상정보 | |
출생일 | 1458년 4월 13일 |
출생지 | 클레베 |
사망일 | 1521년 3월 15일 | (62세)
사망지 | 클레베 |
가문 | 라 마르크가 |
부친 | 요한 1세 폰 마르크 |
모친 | 느베르의 엘리자베트 |
배우자 | 헤센의 마틸데 |
자녀 | 클레베 공작 요한 3세 (사생아 63명) |
클레베 공작·마르크 백작 요한 2세(독일어: Johann II, Herzog von Kleve, Graf von Mark, 1458년 4월 13일~1521년 3월 15일)는 클레베 공국과 마르크 백국의 통치자로서 요한 1세 폰 마르크와 느베르의 엘리자베트의 아들이었다.[1] 1481년부터 1521년 사망할 때까지 클레베를 통치하였으며, 1489년 헤센의 마틸데와 결혼하였다. 결혼 전에 둔 사생아만 63명에 달해 '아기 만드는 자'(독일어: der Kindermacher)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2]

1489년 4월 15일에는 교황 인노첸시오 8세로부터 '미덕의 황금 장미'를 수여받았다. 이는 요한이 엄청난 수의 사생아를 두었던 사실을 고려하면 주목할 만한 기록이다. 이때부터 요한은 자신을 '라 마르크와 카체넬른보겐의 백작 요한 폰 클레베'로 칭했다.
아내와 자녀
[편집]요한은 메히틸트 폰 헤센과 결혼하였는데 메히틸트는 오버헤센 방백작 하인리히 3세와 안나 폰 카체넬른보겐의 딸이었다.[3][4] 두 사람은 1489년 11월 3일 조스트에서 혼인식을 올렸으며 둘 사이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 요한 (1490년~1539년), 클레베 공작 겸 마르크 백작을 계승했다.[5]
- 안나 (1495년~1567년) - 1518년에 필리프 3세 폰 발데크아이젠베르크와 결혼했다.[5]
- 아돌프 (1498년–1525년) - 아버지의 사촌인 리프 폰 클레베라벤슈타인와 베이넨달러 (Wijnendale)로부터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나, 1528년 필리프가 사망하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
카트린 드 쇼몽 (Catherine de Chaumont)과의 자녀는 다음과 같았다.
그밖에 신원 미상의 여인과 낳은 사생아는 다음과 같았다.
- 클레베의 헬레나 (또는 헤드비히) (1480년-?), 오토 판 뷔런과 결혼
- 클레베의 요스 (유도쿠스) (1485년-1541년)
- 클레베의 빌헬름 (1495년경 -?)
- 클레베의 마르텐
- 클레베의 헨드리크
- 클레베의 카타리나[7] - 요한 폰 아셔브로이크와 결혼,[7] 요한 폰 로와 재혼
- 클레베의 엘리자베트 - 고베르트 판 벰멜과 결혼
- 클레베의 디트리히 (?~1493년)[7]
- 클레베의 요한[7]
- 클레베의 아돌프 - 아그네스 폰 헤센 추 훌하우젠과 결혼
-
라 마르크의 문장
-
클레베의 문장
가계도
[편집]8. 아돌프 1세 폰 클레베마르크 (1334년–1394년) | ||||||||||||||||
4. 클레베 공작 아돌프 1세 (1373년–1448년) | ||||||||||||||||
9. 마르가레테 폰 윌리히 (1342년경–1425년?/1429년?) | ||||||||||||||||
2. 요한 1세 폰 마르크 (1419년–1481년) | ||||||||||||||||
10. 장 1세 드 부르고뉴 공작 (1371년–1419년) | ||||||||||||||||
5. 마리 드 부르고뉴 (c. 1393년–1473년) | ||||||||||||||||
11.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 (1363년–1423년) | ||||||||||||||||
1. 클레베 공작 요한 2세 | ||||||||||||||||
12. 필리프 2세 드 느베르 백작 (1389년–1415년) | ||||||||||||||||
6. 장 드 부르고뉴 (1415년) (1415년–1491년) | ||||||||||||||||
13. 본 다르투아 (1396년–1425년) | ||||||||||||||||
3. 엘리자베트 드 느베르 (1439년–1483년) | ||||||||||||||||
14. 라울 3세 달리 | ||||||||||||||||
7. 자클린 달리 (1420년경–1470년) | ||||||||||||||||
15. 베튄의 자클린 | ||||||||||||||||
각주
[편집]- ↑ Boltanski 2006, 501쪽.
- ↑ La Societe Numismatique, Revue de la numismatique belge, Brussels, 1863, page 234
- ↑ Guenther 1985, 315쪽.
- ↑ Morby 1989, 135쪽.
- ↑ 가 나 Ward, Prothero & Leathes 1934, table 38쪽.
- ↑ 가 나 Castelnau, Michel de (1731). 《Les Mémoires de messire Michel de Castelnau, seigneur de Mauvissière, illustrez et augmentez de plusieurs commentaires & manuscrits... servans à donner la vérité de l'histoire des regnes de François II. Charles IX. & Henri III. & de la regence... de Catherine de Médicis, avec les éloges des rois, reines, princes & autres personnes illustres de l'une & de l'autre réligion sous ces trois regnes, l'histoire genealogique de la maison de Castelnau, par J. Le Laboureur,... Nouvelle édition...》 (프랑스어). chez J. Leonard.
- ↑ 가 나 다 라 “Versorgung der unehelichen Kinder Herzog Johanns II. von Kleve-Mark” [Provisions for the illegitimate children of Duke John II of Kleve-Mark]. 《www.archive.nrw.de》. 2025년 1월 19일에 확인함.
자료
[편집]- Boltanski, Ariane (2006). 《Les ducs de Nevers et l'État royal: genèse d'un compromis (ca 1550 - ca 1600)》 (프랑스어). Librairie Droz S.A.
- Guenther, Ilse (1985). 〈John II, Duke of Cleves and Mark〉. Bietenholz, Peter G.; Deutscher, Thomas Brian (편집).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1-3: A-Z. University of Toronto Press.
- Morby, John (1989).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 Ward, A.W.; Prothero, G.W.; Leathes, Stanley 편집 (1934).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XIII.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외부 링크
[편집]- 윌리히-클레베의 가계 2008년 7월 28일 확인
클레베 공작 요한 2세 출생: 1458년 4월 13일 1521년 3월 15일
| ||
이전 요한 1세 폰 마르크 |
클레베 공작, 마르크 백작 1481년–1521년 |
이후 클레베 공작 요한 3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