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 에서 파울리 방정식 (영어 : Pauli equation ) 또는 슈뢰딩거-파울리 방정식 (영어 : Schrödinger–Pauli equation )은 스핀-1/2 입자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 의 공식으로, 입자의 스핀 과 외부 전자기장 의 상호작용을 고려한다. 이는 상대론적 이 아닌 디랙 방정식 의 한계이며, 입자가 빛의 속력 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움직여 상대론적 효과를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정식은 1927년 볼프강 파울리 에 의해 정립되었다.[ 1] 선형화된 형태로는 레비-르블롱 방정식 으로 알려져 있다.
질량
m
{\displaystyle m}
과 전하
q
{\displaystyle q}
를 가진 입자가 자기 벡터 퍼텐셜
A
{\displaystyle \mathbf {A} }
와 전위
ϕ
{\displaystyle \phi }
로 기술되는 전자기장 에 있을 때, 파울리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파울리 방정식 (일반형)
[
1
2
m
(
σ
⋅
(
p
^
−
q
A
)
)
2
+
q
ϕ
]
|
ψ
⟩
=
i
ℏ
∂
∂
t
|
ψ
⟩
{\displaystyle \left[{\frac {1}{2m}}({\boldsymbol {\sigma }}\cdot (\mathbf {\hat {p}} -q\mathbf {A} ))^{2}+q\phi \right]|\psi \rangle =i\hbar {\frac {\partial }{\partial t}}|\psi \rangle }
여기서
σ
=
(
σ
x
,
σ
y
,
σ
z
)
{\displaystyle {\boldsymbol {\sigma }}=(\sigma _{x},\sigma _{y},\sigma _{z})}
는 편의를 위해 벡터로 묶인 파울리 연산자 이며,
p
^
=
−
i
ℏ
∇
{\displaystyle \mathbf {\hat {p}} =-i\hbar \nabla }
는 위치 표현에서 운동량 연산자 이다. 시스템의 상태
|
ψ
⟩
{\displaystyle |\psi \rangle }
(브라-켓 표기법 으로 표기됨)는 두 성분 스피너 파동 함수 또는 열 벡터 (기저 선택 후)로 간주할 수 있다:
|
ψ
⟩
=
ψ
+
|
↑
⟩
+
ψ
−
|
↓
⟩
=
⋅
[
ψ
+
ψ
−
]
{\displaystyle |\psi \rangle =\psi _{+}|{\mathord {\uparrow }}\rangle +\psi _{-}|{\mathord {\downarrow }}\rangle \,{\stackrel {\cdot }{=}}\,{\begin{bmatrix}\psi _{+}\\\psi _{-}\end{bmatrix}}}
.
해밀토니언 연산자 는 파울리 연산자 때문에 2 × 2 행렬이다.
H
^
=
1
2
m
[
σ
⋅
(
p
^
−
q
A
)
]
2
+
q
ϕ
{\displaystyle {\hat {H}}={\frac {1}{2m}}\left[{\boldsymbol {\sigma }}\cdot (\mathbf {\hat {p}} -q\mathbf {A} )\right]^{2}+q\phi }
이를 슈뢰딩거 방정식 에 대입하면 파울리 방정식이 나온다. 이 해밀토니언은 전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전하를 띤 입자에 대한 고전적인 해밀토니언과 유사하다. 이 고전적인 경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로런츠 힘 을 참조하라. 전자기장이 없는 자유 입자의 운동 에너지 항은 단순히
p
2
2
m
{\displaystyle {\frac {\mathbf {p} ^{2}}{2m}}}
이며, 여기서
p
{\displaystyle \mathbf {p} }
는 운동량 이지만, 전자기장이 있는 경우에는 최소 결합
Π
=
p
−
q
A
{\displaystyle \mathbf {\Pi } =\mathbf {p} -q\mathbf {A} }
를 포함하며, 여기서
Π
{\displaystyle \mathbf {\Pi } }
는 운동량이고
p
{\displaystyle \mathbf {p} }
는 정준 운동량 이다.
파울리 연산자는 파울리 벡터 항등식 을 사용하여 운동 에너지 항에서 제거할 수 있다:
(
σ
⋅
a
)
(
σ
⋅
b
)
=
a
⋅
b
+
i
σ
⋅
(
a
×
b
)
{\displaystyle ({\boldsymbol {\sigma }}\cdot \mathbf {a} )({\boldsymbol {\sigma }}\cdot \mathbf {b} )=\mathbf {a} \cdot \mathbf {b} +i{\boldsymbol {\sigma }}\cdot \left(\mathbf {a} \times \mathbf {b} \right)}
벡터와 달리 미분 연산자
p
^
−
q
A
=
−
i
ℏ
∇
−
q
A
{\displaystyle \mathbf {\hat {p}} -q\mathbf {A} =-i\hbar \nabla -q\mathbf {A} }
는 자신과의 외적이 0이 아님을 유의하라. 이는 스칼라 함수
ψ
{\displaystyle \psi }
에 적용된 외적을 고려하면 알 수 있다:
[
(
p
^
−
q
A
)
×
(
p
^
−
q
A
)
]
ψ
=
−
q
[
p
^
×
(
A
ψ
)
+
A
×
(
p
^
ψ
)
]
=
i
q
ℏ
[
∇
×
(
A
ψ
)
+
A
×
(
∇
ψ
)
]
=
i
q
ℏ
[
ψ
(
∇
×
A
)
−
A
×
(
∇
ψ
)
+
A
×
(
∇
ψ
)
]
=
i
q
ℏ
B
ψ
{\displaystyle {\begin{aligned}\left[\left(\mathbf {\hat {p}} -q\mathbf {A} \right)\times \left(\mathbf {\hat {p}} -q\mathbf {A} \right)\right]\psi &=-q\left[\mathbf {\hat {p}} \times \left(\mathbf {A} \psi \right)+\mathbf {A} \times \left(\mathbf {\hat {p}} \psi \right)\right]\\&=iq\hbar \left[\nabla \times \left(\mathbf {A} \psi \right)+\mathbf {A} \times \left(\nabla \psi \right)\right]\\&=iq\hbar \left[\psi \left(\nabla \times \mathbf {A} \right)-\mathbf {A} \times \left(\nabla \psi \right)+\mathbf {A} \times \left(\nabla \psi \right)\right]=iq\hbar \mathbf {B} \psi \end{aligned}}}
여기서
B
=
∇
×
A
{\displaystyle \mathbf {B} =\nabla \times \mathbf {A} }
는 자기장이다.
완전한 파울리 방정식의 경우, 다음을 얻는다[ 2]
파울리 방정식 (표준형)
H
^
|
ψ
⟩
=
[
1
2
m
[
(
p
^
−
q
A
)
2
−
q
ℏ
σ
⋅
B
]
+
q
ϕ
]
|
ψ
⟩
=
i
ℏ
∂
∂
t
|
ψ
⟩
{\displaystyle {\hat {H}}|\psi \rangle =\left[{\frac {1}{2m}}\left[\left(\mathbf {\hat {p}} -q\mathbf {A} \right)^{2}-q\hbar {\boldsymbol {\sigma }}\cdot \mathbf {B} \right]+q\phi \right]|\psi \rangle =i\hbar {\frac {\partial }{\partial t}}|\psi \rangle }
이 방정식은 균일한 자기장을 갖는 란다우 양자화 또는 이상적인 쿨롱형 비균일 자기장의 맥락에서 알려진 몇 가지 해석적 결과만 있다.[ 3]
자기장이 상수이고 균일한 경우, 대칭 게이지
A
^
=
1
2
B
×
r
^
{\textstyle \mathbf {\hat {A}} ={\frac {1}{2}}\mathbf {B} \times \mathbf {\hat {r}} }
를 사용하여
(
p
^
−
q
A
)
2
{\textstyle (\mathbf {\hat {p}} -q\mathbf {A} )^{2}}
를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r
{\textstyle \mathbf {r} }
은 위치 연산자 이고 A는 이제 연산자이다. 우리는 다음을 얻는다.
(
p
^
−
q
A
^
)
2
=
|
p
^
|
2
−
q
(
r
^
×
p
^
)
⋅
B
+
1
4
q
2
(
|
B
|
2
|
r
^
|
2
−
|
B
⋅
r
^
|
2
)
≈
p
^
2
−
q
L
^
⋅
B
,
{\displaystyle (\mathbf {\hat {p}} -q\mathbf {\hat {A}} )^{2}=|\mathbf {\hat {p}} |^{2}-q(\mathbf {\hat {r}} \times \mathbf {\hat {p}} )\cdot \mathbf {B} +{\frac {1}{4}}q^{2}\left(|\mathbf {B} |^{2}|\mathbf {\hat {r}} |^{2}-|\mathbf {B} \cdot \mathbf {\hat {r}} |^{2}\right)\approx \mathbf {\hat {p}} ^{2}-q\mathbf {\hat {L}} \cdot \mathbf {B} \,,}
여기서
L
^
{\textstyle \mathbf {\hat {L}} }
은 입자의 각운동량 연산자이며 자기장 제곱
B
2
{\textstyle B^{2}}
의 항은 무시했다.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파울리 방정식 (약한 자기장)
[
1
2
m
[
|
p
^
|
2
−
q
(
L
^
+
2
S
^
)
⋅
B
]
+
q
ϕ
]
|
ψ
⟩
=
i
ℏ
∂
∂
t
|
ψ
⟩
{\displaystyle \left[{\frac {1}{2m}}\left[|\mathbf {\hat {p}} |^{2}-q(\mathbf {\hat {L}} +2\mathbf {\hat {S}} )\cdot \mathbf {B} \right]+q\phi \right]|\psi \rangle =i\hbar {\frac {\partial }{\partial t}}|\psi \rangle }
여기서
S
=
ℏ
σ
/
2
{\textstyle \mathbf {S} =\hbar {\boldsymbol {\sigma }}/2}
는 입자의 스핀 이다. 스핀 앞에 있는 계수 2는 디랙 G-상수 로 알려져 있다.
B
{\textstyle \mathbf {B} }
항은
−
μ
⋅
B
{\textstyle -{\boldsymbol {\mu }}\cdot \mathbf {B} }
형태이며, 이는 제이만 효과 와 같이 자기 모멘트
μ
{\textstyle {\boldsymbol {\mu }}}
와 자기장 사이의 일반적인 상호작용이다.
등방성 상수 자기장에 있는 전하
−
e
{\textstyle -e}
의 전자에서, 전체 각운동량
J
=
L
+
S
{\textstyle \mathbf {J} =\mathbf {L} +\mathbf {S} }
와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를 사용하여 방정식을 더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
|
p
|
2
2
m
+
μ
B
g
J
m
j
|
B
|
−
e
ϕ
]
|
ψ
⟩
=
i
ℏ
∂
∂
t
|
ψ
⟩
{\displaystyle \left[{\frac {|\mathbf {p} |^{2}}{2m}}+\mu _{\rm {B}}g_{J}m_{j}|\mathbf {B} |-e\phi \right]|\psi \rangle =i\hbar {\frac {\partial }{\partial t}}|\psi \rangle }
여기서
μ
B
=
e
ℏ
2
m
{\textstyle \mu _{\rm {B}}={\frac {e\hbar }{2m}}}
는 보어 마그네톤 이고
m
j
{\textstyle m_{j}}
는
J
{\textstyle \mathbf {J} }
와 관련된 자기양자수 이다.
g
J
{\textstyle g_{J}}
항은 랑데 지 인자 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g
J
=
3
2
+
3
4
−
ℓ
(
ℓ
+
1
)
2
j
(
j
+
1
)
,
{\displaystyle g_{J}={\frac {3}{2}}+{\frac {{\frac {3}{4}}-\ell (\ell +1)}{2j(j+1)}},}
[ a]
여기서
ℓ
{\displaystyle \ell }
은
L
2
{\displaystyle L^{2}}
와 관련된 궤도 양자수 이고
j
{\displaystyle j}
는
J
2
{\displaystyle J^{2}}
와 관련된 전체 궤도 양자수이다.
파울리 방정식은 스핀-1/2 입자의 상대론적 양자 운동 방정식인 디랙 방정식 의 비상대론적 한계에서 추론할 수 있다.[ 4]
디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i
ℏ
∂
t
(
ψ
1
ψ
2
)
=
c
(
σ
⋅
Π
ψ
2
σ
⋅
Π
ψ
1
)
+
q
ϕ
(
ψ
1
ψ
2
)
+
m
c
2
(
ψ
1
−
ψ
2
)
,
{\displaystyle i\hbar \,\partial _{t}{\begin{pmatrix}\psi _{1}\\\psi _{2}\end{pmatrix}}=c\,{\begin{pmatrix}{\boldsymbol {\sigma }}\cdot {\boldsymbol {\Pi }}\,\psi _{2}\\{\boldsymbol {\sigma }}\cdot {\boldsymbol {\Pi }}\,\psi _{1}\end{pmatrix}}+q\,\phi \,{\begin{pmatrix}\psi _{1}\\\psi _{2}\end{pmatrix}}+mc^{2}\,{\begin{pmatrix}\psi _{1}\\-\psi _{2}\end{pmatrix}},}
여기서
∂
t
=
∂
∂
t
{\textstyle \partial _{t}={\frac {\partial }{\partial t}}}
이고
ψ
1
,
ψ
2
{\displaystyle \psi _{1},\psi _{2}}
는 두 성분 스피너 이며, 디랙 스피너 를 형성한다.
다음 가정을 사용하면:
(
ψ
1
ψ
2
)
=
e
−
i
m
c
2
t
ℏ
(
ψ
χ
)
,
{\displaystyle {\begin{pmatrix}\psi _{1}\\\psi _{2}\end{pmatrix}}=e^{-i{\tfrac {mc^{2}t}{\hbar }}}{\begin{pmatrix}\psi \\\chi \end{pmatrix}},}
두 개의 새로운 스피너
ψ
,
χ
{\displaystyle \psi ,\chi }
를 사용하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i
ℏ
∂
t
(
ψ
χ
)
=
c
(
σ
⋅
Π
χ
σ
⋅
Π
ψ
)
+
q
ϕ
(
ψ
χ
)
+
(
0
−
2
m
c
2
χ
)
.
{\displaystyle i\hbar \partial _{t}{\begin{pmatrix}\psi \\\chi \end{pmatrix}}=c\,{\begin{pmatrix}{\boldsymbol {\sigma }}\cdot {\boldsymbol {\Pi }}\,\chi \\{\boldsymbol {\sigma }}\cdot {\boldsymbol {\Pi }}\,\psi \end{pmatrix}}+q\,\phi \,{\begin{pmatrix}\psi \\\chi \end{pmatrix}}+{\begin{pmatrix}0\\-2\,mc^{2}\,\chi \end{pmatrix}}.}
비상대론적 한계에서
∂
t
χ
{\displaystyle \partial _{t}\chi }
와 운동 및 정전기 에너지는 정지 에너지
m
c
2
{\displaystyle mc^{2}}
에 비해 작으며, 이는 레비-르블롱 방정식 으로 이어진다.[ 5] 따라서
χ
≈
σ
⋅
Π
ψ
2
m
c
.
{\displaystyle \chi \approx {\frac {{\boldsymbol {\sigma }}\cdot {\boldsymbol {\Pi }}\,\psi }{2\,mc}}\,.}
디랙 방정식의 상위 성분에 삽입하면 파울리 방정식(일반형)을 얻는다:
i
ℏ
∂
t
ψ
=
[
(
σ
⋅
Π
)
2
2
m
+
q
ϕ
]
ψ
.
{\displaystyle i\hbar \,\partial _{t}\,\psi =\left[{\frac {({\boldsymbol {\sigma }}\cdot {\boldsymbol {\Pi }})^{2}}{2\,m}}+q\,\phi \right]\psi .}
파울리 방정식의 엄밀한 유도는 외부 장에서의 디랙 방정식과
O
(
1
/
m
c
)
{\displaystyle {\mathcal {O}}(1/mc)}
차수까지의 항을 고려한 폴디-워슈이젠 변환 [ 4] 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파울리 방정식에 대한 고차 보정은 대신
O
(
1
/
(
m
c
)
2
)
{\displaystyle {\mathcal {O}}(1/(mc)^{2})}
차수까지 확장할 때 스핀-궤도 및 다윈 상호작용 항을 발생시킨다.[ 6]
파울리 방정식은 g-인자 g=2를 제공하는 최소 결합 을 요구하여 유도된다. 대부분의 기본 입자는 2와 다른 비정상적인 g-인자를 갖는다. 상대론적 양자장론 영역에서는 비정상적인 인자를 추가하기 위해 때때로 파울리 결합이라고 불리는 비최소 결합을 정의한다.
γ
μ
p
μ
→
γ
μ
p
μ
−
q
γ
μ
A
μ
+
a
σ
μ
ν
F
μ
ν
{\displaystyle \gamma ^{\mu }p_{\mu }\to \gamma ^{\mu }p_{\mu }-q\gamma ^{\mu }A_{\mu }+a\sigma _{\mu \nu }F^{\mu \nu }}
여기서
p
μ
{\displaystyle p_{\mu }}
는 사차원 운동량 연산자,
A
μ
{\displaystyle A_{\mu }}
는 전자기 퍼텐셜 ,
a
{\displaystyle a}
는 이상자기쌍극자모멘트 에 비례하고,
F
μ
ν
=
∂
μ
A
ν
−
∂
ν
A
μ
{\displaystyle F^{\mu \nu }=\partial ^{\mu }A^{\nu }-\partial ^{\nu }A^{\mu }}
는 전자기장 텐서 이며,
σ
μ
ν
=
i
2
[
γ
μ
,
γ
ν
]
{\textstyle \sigma _{\mu \nu }={\frac {i}{2}}[\gamma _{\mu },\gamma _{\nu }]}
는 로렌츠 스핀 행렬이자 디랙 행렬
γ
μ
{\displaystyle \gamma ^{\mu }}
의 교환자이다.[ 7] [ 8]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의 맥락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사용하는 대신, 파울리 결합은 임의의 g-인자에 대한 파울리 방정식(또는 제이만 에너지 가정)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 여기서 사용된 공식은 스핀-1/2 입자에 대한 것으로, g-인자
g
S
=
2
{\textstyle g_{S}=2}
와 궤도 g-인자
g
L
=
1
{\textstyle g_{L}=1}
을 가진다. 더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g
J
=
3
2
+
m
s
(
m
s
+
1
)
−
ℓ
(
ℓ
+
1
)
2
j
(
j
+
1
)
.
{\displaystyle g_{J}={\frac {3}{2}}+{\frac {m_{s}(m_{s}+1)-\ell (\ell +1)}{2j(j+1)}}.}
여기서
m
s
{\displaystyle m_{s}}
는
S
^
{\displaystyle {\hat {S}}}
와 관련된 스핀 양자수 이다.
↑ Pauli, Wolfgang (1927). 《Zur Quantenmechanik des magnetischen Elektrons》 (독일어). 《Zeitschrift für Physik》 43 . 601–623쪽. Bibcode :1927ZPhy...43..601P . doi :10.1007/BF01397326 . ISSN 0044-3328 . S2CID 128228729 .
↑ Bransden, BH; Joachain, CJ (1983). 《Physics of Atoms and Molecules》 1판. Prentice Hall. 638쪽. ISBN 0-582-44401-2 .
↑ Sidler, Dominik; Rokaj, Vasil; Ruggenthaler, Michael; Rubio, Angel (2022년 10월 26일). 《Class of distorted Landau levels and Hall phases in a two-dimensional electron gas subject to an inhomogeneous magnetic field》 (영어). 《Physical Review Research》 4 . 043059쪽. Bibcode :2022PhRvR...4d3059S . doi :10.1103/PhysRevResearch.4.043059 . hdl :10810/58724 . ISSN 2643-1564 . S2CID 253175195 .
↑ 가 나 Greiner, Walter (2012년 12월 6일).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Wave Equations》 (영어). Springer. ISBN 978-3-642-88082-7 .
↑ Greiner, Walter (2000년 10월 4일). 《Quantum Mechanics: An Introduction》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3-540-67458-0 .
↑ Fröhlich, Jürg; Studer, Urban M. (1993년 7월 1일). 《Gauge invariance and current algebra in nonrelativistic many-body theory》 (영어). 《Reviews of Modern Physics》 65 . 733–802쪽. Bibcode :1993RvMP...65..733F . doi :10.1103/RevModPhys.65.733 . ISSN 0034-6861 .
↑ Das, Ashok (2008). 《Lectures on Quantum Field Theory》 (영어). World Scientific. ISBN 978-981-283-287-0 .
↑ Barut, A. O.; McEwan, J. (January 1986). 《The four states of the Massless neutrino with pauli coupling by Spin-Gauge invariance》 (영어). 《Letters in Mathematical Physics》 11 . 67–72쪽. Bibcode :1986LMaPh..11...67B . doi :10.1007/BF00417466 . ISSN 0377-9017 . S2CID 120901078 .
Schwabl, Franz (2004). 《Quantenmechanik I》. Springer. ISBN 978-3540431060 .
Schwabl, Franz (2005). 《Quantenmechanik für Fortgeschrittene》. Springer. ISBN 978-3540259046 .
Claude Cohen-Tannoudji; Bernard Diu; Frank Laloe (2006). 《Quantum Mechanics 2》. Wiley, J. ISBN 978-0471569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