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남도지사 (平安南道知事)는 이북5도 가운데 하나인 평안남도 의 행정사무를 관장하는 단체장이자 차관급 고위공무원이다. 이북5도는 대한민국 의 실효 지배 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광역자치단체장과 달리 대한민국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지 않으며, 대통령 이 임명 권한을 갖는다. 행정자치부 산하 이북5도위원회 가 해당 사무를 관할한다.[ 1]
호적
이름
한자 표기
재임 기간
비고
내지인
마쓰나가 다케키치
松永 武吉
1910년 10월 1일 - 1916년 3월 28일
평안남도 장관
내지인
구도 에이이치
工藤 英一
1916년 3월 28일 - 1919년 9월 26일
장관, 1919년 8월부터 평안남도지사
내지인
시노다 지사쿠
篠田 治策
1919년 9월 26일 - 1923년 2월 24일
내지인
요네다 진타로
米田 甚太郎
1923년 2월 24일 - 1926년 3월 8일
내지인
아오키 가이조
青木 戒三
1926년 3월 8일 - 1929년 1월 21일
내지인
소노다 히로시
園田 寛
1929년 1월 21일 - 1931년 9월 23일
내지인
후지와라 기조
藤原 喜蔵
1931년 9월 23일 - 1935년 4월 1일
내지인
야스타케 다다오
安武 直夫
1935년 4월 1일 - 1936년 5월 21일
내지인
가미우치 히코사쿠
上内 彦策
1936년 5월 21일 - 1938년 8월 18일
내지인
이시다 센타로
石田 千太郎
1938년 8월 18일 - 1941년 11월 19일
내지인
고 야스히코
高 安彦
1941년 11월 19일 - 1942년 6월 2일
내지인
시모이이자카 하지메
下飯坂 元
1942년 6월 2일 - 1944년 9월 20일
내지인
이사카 게이이치로
井坂 圭一良
1944년 9월 20일 - 1945년 5월 20일
내지인
후루카와 가네히데
古川 兼秀
1945년 6월 16일 - 1945년 8월 15일
광복
대수
이름
임기 시작
임기 종료
비고
1
김병연
1949년 2월
1959년 5월
2
길성운
1959년 5월
1961년 10월
3
박재창
1962년 4월
1979년 4월
4
박인각
1979년 4월
1982년 7월
5
유기천
1982년 7월
1988년 6월
6
사병권
1988년 7월
1991년 4월
7
김훈기
1991년 4월
1993년 3월
8
차성호
1993년 3월
1995년 9월
9
김훈기
1995년 9월
1997년 11월
10
백남진
1997년 11월
1998년 3월
11
김인선
1998년 3월
2000년 12월
12
강의용
2000년 12월
2003년 5월
13
장암
2003년 5월
2006년 6월
14
정중렬
2006년 6월
2009년 11월
15
박용옥
2009년 11월
2013년 9월
16
백남진
2013년 9월
2016년 9월
17
김중양
2016년 9월 28일
2019년 8월
18
이명우
2019년 8월
2022년 7월
19
조명철
2022년 7월
2024년 8월
20
정경조
2024년 8월
-
현재
↑ 대한민국 국회 (2015년 8월 19일). “이북5도에 관한 법률” .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5년 8월 28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