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북도지사 (平安北道知事)는 이북5도 가운데 하나인 평안북도 의 행정사무를 관장하는 단체장이자 차관급 고위공무원이다. 이북5도는 대한민국 의 실효 지배 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광역자치단체장과 달리 대한민국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지 않으며, 대통령 이 임명 권한을 갖는다. 행정안전부 산하 이북5도위원회 가 해당 사무를 관할한다.[ 1]
호적
이름
한자 표기
재임 기간
비고
내지인
가와카미 쓰네오
川上 常郎
1910년 10월 1일 - 1916년 11월 14일
평안북도 장관
내지인
후지카와 리자부로
藤川 利三郎
1916년 11월 14일 - 1919년 9월 26일
장관, 1919년 8월부터 평안북도지사
내지인
이이오 도지로
飯尾 藤次郎
1919년 9월 26일 - 1923년 2월 24일
내지인
이쿠타 세이자부로
生田 清三郎
1923년 2월 24일 - 1925년 6월 15일
내지인
다니 다키마
谷 多喜磨
1925년 6월 15일 - 1929년 11월 28일
내지인
이시카와 도모리
石川 登盛
1929년 11월 28일 - 1932년 12월 13일
내지인
하시 모리사다
土師 盛貞
1932년 12월 13일 - 1935년 4월 1일
내지인
오타케 주로
大竹 十郎
1935년 4월 1일 - 1936년 5월 21일
내지인
미자 사스가
美座 流石
1936년 5월 21일 - 1939년 3월 15일
내지인
니시모토 게이조
西本 計三
1939년 3월 15일 - 1940년 9월 2일
내지인
고 야스히코
高 安彦
1940년 9월 2일 - 1941년 11월 19일
내지인
시라이시 고지로
白石 光治郎
1941년 11월 19일 - 1943년 7월 17일
내지인
노부하라 사토루
信原 聖
1943년 7월 17일 - 1945년 3월 28일
내지인
야마지 야스유키
山地 靖之
1945년 3월 28일 - 1945년 8월 15일
광복
대수
이름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출신지(실향민, 2세, 3세)
1
백영업
1949년 2월 15일
1970년 11월 10일
의주군
2
이하영
1970년 11월 11일
1979년 4월 25일
철산군
3
이석봉
1979년 4월 26일
1988년 5월 일
선천군
4
안치순
1988년 5월 30일
1988년 12월 13일
벽동군
5
김사성
1988년 12월 31일
1992년 3월 일
희천군
6
장정렬
1992년 4월 15일
1998년 3월 일
용천군
7
심기철
1998년 3월 17일
2000년 12월 일
구성군
8
백형린
2000년 12월 5일 일
2003년 5월 일
용천군
9
차인태
2003년 5월 일
2007년 2월 일
벽동군
10
백도웅
2007년 4월 9일
2009년 11월 16일
의주군
11
백영철
2009년 11월 17일
2012년 9월 17일
용천군
12
백구섭
2012년 9월 17일
2016년 9월 27일
태천군
13
김영철
2016년 9월 29일
2019년 8월 23일
선천군
14
오영찬
2019년 8월 27일
2022년 7월 14일
신의주시
15
양종광
2022년 7월 25일(영전)
2024년 8월 2일
영변군
16
이세웅
2024년 8월 2일
현직
의주군
↑ 대한민국 국회 (2015년 8월 19일). “이북5도에 관한 법률” .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5년 8월 28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