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5년 전조선축구대회 (관서체육회)
| 1925년 전조선축구대회 | |
|---|---|
| 대회 명칭 |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 |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 개최 도시 | 평양 |
| 개최 기간 | 1925년 5월 7일~5월 16일 |
| 주최 | 관서체육회 |
| 후원 | 동아일보 평양지국 시대일보 평양지국 조선일보 평양지국 |
| 선수단 | 청년부: 6개 축구단 중학부: 4개 축구단 소학부: 10개 축구단 |
| 참가 선수 | 260여 명[1] |
| 결과 | |
| 청년부: 무오 축구단 중학부: 평양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소학부: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 |
| 청년부: 숭실대학 축구단 중학부: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소학부: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
| 1926 » | |
1925년 전조선축구대회는 관서체육회 전조선축구대회의 1925년 시즌 축구 대회이다. 1925년 5월 7일부터 5월 16일까지 광성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2][3] 청년부 종목은 준결승까지 60분 경기로, 결승은 90분 경기로 진행되었고, 중학부 종목은 준결승까지 50분 경기로, 결승은 70분 경기로 진행되었고, 소학부 종목은 준결승까지 40분 경기로, 결승은 50분 경기로 진행되었다.[4]
경기장
[편집]| 경기장 | 도시 | 좌석 | 수용 | 부문 | 비고 |
|---|---|---|---|---|---|
| 광성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평양 | 전부문 |
축구단
[편집]| 부문 | 축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선수 | 비고 |
|---|---|---|---|---|---|---|
| 청년부 | 만수구락부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무오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숭실대학 축구단 | 평양 | 1925 | 1 | 김구, 김선영, 김세형, 김원섭, 박원정, 이권찬, 이도웅, 이동필, 정경윤, 조승일, 황원경 |
||
| 용사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재경성평남유학생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조선 축구단 | 경성 | 1925 | 1 | 권태호, 김영희, 김원태, 김제정, 김충배, 박긍진, 백기주, 손희염, 이영민, 최태순, 황점용 |
||
| 중학부 |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숭실중학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숭인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평양고등보통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소학부 |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광진학교 축구단 | 장연 | 1925 | 1 | |||
| 기명소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기성의숙 축구단 | 대동 | 1925 | 1 | |||
|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숭덕보통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신흥학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약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종로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부속보통학교 축구단 | 평양 | 1925 | 1 | |||
청년부
[편집]| 1라운드 | 4강 | 결승 | ||||||||
| 5월 7일 - 평양 | ||||||||||
| 재경성평남유학생 축구단 | 3 | |||||||||
| 5월 8일 - 평양 | ||||||||||
| 용사 축구단 | 1 | |||||||||
| 재경성평남유학생 축구단 | 0 | |||||||||
| 5월 7일 - 평양 | ||||||||||
| 무오 축구단 | 2 | |||||||||
| 무오 축구단 | 3 | |||||||||
| 5월 9일 - 평양 | ||||||||||
| 만수구락부 축구단 | 0 | |||||||||
| 무오 축구단 | 4 | |||||||||
| 숭실대학 축구단 | 0 | |||||||||
| 5월 8일 - 평양 | ||||||||||
| 숭실대학 축구단 | ||||||||||
| 조선 축구단 | ||||||||||
1925년 5월 7일에 진행된 재경성평남유학생 축구단과 용사 축구단 간의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0:0으로 비긴 후, 5월 8일 10시 15분에 진행된 연장전에서 재경성평남유학생 축구단이 3:1로 이기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1][5] 1925년 5월 8일 10시 45분에 진행된 무오 축구단과 만수구락부 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는 무오 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4강에 진출했다.[1][5]
1925년 5월 8일에 진행된 숭실대학 축구단과 조선 축구단 간의 4강 첫 번째 경기는 정규 시간에도 승부가 가려지지 않자 20분 연장전에도 비기고 10분 연장전에도 계속 비겨서 추첨을 통해 숭실대학 축구단이 결승에 진출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6] 1925년 5월 9일 11시 25분에 진행된 재경성평남유학생 축구단과 무오 축구단 간의 4강 두 번째 경기는 무오 축구단이 2: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7][8]
1925년 5월 9일에 진행된 무오 축구단과 숭실대학 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무오 축구단이 4: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8][9]
중학부
[편집]| 4강 | 결승 | |||||
| 5월 7일 - 평양 | ||||||
|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 1 | |||||
| 5월 9일 - 평양 | ||||||
| 숭인학교 축구단 | 0 | |||||
|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 0 | |||||
| 5월 8일 - 평양 | ||||||
| 평양고등보통학교 축구단 | 1 | |||||
| 숭실중학 축구단 | 0 | |||||
| 평양고등보통학교 축구단 | 1 | |||||
1925년 5월 7일에 진행된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과 숭인학교 축구단 간의 4강 첫 번째 경기는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1:0으로 이기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1][5][8] 1925년 5월 8일에 진행된 숭실중학 축구단과 평양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4강 두 번째 경기는 평양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1: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6]
1925년 5월 9일에 진행된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과 평양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평양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1: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7][8]
소학부
[편집]| 1라운드 | 4강 | 결승 | 결승전 | |||||||||||
| 5월 7일 - 평양 | ||||||||||||||
| 약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4 | |||||||||||||
| 5월 7일 - 평양 | ||||||||||||||
| 종로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0 | |||||||||||||
| 약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0 | |||||||||||||
|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 2 | |||||||||||||
| 5월 8일 - 평양 | ||||||||||||||
|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 2 | |||||||||||||
| 5월 7일 - 평양 | ||||||||||||||
| 신흥학원 축구단 | 0 | |||||||||||||
| 기명소학교 축구단 | 0 | |||||||||||||
| 5월 7일 - 평양 | ||||||||||||||
| 신흥학원 축구단 | 2 | |||||||||||||
| 신흥학원 축구단 | ||||||||||||||
| 광진학교 축구단 | 실격 | |||||||||||||
| 5월 16일 - 평양 | ||||||||||||||
|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 5 | |||||||||||||
|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1 | |||||||||||||
| 5월 7일 - 평양 | ||||||||||||||
| 숭덕보통학교 축구단 | 실격 | |||||||||||||
| 기성의숙 축구단 | ||||||||||||||
| 5월 16일 - 평양 | ||||||||||||||
| 기성의숙 축구단 | 실격 | |||||||||||||
|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
| 5월 7일 - 평양 | ||||||||||||||
|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부속보통학교 축구단 | ||||||||||||||
|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 ||||||||||||||
1925년 5월 7일 10시 30분에 시작된 기명소학교 축구단과 신흥학원 축구단 간의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신흥학원 축구단이 2:0으로 이기며 8강에 진출했고, 약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과 종로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는 약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이 4:0으로 이기며 8강에 진출했다.[1][5]
1925년 5월 7일에 진행된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부속보통학교 축구단과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8강 첫 번째 경기는 40분 정규 시간 내 득점 없이 비기고, 연장전 20분 경기에서도 득점 없이 비긴 후 추가 연장전 10분 경기에서도 득점 없이 비겨 추첨을 통해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이 4강에 진출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1][5] 신흥학원 축구단과 광진학교 축구단 간의 8강 두 번째 경기는 광진학교 축구단이 전반전까지 1:0으로 앞서고 있다가 광진학교 축구단 측에 자격이 없는 선수가 출전한 것이 확인되어 신흥학원 축구단이 부전승하여 4강에 진출했다.[1][5] 약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과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8강 세 번째 경기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이 2:0으로 승리하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고, 숭덕보통학교 축구단과 기성의숙 축구단 간의 8강 네 번째 경기는 40분 정규 시간 내 득점 없이 비기고 연장전 20분 경기에서 숭덕보통학교 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1][5]
1925년 5월 8일에 진행된 광성보통학교 축구단과 신흥학원 축구단 간의 4강 첫 번째 경기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이 2: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고, 숭덕보통학교 축구단과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4강 두 번째 경기는 숭덕보통학교 축구단이 2: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6]
1925년 5월 9일에 진행될 예정이었던 광성보통학교 축구단과 숭덕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숭덕보통학교 축구단 선수 중 무자격 선수가 있다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의 이의제기로 인해 연기되었다.[7][8] 조사 결과 숭덕보통학교 축구단 선수 중 무자격 선수가 확인되어 숭덕보통학교 축구단의 경기는 무효로 처리하고, 주최 측에서는 기성의숙 축구단과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대진으로 4강 경기를 5월 16일에 진행하기로 결정했다.[3][10] 기성의숙 축구단 선수 중 무자격 선수가 확인되어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이 결승에 진출했다.[11]
1925년 5월 16일 15시에 진행된 광성보통학교 축구단과 상수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이 5:1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豪雨(호우)를冒(모)하고 觀衆無慮萬餘(관중무려만여)!”. 동아일보. 1925년 5월 9일.
- ↑ “盛况(성황)이豫期(예기)되는 今日(금일)의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5월 7일.
- ↑ 가 나 “廷期(정기)되얏든 小學團决勝戰(소학단결승전)”. 조선일보. 1925년 5월 15일.
- ↑ “平壤(평양)에蹴球大會(축구대회) 關西體育主催(관서체육주최)로七八九(칠팔구)의三日間(삼일간)”. 조선일보. 1925년 5월 6일.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平壤(평양)에모혀든 二十團體(이십단체)의勇士(용사) 雨中壯觀(우중장관)”. 조선일보. 1925년 5월 9일.
- ↑ 가 나 다 “遠來(원래)의朝鮮軍惜敗(조선군석패)”. 동아일보. 1925년 5월 10일.
- ↑ 가 나 다 “平壤蹴球大會(평양축구대회) 决勝戰(결승전)”. 조선일보. 1925년 5월 10일.
- ↑ 가 나 다 라 마 “盛况裡(성황리)에마친决勝戰績(결승전적)”. 조선일보. 1925년 5월 11일.
-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 (1920~1945)》. 대한체육회. 2020. 419쪽.
- ↑ “今日小學團决勝(금일소학단결승)”. 동아일보. 1925년 5월 16일.
- ↑ 가 나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小學團决勝戰(소학단결승전)”. 조선일보. 1925년 5월 18일.
참고 문헌
[편집]-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대한체육회.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Ⅰ 통사 (민족과 함께 한 대한민국 체육 100년)》.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 (1920~1945)》.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Ⅲ 세계를 향한 도전 (1945~1980)》.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Ⅳ 스포츠로 꽃피운 대한민국 (1981~2000)》.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Ⅴ 스포츠강국을 넘어 선진국으로(2001~2020)》. 대한체육회. 2020.
- 《韓國蹴球百年史(한국축구백년사)》. 대한축구협회. 1986.
-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四月二十九日(사월이십구일)부터平壤(평양)서開催(개최)”. 동아일보. 1925년 3월 20일.
- “蹴球大會期日(축구대회기일)”. 동아일보. 1925년 4월 16일.
- “關西體育主催(관서체육주최)로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조선일보. 1925년 4월 18일.
- “全鮮蹴球準備會(전선축구준비회)”. 동아일보. 1925년 4월 21일.
- “關西體育總會(관서체육총회)”. 조선일보. 1925년 4월 21일.
-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5월 4일.
- “平壤(평양)에蹴球大會(축구대회) 關西體育主催(관서체육주최)로七八九(칠팔구)의三日間(삼일간)”. 조선일보. 1925년 5월 6일.
- “在京留學生(재경유학생)으로 蹴球團組織遠征(축구단조직원정)”. 조선일보. 1925년 5월 7일.
- “盛况(성황)이豫期(예기)되는 今日(금일)의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5년 5월 7일.
- “盛况(성황)을豫期(예기)하는 平壤(평양)의蹴球大會(축구대회)”. 조선일보. 1925년 5월 7일.
- “蹴球抽籤結果(축구추첨결과)”. 조선일보. 1925년 5월 7일.
- “豪雨(호우)를冒(모)하고 觀衆無慮萬餘(관중무려만여)!”. 동아일보. 1925년 5월 9일.
- “平壤(평양)에모혀든 二十團體(이십단체)의勇士(용사) 雨中壯觀(우중장관)”. 조선일보. 1925년 5월 9일.
- “遠來(원래)의朝鮮軍惜敗(조선군석패)”. 동아일보. 1925년 5월 10일.
- “蹴球大會(축구대회)의壯觀(장관)”. 동아일보. 1925년 5월 10일.
- “平壤蹴球大會(평양축구대회) 决勝戰(결승전)”. 조선일보. 1925년 5월 10일.
- “盛况裡(성황리)에마친决勝戰績(결승전적)”. 조선일보. 1925년 5월 11일.
-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를보고”. 조선일보. 1925년 5월 13일.
- “廷期(정기)되얏든 小學團决勝戰(소학단결승전)”. 조선일보. 1925년 5월 15일.
- “今日小學團决勝(금일소학단결승)”. 동아일보. 1925년 5월 16일.
-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小學團决勝戰(소학단결승전)”. 조선일보. 1925년 5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