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한국프로야구
| 개막일 | 1982년 3월 27일 |
| 리그 우승 팀 | 전반기:OB, 후반기:삼성 |
| 최우수선수(MVP) | 박철순
(OB 베어스) |
| 최우수신인 | 없음 |
| 올스타전 최우수선수(MVP) | 신경식 (OB 베어스) |
| 참가 구단 | MBC 청룡 |
1982년 한국 프로야구는 한국 프로야구의 첫번째 시즌이다. 경기는 전기 리그 40경기,후기 리그 40경기로 총 80경기를 치렀다. 최종 우승 팀은 OB 베어스이다.
1982년에 있었던 팀은 MBC 청룡, 삼성 라이온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해태 타이거즈, 삼미 슈퍼스타즈가 있었다.
개막전
[편집]1982년 프로야구의 개막식이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렸다. 이날 개막식에는 총 6개 구단의 선수와 감독들이 입장하고 이용일 한국야구위원회 사무총장이 개회를 선언했다. 대회 명칭은 1982년 한국야구선수권대회였다.
선수대표 선서는 OB 베어스의 윤동균 선수가 했다. 개막전 시구는 전두환 대통령이 했다. 대통령이 시구를 마치자 관중들의 박수 갈채를 받았다. 이날 삼성 라이온즈와 MBC 청룡의 개막전 경기가 열렸다. MBC 청룡 이종도 선수가 극적인 끝내기 홈런을 기록하며 MBC 청룡이 11대 7로 승리를 거뒀다.
1982년 프로야구 순위
[편집]팀 순위
[편집]|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승률 | 게임 차 | 주석 및 기타 |
| 1 | OB | 80 | 56 | 0 | 24 | 0.700 | 0.0 | KBO리그 사상 첫 우승 |
| 2 | 삼성 | 80 | 54 | 0 | 26 | 0.675 | 2.0 | |
| 3 | MBC | 80 | 46 | 0 | 34 | 0.575 | 10.0 | |
| 4 | 해태 | 80 | 38 | 0 | 42 | 0.475 | 18.0 | |
| 5 | 롯데 | 80 | 31 | 0 | 49 | 0.388 | 25.0 | |
| 6 | 삼미 | 80 | 15 | 0 | 65 | 0.188 | 41.0 | 시즌별 역대 최저 승률 |
전기 리그 순위
[편집]|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승률 | 게임 차 | 주석 및 기타 |
| 1 | OB | 40 | 29 | 0 | 11 | 0.725 | 0.0 | |
| 2 | 삼성 | 40 | 26 | 0 | 14 | 0.650 | 3.0 | |
| 3 | MBC | 40 | 22 | 0 | 18 | 0.550 | 7.0 | |
| 4 | 해태 | 40 | 20 | 0 | 20 | 0.500 | 9.0 | |
| 5 | 롯데 | 40 | 13 | 0 | 27 | 0.325 | 16.0 | |
| 6 | 삼미 | 40 | 10 | 0 | 30 | 0.250 | 19.0 |
후기 리그 순위
[편집]|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승률 | 게임 차 | 주석 및 기타 |
| 1 | 삼성 | 40 | 28 | 0 | 12 | 0.700 | 0.0 | |
| 2 | OB | 40 | 27 | 0 | 13 | 0.675 | 1.0 | |
| 3 | MBC | 40 | 24 | 0 | 16 | 0.600 | 4.0 | |
| 4 | 해태 | 40 | 18 | 0 | 22 | 0.450 | 10.0 | |
| 5 | 롯데 | 40 | 18 | 0 | 22 | 0.450 | 10.0 | |
| 6 | 삼미 | 40 | 5 | 0 | 35 | 0.125 | 23.0 | 역대 최저 승률 |
팀별 기록 순위
[편집]
|
|
|
주요 기록
[편집]| 기록 | 날짜 | 선수 | 소속팀 | 상대팀 | 기타 |
|---|---|---|---|---|---|
| 한국 프로야구 첫 선발 | 1982.3.27 | 이길환 | MBC | 삼성 | |
| 한국 프로야구 첫 타석 | 1982.3.27 | 천보성 | 삼성 | MBC | |
| 한국 프로야구 첫 구심 | 1982.3.27 | 김광철 | 삼성 대 MBC 경기 | ||
| 한국 프로야구 첫 아웃 | 1982.3.27 | 천보성 | 삼성 | MBC | 1회 |
| 한국 프로야구 첫 死球 | 1982.3.27 | 김인식 | MBC | 삼성 | 연장 10회 |
| 한국 프로야구 첫 안타 | 1982.3.27 | 이만수 | 삼성 | MBC | 1회 |
| 한국 프로야구 첫 타점 | 1982.3.27 | 이만수 | 삼성 | MBC | 1회 |
| 한국 프로야구 첫 홈런 | 1982.3.27 | 이만수 | 삼성 | MBC | 3회 |
| 한국 프로야구 첫 만루 홈런 | 1982.3.27 | 이종도 | MBC | 삼성 | 연장 10회 |
| 한국 프로야구 첫 끝내기 홈런 | 1982.3.27 | 이종도 | MBC | 삼성 | 연장 10회 |
| 한국 프로야구 첫 승리 투수 | 1982.3.27 | 유종겸 | MBC | 삼성 | 3회 구원 등판 |
| 한국 프로야구 첫 패전 투수 | 1982.3.27 | 이선희 | 삼성 | MBC | |
| 한국 프로야구 첫 10승 투수 | 1982.5.24 | 박철순 | OB | 삼성 | |
| 한국 프로야구 첫 20승 투수 | 1982.8.15 | 박철순 | OB | MBC | 5회 구원 등판 |
| 한국 프로야구 최초 22연승 투수 | 1982.9.18 | 박철순 | OB | 롯데 | 22연승은 1982년 이후 없음 |
| 한국 프로야구 첫 1점대 방어율 | 1982 | 박철순 | OB | ||
| 한국 프로야구 첫 동시의 3할과 10승 | 1982 | 김성한 | 해태 | 3할과 10승은 1982년 이후 없음 | |
| 한국 프로야구 첫 200이닝 | 1982 | 박철순 | OB | ||
| 한국 프로야구 최초 4할 | 1982 | 백인천 | MBC | 4할은 1982년 이후 없음 |
통계
[편집]타자 TOP
[편집]| 부문 | 선수 | 기록 |
|---|---|---|
| 타율(AVG) | 백인천(MBC) | 0.412 |
| 득점 | 백인천(MBC) 김봉연(해태) |
55 |
| 최고 OPS | 백인천(MBC) | 1.242 |
| 홈런(HR) | 김봉연(해태) | 22 |
| 타점(RBI) | 김성한(해태) | 69 |
| 안타(H) | 백인천(MBC) | 103 |
| 도루(SB) | 김일권(해태) | 53 |
투수 TOP
[편집]| 부문 | 선수 | 기록 |
|---|---|---|
| 승리(W) | 박철순(OB) | 24(16선발승) |
| 평균자책(ERA) | 박철순(OB) | 1.84 |
| 탈삼진(SO) | 노상수(롯데) | 141 |
| 세이브 포인트(SP) | 황규봉(삼성) | 19 |
| 승률(WPCT) | 박철순(OB) | 0.857 |
포스트시즌
[편집]한국시리즈
[편집]올스타전
[편집]1982년 한국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7월 1일 구덕야구장, 7월 3일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7월 4일 동대문야구장에서 총 세차례 열렸다.
1982년 수상 내역
[편집]| 연도 | MVP | 올스타전 MVP | 한국시리즈MVP |
|---|---|---|---|
| 1982 | 박철순(OB) | 김용희(롯데) | 김유동(OB) |
1982년 골든 글러브 수상자
[편집]| 연도 | 투수 | 포수 | 1루수 | 2루수 | 3루수 | 유격수 | 외야수 | 외야수 | 외야수 | 지명타자 |
|---|---|---|---|---|---|---|---|---|---|---|
| 1982 | 황태환 (OB) |
김용운 (MBC) |
김용달 (MBC) |
차영화 (해태) |
김용희 (롯데) |
오대석 (삼성) |
김성관 (롯데) |
양승관 (삼미) |
김준환 (해태) |
없음 |
1982년 베스트 10 수상자
[편집]| 연도 | 투수 | 포수 | 1루수 | 2루수 | 3루수 | 유격수 | 좌익수 | 중견수 | 우익수 | 지명타자 |
|---|---|---|---|---|---|---|---|---|---|---|
| 1982 | 박철순 (OB) |
이만수 (삼성) |
김봉연 (해태) |
구천서 (OB) |
이광은 (MBC) |
오대석 (삼성) |
이종도 (MBC) |
장태수 (삼성) |
윤동균 (OB) |
백인천 (MBC) |
1982년 한국프로야구 관중 현황
[편집]| 연도 | OB | 삼성 | MBC | 해태 | 롯데 | 삼미 | 합계 |
|---|---|---|---|---|---|---|---|
| 1982 | 163,822명 | 330,467명 | 298,051명 | 261,182명 | 264,295명 | 120,951명 | 1,438,768명 |
방송 매체
[편집]1982년 당시에는 KBS와 MBC 외에 프로야구 경기를 중계할 수 있는 다른 방송사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야구 경기는 두 방송사의 텔레비전과 라디오 채널을 통해 송출되었다. MBC는 자사가 보유한 구단의 경기를 중심으로 중계 편성을 구성하였으며, 평일 낮 시간대에 경기가 편성될 경우에는 별도의 승인 절차를 거쳐 방송 시간을 확보하였다. 다만, 정규 프로그램 편성과 충돌하는 상황에서는 중계가 중도에 축소되거나 종료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야간 경기와 관련해서는 경기 시작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에야 중계가 개시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한편, 양 방송사 간 중계 방식에는 팀명 호칭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KBS는 MBC 청룡과의 경쟁 구도를 고려하여 기업명을 제외한 '베어스', '라이온즈'와 같은 팀명 중심의 약칭을 사용하였다. 반면 MBC는 스포츠 해설가 허구연의 제안을 수용하여 기업 홍보적 측면을 반영하였고, 이에 따라 'OB', '삼성' 등 기업명을 우선적으로 부르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 1982년 OB 베어스 시즌
-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시즌
- 1982년 MBC 청룡 시즌
- 1982년 해태 타이거즈 시즌
- 1982년 롯데 자이언츠 시즌
- 1982년 삼미 슈퍼스타즈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