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에베레스트 눈사태
![]() 2005년의 쿰부 아이스폴. 2014년 눈사태는 아이스폴 위에 있는 에베레스트 서쪽 능선(중앙 왼쪽)의 얼음 덩어리에서 빙탑이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 |
날짜 | 2014년 4월 18일 |
---|---|
시간 | 현지 시각 06:45 (01:00 UTC) |
위치 | 에베레스트산 쿰부 아이스폴 |
좌표 | 북위 27° 59′ 32″ 동경 86° 52′ 38″ / 북위 27.99222° 동경 86.87722° |
원인 | 눈사태 |
사망자 | 16명 |
부상자 | 9명 |
2014년 에베레스트 눈사태는 2014년 4월 18일 에베레스트산 서쪽 지능선의 빙탑이 무너지면서 발생한 눈사태로, 쿰부 아이스폴에서 16명의 셰르파 등반가가 사망했다. 이곳은 1970년 에베레스트 참사가 발생했던 같은 빙폭이었다. 이틀 만에 13구의 시신이 수습되었지만, 나머지 3구는 구조 작업의 위험성 때문에 끝내 찾지 못했다. 많은 셰르파는 네팔 정부가 희생자 가족에게 제시한 보상액이 미미하다고 보고 분노했으며, 시위 또는 파업을 위협했다. 4월 22일, 셰르파는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2014년 남은 기간 동안 에베레스트에서 일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배경
[편집]
에베레스트산의 가이드 고용
[편집]에베레스트산의 로프 설치를 포함한 고산 작업에 특화된 가이드이자 짐꾼으로 일하는 셰르파는 보통 등반 한 번에 하루 125달러를 번다. 대부분 등반가 가족 출신이며, 등반으로 인한 부에 대한 이야기 속에서 자랐고, 다른 경제적 기회는 상대적으로 적다. 매년 등반 시즌에는 주로 셰르파 민족 집단 출신인 350명에서 450명 정도의 사람들이 일한다.[1] (이들은 특정 민족과 상관없이 모두 "셰르파"로 불린다.) 이들은 네팔의 평균 연봉 700달러에 비해 연간 최대 5,000달러를 벌 수 있다.[2]
참사가 발생하기 전 몇 년 동안, 외국인이 자신들의 가이드를 데려오기 시작하면서 현지인과의 갈등이 발생했다.[1] 2013년에는 에베레스트산에서 가장 경험 많은 셰르파 가이드 중 한 명을 포함하여 8명이 사망했다.[3][4]
쿰부 아이스폴 경로에 대한 우려
[편집]
쿰부 아이스폴 내외에 수많은 불안정한 얼음 덩어리(빙탑)가 존재하기 때문에 등반가는 온도가 올라 얼음이 풀리기 전인 이른 아침에 가능한 한 빨리 통과하려고 한다.[1] 2012년 봄, 등반 회사 히멕스의 러셀 브라이스는 안전 문제로 인해 자신의 회사가 운영하는 가이드 등반을 취소했다. 그는 에베레스트 서쪽 능선에 있는 300 m 폭의 얼음 절벽 또는 얼음 덩어리의 안정성에 대해 우려했으며, 이 덩어리가 무너지면 쿰부 아이스폴을 통과하는 경로가 위험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한 번에 50명 정도의 사람들이 절벽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보면 무섭다"고 말했다.[5] 그러나 브라이스와 히멕스는 2014년 등반 시즌을 위해 에베레스트 남쪽 면으로 돌아왔다.[6] 산악인 앨런 아르네트는 이 얼음 덩어리가 수년 동안 알려진 위험 요소였으며 거의 매 시즌 쿰부 아이스폴로 얼음을 떨어뜨렸다고 보고했다. 그는 "2012년에는 많은 등반가가 간신히 피했다"고 덧붙였다.[7] 작가이자 산악인인 존 크라카우어에 따르면, 2014년 얼음 눈사태는 "베벌리힐스 맨션 크기"의 얼음 덩어리가 덩어리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발생했다.[5]
빙하의 얼음 이동으로 인해 조건이 정기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등반 가이드는 매 시즌마다 아이스폴을 통과하는 새로운 경로를 찾고 유지해야 한다.[3]
얼음 눈사태
[편집]대략 네팔 표준시 오전 6시 45분경(2014년 4월 18일 UTC 01:00), 에베레스트산 남쪽 경사면에서 약 5,800 m 고도에 얼음 눈사태가 발생했다.[8] 주로 셰르파인 25명의 사람들이 눈사태에 매몰되었다.[5] 이 무리는 다가오는 등반 시즌을 위해 유료 등반가를 위한 사우스 콜 경로에 로프를 설치하고 개척하길 준비하는 중이었다.[3] 사고 지역은 현지에서 "황금 문" 또는 "팝콘 필드"로 알려져 있으며, 쿰부 아이스폴 내에 있다.[1][8]
얼음 눈사태는 에베레스트 서쪽 능선에서 큰 빙탑이 부서지면서 발생했다. 대부분의 보도와는 달리 일반적인 의미의 눈사태가 아니었다. 눈이 거의 포함되지 않았고 큰 빙탑 얼음 덩어리가 낙석과 훨씬 더 유사하게 행동했기 때문이다.[1][9] 이 빙탑은 두께가 34.5미터, 질량이 14,300톤으로 추정되었다.[10] 산사태를 막기 위한 방어 구조물 건설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이 규모의 사건에는 필요한 만큼의 방벽 건설이 불가능하다.[11]

희생자
[편집]희생자[1] |
---|
밍마 누루 셰르파 |
도르지 셰르파 |
앙 치리 셰르파 |
니마 셰르파 |
푸르바 옹얄 셰르파 |
락파 텐징 셰르파 |
치링 옹추 셰르파 |
도르지 카트리 |
텐 도르지 셰르파 |
푸르 템바 셰르파 |
파상 카르마 셰르파 |
아스만 타망 |
텐징 초타르 셰르파 |
안카지 셰르파 |
펨 텐지 셰르파 |
아쉬 바하두르 구룽 |
이 재난으로 16명이 사망했다. "너무 위험하다"는 이유로 수색 및 구조 작업이 중단되면서 48시간 이내에 13구의 시신이 수습되었다. 3명의 희생자는 여전히 약 80~100 m의 눈과 얼음 속에 묻혀 있다.[12] 9명의 다른 가이드도 부상을 입었는데, 이 중 3명은 중환자실 입원이 필요했다.[2][12]
사망자 중 4명은 네팔 솔루쿰부구 출신의 셰르파였다.[13] 5명은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일하며, 조비 오그윈이 산에서 베이스 점프를 시도할 예정인 다가오는 특별 방송을 준비 중이었다.[4] 외국인 사망자는 없었다.[1] 산악인 팀 리펠에 따르면, 희생자는 눈사태가 발생했을 때 천천히 움직이며 많은 "장비, 텐트, 스토브, 산소 등을 캠프에 보급하기 위해" 운반 중이었다.[1] 셰르파는 이른 아침에 출발했지만, 좋지 않은 등반 조건으로 인해 이동이 지연되었다.[3][4] 재난 영화 《에베레스트》 (2015)의 두 번째 유닛 촬영팀은 근처에서 촬영 중이었지만, 부상자나 사망자는 없었다. 영화 제작에 참여한 셰르파는 눈사태 발생 후 지원을 제공했다.[14] 총 수색 및 구조팀에는 9명의 셰르파와 3명의 외국인이 포함되었다.[12]
2014년 재난은 에베레스트 역사상 두 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재난으로, 다음 해 4월 25일 네팔에서 발생한 규모 7.8의 지진으로 촉발된 산 남쪽 사면을 강타한 눈사태로 이번 산사태의 사망자를 경신했다.
반응
[편집]리펠은 "베이스캠프의 모두가 충격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일부 등반가는 즉시 짐을 싸서 떠났다.[1]
가이드 가족에게 10,000달러를 지급하는 의무 보험 정책 외에, 네팔 정부는 희생자 유가족에게 즉각적인 구호금으로 네팔 40,000루피 (400달러)를 지급한다고 발표했다.[13][15] 장례 비용만을 충당하는 이 정부 제안은 셰르파를 분노하게 했고, 네팔 산악 협회 (NMA)가 이 제안을 거부했다.[15] NMA는 사망, 부상, 실종자 가족에게 10,000달러의 보상금이 지급되지 않으면 7일 이내에 에베레스트 작업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사망자를 위한 기념물 건설, 보험 적용 범위를 20,000달러로 두 배 인상, 정부의 의료비 지불을 요구했다.[16] 확인되지 않은 보고에 따르면, 350명의 가이드가 에베레스트 운영 중단에 투표했다. 다른 보고에 따르면, 가이드들은 명시되지 않은 "강력한 시위"에 동의했다.[2]
4월 21일, 사망자 8명의 시신이 카트만두를 통해 의례적으로 운구되었고, 이후 불교식 장례 의식으로 화장되었다.[2] 4월 22일, 셰르파는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2014년 남은 기간 동안 에베레스트에서 일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17] 툴시 구룽은 "오늘 오후 긴 회의를 가졌고, 우리 형제를 기리기 위해 올해 등반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모든 셰르파는 이에 단결했다"고 말했다.[17] 각각 10,000달러에 팔린 334개의 등반 허가의 운명은 불확실하다.[15] 4월 24일까지 거의 모든 원정대는 등반 계획을 포기하기로 결정했으며, 눈사태 전 베이스캠프에 있던 600명의 산악인 중 40~50명만이 남았다.[11]
4월 23일, 네팔 정부는 사망한 등반가 가족에게 추가로 네팔 루피 500,000달러(약 5,100달러)를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8] 이 자금은 2014년 12월에 지급되기 시작했지만, 2015년 1월 보도에 따르면 유가족 셰르파 가족들은 카트만두에서 서류를 제출해야만 돈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더욱 분노했다. 쿰부 지역에 사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19]
디스커버리는 얼음 눈사태 발생 직후 오그윈의 베이스 점프 계획을 취소하고, 비극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방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0][21] 〈에베레스트 눈사태 비극〉이라는 제목의 90분짜리 프로그램은 5월 4일에 방영되었다. 또한 이 재난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가족을 지원하는 자선단체인 미국 히말라야 재단 셰르파 가족 기금에 회사가 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20]
사고 발생 후, NMA 회장 앙 체링 셰르파는 유럽 스키 리조트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눈사태 방지 장벽을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11] 그는 "우리는 ... 선진국 산악 관리 방식에서 배우고, 눈사태를 피하기 위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 나무나 콘크리트 같은 것을 설치하여 안전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11] 그러나 이 정도 규모의 사건에 대한 방어 구조물은 실현 가능성이 매우 낮다.
2015년 다큐멘터리 《셰르파》는 촬영팀이 눈사태 발생 현장에 있을 때의 반응을 탐구한다.[22]
영향 및 여파
[편집]연도 | 정상 등반자 수 | 참고 자료 |
---|---|---|
2012년 | 547 | [23] |
2013년 | 658 | [24] |
2014 | 106 | [25] |
2015년 | 0 | [26] |
2016년 | 641 | [27] |
2017년 | 648 | [28] |
2018년 | 801 |
2014년 재난 이후 등반
[편집]2014년 5월 23일, 중국인 사업가 왕징이 5명의 셰르파와 함께 사우스 콜 경로를 통해 에베레스트를 처음으로 등반했다.[29][30] 왕징은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쿰부 아이스폴을 건너뛰고 6,400 m 지점으로 이동했는데, 이 결정은 2014년 로프와 사다리가 제거되었기 때문이다.[29] 왕징은 새로운 로프 없이 평소 14시 마감 시간을 넘어 등반을 마쳤고, 어둠 속에서 하산했다.[29] 왕이 원래 원정을 위해 사용하려던 팀의 리더인 탐딩 셰르파는 등반을 "속임수"라고 간주했다.[30]
2015년의 변화
[편집]아이스폴 왼쪽을 오르는 노멀 루트의 위험성 때문에 네팔 정부는 2015년 2월 아이스폴 중앙을 오르는 새로운 루트를 따를 것이라고 발표했다.[31] 네팔 정부 관광부 국장 툴라시 프라사드 가우탐에 따르면, "지난해 눈사태에 대응하여 우리는 옛 경로를 피함으로써 에베레스트 등반을 조금 더 안전하게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고 덧붙였다.[31]
또한, 2015년에는 각 셰르파의 보험금이 11,000달러에서 15,000달러로 인상되었다.[3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Barry, Ellen; Bowlet, Graham (2014년 4월 18일). “Deadliest Day: Sherpas Bear Everest's Risks”. 《뉴욕 타임스》.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Gopal Sherma (2014년 4월 21일). “As Nepali sherpa families cremate Everest victims, anger grows”. 《Reuters》. 2016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Burke, Jason; Rauniyar, Ishwar (2014년 4월 18일). “Mount Everest avalanche leaves at least 12 Nepalese climbers dead”. 《The Guardian》 (London).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Twelve Dead in Mount Everest Avalanche”. 《Daily Telegraph》 (Australia).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Krakauer, Jon (2014년 4월 21일). “Death and Anger on Everest”. 《더 뉴요커》. 2014년 4월 22일에 확인함.
Of the twenty-five men hit by the falling ice, sixteen were killed, all of them Nepalis working for guided climbing teams.
- ↑ “Himalayan Experience » Expeditions » » Everest South Side » Newsletters » Everest 2014”. 《himalayanexperience.com》. 2014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Arnette, Alan. “Everest 2014: Everest Nepal Officially Closed: The Big Picture”. alanarnette.com. 2014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Everest avalanche kills at least 12 Sherpa guides”. 《BBC News》. 2014년 4월 18일.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Arnette, Alan. “Everest 2014: Avalanche Near Camp 1-Sherpa Deaths:Update 7”. alanarnette.com. 2014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Kelley McMillan (2014년 10월 15일). “Measuring Everest's Monster Avalanche”. 《National Geographic News》. 2014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Burke, Jason (2014년 4월 26일). “Nepalese official calls for avalanche barriers on Everest in wake of disaster”. 《더 가디언》. 2014년 4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Everest avalanche: Search mission called off citing 'too much risk'”. Kantipur Publications. 2014년 4월 20일.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12+ Trekkers killed Avalanche hits Mt. Everest Base Camp in Nepal”. 《IANS》. news.biharprabha.com.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Fleming, Mike Jr. (2014년 4월 18일). “'Everest' Movie Crew OK After Tragic Avalanche”. 《데드라인 할리우드》. 2014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Douglas, Ed (2014년 4월 20일). “Everest Sherpas divided over call to halt climbs after fatal avalanche”. 《더 가디언》.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Nepal guides demand avalanche compensation – Central & South Asia”. Al Jazeera English.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Sherpas abandon Everest climbing season after deadly avalanche”. 《더 가디언》. 2014년 4월 22일. 2014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Govt to provide Rs 500,000 each to bereaved families”. 《Republica》. 2014년 4월 23일. 2014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Pert, Charlotte (2015년 1월 4일). “Sherpa families angry and fearful eight months on from Everest disaster”. 《더 가디언》. 2015년 1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Patrick Kevin Day (2014년 4월 24일). “Discovery to air 'Everest Avalanche Tragedy' doc in May”. 《Los Angeles Times》. 2014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Everest jump called off after avalanche”. 《더 가디언》. 2014년 4월 21일.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Utichi, Joe (2015년 11월 24일). “'Sherpa' Doc Director Jennifer Peedom On Filming Through Everest Tragedy & Giving The Sherpas A Voice”. Deadline. 2016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Everest Maxed Out”. ngm.nationalgeographic.com. 2013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Everest 2013: Season Recap: Summits, Records and Fights”. alanarnette.com. 2016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Everest 2014: Season Summary - A Nepal Tragedy”. alanarnette.com. 2016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Peter Holley (2016년 1월 12일). “The Washington Post - For the first time in four decades, nobody made it to the top of Mount Everest last year”. 《washingtonpost.com》. 2016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Everest by the Numbers: 2018 Edition”. 2017년 12월 18일.
- ↑ Simon Parker, Travel writer. “Is it time to ban Western travellers - and their egos - from Mount Everest?”. 《The Telegraph》.
- ↑ 가 나 다 “Woman Whose Post-Avalanche Everest Ascent Sparked Outrage Defends Her Feat”. 2014년 8월 7일. 2021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Nelson, Dean (2014년 5월 26일). “First climber to scale Everest this year accused of cheating”. 《Telegraph》.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Burke, Jason (2015년 2월 19일). “Everest climbers to follow new route after last year's disaster”. 《더 가디언》. 2015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Cadwalladr, Carole (2015년 4월 12일). “Everest: is it right to go back to the top?”. 《The Observer》. 2015년 4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EverestAvalancheTragedy.com은 디스커버리의 재난 및 희생자 기부 관련 사이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