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에베레스트 눈사태
![]() 티베트에서 본 에베레스트의 노스페이스 | |
날짜 | 2015년 4월 25일 |
---|---|
위치 | 에베레스트산 베이스캠프 |
원인 | 눈사태 |
사망자 | 24 |
부상자 | 61 |
2015년 4월 25일 오후, 규모 7.8의 지진이 네팔과 주변국을 강타했다.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은 푸모리에서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로 눈사태를 일으켰다. 이 눈사태로 최소 22명이 사망하여 2014년 발생한 눈사태의 사망자 수를 넘어서는 에베레스트산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재해로 기록되었다.[1]
눈사태
[편집]
에베레스트산은 진앙에서 약 220 km 동쪽에 있으며, 지진 발생 당시 산 위 또는 근처에는 700에서 1,000명 사이의 사람들이 있었다.[3][4] 이 중에는 베이스캠프에 359명의 등반가들이 있었는데, 이들 중 다수는 취소된 2014년 시즌 이후 돌아온 사람들이었다.[5] 지진은 산 위와 주변에서 여러 차례의 대규모 눈사태를 일으켰다. 인근 봉우리인 푸모리에서 시작된 한 눈사태는 베이스캠프를 덮쳐 많은 텐트를 쿰부 빙하를 가로질러 하부 아이스폴 쪽으로 날려버렸다.[6][3][7][8][9] 인도 육군 산악팀은 남부 베이스캠프에서 산악인 19명의 시신을 수습하고 산에서 고립된 최소 61명의 등반가를 구조했다.[10][11][12]
최소 61명이 부상을 입었고, 수십 명이 실종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안전한 하산 경로를 잃은 채 더 높은 고도의 캠프에 고립된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3][13]
구조 작전
[편집]
헬리콥터는 4월 26일 아침 에베레스트산에 도착하여 구조 작전을 시작했으며,[14] 기상 악화로 중단되기 전에 중상을 입은 22명을 페리체 마을로 이송하는 데 성공했다.[15] 페리체는 등반가에게 중요한 경유지이며, 히말라야 구조 협회 소속 자원봉사 의사가 근무하는 초보적인 병원이 있다.
그날 늦게 헬리콥터는 베이스캠프 위 첫 번째 캠프인 캠프 I에서 여러 등반가를 대피시켰다고 보고했으나 약 100명의 산악인이 여전히 캠프 I과 II에서 안전하게 하산할 수 없었다.[16] 원정대장은 쿰부 아이스폴을 통한 경로를 수리하여 캠프 I에서 등반가를 대피시키기로 결정했다. 4월 26일, 헬리콥터가 캠프 I에 추가 기술 장비를 투하했고 셰르파와 외국인 가이드 팀은 위에서 베이스캠프로 다시 루트를 뚫으려고 시도했다. 동시에 베이스캠프에서 파견된 또 다른 팀은 아래에서 위로 경로를 만드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이 시도는 실패했는데 후속 눈사태로 대부분의 사다리가 파괴되었고, 쿰부 아이스폴에서 셰르파 3명이 사망하여 산의 사망자 수가 최소 24명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17] 4월 27일 헬리콥터를 통해 추가로 산악인이 구조되었다.[18] 재해 발생 며칠 후 베이스캠프의 등반가는 트위터에 "큰 황폐함"과 남은 사람들 사이의 "큰 불확실성"에 대해 글을 올렸고, 그 지역이 핵폭탄에 맞은 것 같다고 진술했다. 한 산악인은 페이스북에 "산 위에 갇힌 사람들이 절박해지고 있다"고 댓글을 달았다.[19] 4월 27일, 캠프 I에서 60명이 구조되었고 캠프 II에서 170명이 구조되었다.[20] 4월 25일에 17구의 시신이 발견되었고, 4월 27일에 1구의 시신이 발견되었다. 4월 26일, 중상을 입었던 61명 중 한 명이 KMC 병원에서 사망했다.[20]
사망자
[편집]
4월 28일 네팔 산악 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19명의 사망자 중 10명은 네팔 셰르파로, 5명은 외국인 등반가로 확인되었다. 4명은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다.[21] 5명의 등반가는 미국인 2명, 중국인 1명, 호주인 1명, 일본인 1명으로 기재되었다.[22] 4월 27일,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24명의 사망자를 보고했다.[17]
구글 임원 댄 프레딘버그는 향후 구글 어스 유형 프로젝트를 위해 지역을 매핑하면서 회사 직원 세 명과 함께 에베레스트를 등반 중이었으며,[23] 다른 미국인 세 명과 함께 사망이 확인되었다.[24]
2015년 등반 시즌에 미친 영향
[편집]쿰부 아이스폴의 사다리가 눈사태로 손상되었지만, 재해에 굴하지 않은 소수의 산악인은 즉시 산 등반을 계속할 허가를 구했고,[25] 네팔 정부는 지진 발생 4일 후인 2015년 4월 29일에 이를 허가했다.[26] 네팔 관광청장 툴시 가우탐은 "사다리는 2~3일 내에 수리될 것이며 등반은 계속될 것이다. 누구도 원정을 중단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지진을 예상할 과학적인 이유는 없으며, 여진에도 불구하고 지면은 등반하기에 충분히 안정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26]
아이스폴을 통한 경로의 남은 시즌 폐쇄가 나중에 발표되었고, 이는 눈사태로 인해 산이 두 번째 연속으로 폐쇄된 해로 기록되었다.[27] 2015년 5월 12일 두 번째 지진이 발생한 후, 네팔 원정대 운영자 협회 회장 담바르 파라줄리는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에 등반가나 네팔 셰르파 가이드가 남아있지 않다고 말했다.[28] 그 결과 2015년 봄에는 아무도 에베레스트산을 등반하지 않았는데, 이는 41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5]
8월에는 일본인 산악인 구리키 노부카즈에게 등반 허가가 발급되었다. 그는 10월(가을 몬순 후 시즌)에 정상 700미터 아래에서 돌아섰다. 그는 이전에 네 번 시도했지만 모든 손가락이 동상으로 손실되었다.[29] 그는 3년 후 여덟 번째 정상 시도에서 사망했다.[30][31]
사망자 명단
[편집]이름 | 국적 | 사망 위치 | 사망 원인 | 사망일 |
---|---|---|---|---|
댄 프레딘버그[32] | ![]() |
베이스캠프 | 눈사태 | 2015년 4월 25일 |
마리사 이브 기라웡[33] | ![]() | |||
톰 태플린[34] | ![]() | |||
펨바 셰르파[21] | ![]() | |||
다와 체링 셰르파[2] | ![]() | |||
마일라 (밀란) 라이[21] | ![]() | |||
치미 다와 셰르파[21] | ![]() | |||
페마 이시 (히시) 셰르파[21] | ![]() | |||
파상 템바 셰르파[21] | ![]() | |||
크리슈나 쿠마르 라이[21] | ![]() | |||
텐징 (텡기엔) 보테[21] | ![]() | |||
레누 포테다르[35] | ![]() ![]() | |||
락파 치링 셰르파[21] | ![]() | |||
빈 쯔엉[36] | ![]() ![]() | |||
시바 쿠마르 슈레스타[21] | ![]() | |||
장부 셰르파[37] | ![]() |
카트만두 | 4월 25일 눈사태로 인한 부상으로 사망 | 2015년 5월 1일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Fuller, Thomas; Buckley, Chris (2015년 4월 26일). “Earthquake Aftershocks Jolt Nepal as Death Toll Rises Above 3,400”. 《The New York Times》 – NYTimes.com 경유.
- ↑ 가 나 “Everest K2 News ExplorersWeb – Everest: List of Avalanche Victims”.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Gopal Sharma (2015년 4월 25일). “Seventeen bodies found at Everest base camp: Official”. The Toronto Sun. Reuters. No longer available
- ↑ “Earthquake Devastates Nepal, Killing More Than 1,900”. NY Times. 2015년 4월 26일.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Page not found
- ↑ 가 나 Parker, Laura (2015년 5월 13일). “Will Everest's Climbing Circus Slow Down After Disasters?”. 《news.nationalgeographic.com》. National Geographic. 2015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6일에 확인함.
- ↑ “Everest Base Camp a 'War Zone' After Earthquake Triggers Avalanches”. National Geographic. 2015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10 confirmed dead in Mount Everest avalanche, but toll expected to rise”. 《The Washington Post》. 2015년 4월 25일. 2015년 4월 26일에 확인함. This report cites the Associated Press and Misidentifies Pumori and Komori
- ↑ Beaumont, Peter (2015년 4월 25일). “Deadly Everest avalanche triggered by Nepal earthquake”. 《The Guardian》. 2015년 4월 25일에 확인함.
- ↑ “Extent of the Damage From the Nepal Earthquake”. NY Times. 2015년 4월 26일.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Huge disaster': Hikers around Everest run for lives, treat injured”. 《CNN》. 2015년 4월 25일.
- ↑ “Nepal earthquake: Over 1,900 dead as search for survivors continues”. 《iTV.com》.
- ↑ “Indian Army's expedition team rescues 61 climbers from Mount Everest”. 《DNA India》.
- ↑ Gregory Korte and Aamer Madhani (2015년 4월 26일). “Mount Everest avalanche survivor: 'I had to survive'”. 《USA 투데이》.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rescue plane lands at Kathmandu airport with 15 injured from Mt. Everest avalanche”. 《firstpost.com》. 2015년 5월 5일.
- ↑ Gardiner Harris (2015년 4월 25일). “At Least 10 Everest Climbers Killed as Nepal Quake Sets Off Avalanche”. 《뉴욕 타임스》.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Sanjeev Miglani (2015년 4월 26일). “Injured flown from Everest, aftershock triggers new avalanches”. 로이터.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Freddie Wilkinson (2015년 4월 27일). “Helicopters Rescue Climbers Trapped on Everest After Quake”.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5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Zoroya, Gregg. “High-altitude helicopter rescues begin on Mt. Everest”. 《USA Today》.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Climbers trapped on Mount Everest 'are getting desperate'”. 《Washington Post》. 2015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Update News about avalanche at Everest 보관됨 2015-05-18 - 웨이백 머신, Nepal Mountaineering Association, 28 April 2015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Name List of 15 identified dead body among 19 dead body found at Mt.%20Everest 보관됨 2015-05-05 - 웨이백 머신, Nepal Mountaineering Association, April 28, 2015
- ↑ The Latest on Nepal: In Ravaged Hamlets, Lives Were Spared, U.S. News & World Report, April 29, 2015
- ↑ Conor Dougherty (2015년 4월 25일). “'Google Adventurer' Dies on Mt. Everest”. 《뉴욕 타임스》.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Peter Holley (2015년 4월 28일). “Before the Everest avalanche, four Americans were exactly where they wanted to be”. 《워싱턴 포스트》. 2015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Samudra Gupta Kashyap (2015년 4월 28일). “Assam mountaineers undetterred after avalanche await Nepal govt's permission to climb Everest”. 《인디언 익스프레스》. 2015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Climbing to resume on Mount Everest by next week: official”. 《프랑스 통신사 (Yahoo News)》. 2015년 4월 29일. 2015년 4월 30일에 확인함.
- ↑ POKHREL, RAJAN. “Govt shuts Everest for this season”. 《The Himalayan Times》. 2015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 ↑ Krista Mahr, Ross Adkin (2015년 5월 12일). “Fresh earthquake kills scores in Nepal and India”. 로이터.
- ↑ “Mount Everest unconquered for first time since 1974”. The Telegraph (UK). 2016년 1월 5일.
- ↑ “Climber Nobukazu Kuriki dies on Mt. Everest”. NHK World - Japan. 2018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Top alpinist Nobukazu Kuriki dies in eighth attempt to conquer Everest”. 《The Japan Times》. 2018년 5월 21일. 2018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Groth, Aimee (2016년 9월 8일). “The remarkable story of the Google engineer who died on Everest in pursuit of the Silicon Valley ideal” (영어). 《Quartz》. 2021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Makin, Cheryl (2015년 4월 26일). “Rutgers graduate dies on Mount Everest” (미국 영어). 《MyCentralJersey.com》. 2021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Chawkins, Steve (2015년 4월 29일). “Tom Taplin dies at 61; mountaineer was victim of Mt. Everest avalanche” (미국 영어). 《Los Angeles Times》. 2021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Nepal earthquake: Melbourne mother Renu Fotedar killed in Mount Everest avalanche”. 《ABC News》. 2015년 4월 27일.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Mai-Duc, Christine (2015년 4월 28일). “Former U. of C. student killed in Everest avalanche was on dream trip, friend says”. 《chicagotribune.com》. 2021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Gregory, Justin (2016년 9월 30일). “Avalanche at Everest Base Camp” (영어). 《RNZ》. 2021년 5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Name List of 15 identified dead body among 19 dead body found at Mt. Everest 보관됨 2015-05-05 - 웨이백 머신 // Nepal Mountaineering Association
- “Surviving the 2015 avalanche (BBC Video of the Indian Army team)”. 《BBC News》. 2020년 4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