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강릉시 가뭄
보이기
2025년 강릉시 가뭄은 2025년 2월부터 9월까지 진행된 가뭄이다.[1]
진행
[편집]8월
[편집]12일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25.4%로 낮아지면서 환경부는 강릉시 가뭄 단계를 경계 단계로 격상했으며,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기상청과 함께 가뭄 대책 회의를 열었다.[2] 13일 강릉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3] 19일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21.9%를 기록하면서 각 세대의 계량기 50%를 잠그는 제한 급수를 시작했다.[4] 21일 서울시는 강릉에 아리수 8400병을 긴급 지원했다.[5] 22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오봉저수지를 저수 현황과 용수 수급 상황을 점검했다.[6] 26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홍규 강릉시장, 김병주 민주당 최고위원, 송기헌(원주을) 국회의원, 김도균 민주당 강원도당위원장, 김중남 민주당 강릉시지역위원장 등이 오봉저수지를 찾아 제한급수 현황 등을 확인했다.[7] 29일 강원도는 정부에 재난 사태 선포를 요청했다.[8] 8월 30일 오후 7시 대한민국 정부는 강릉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31일 강원도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수준을 2단계로 격상했다.[9]
9월
[편집]9월 4일 강릉시는 지역 30여개 공공 체육시설과 오죽헌 등 공공숙박시설의 운영을 중단했다.[10] 5일 S-64 2대, KA-32 2대 등 산림청 헬기 4대와 군 헬기 5대 등 총 9대의 헬기가 장현저수지, 경포저수지 등에서 물을 떠 오봉저수지로 원수를 옮겼다.[11][12] 6일 해군이 AOE-58 대청을 45만 리터를 지원했다.[13]
각주
[편집]- ↑ 김천열 (2025년 9월 3일). “[가뭄 피해 왜 강릉만]평년 보다 적은 강수량, 폭염, 지형 등이 가뭄 원인”. 《강원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이연제 (2025년 8월 13일). “강릉 가뭄에 취수원도 바닥…용수 감량·생수 준비‘비상’ - 강원도민일보”. 《강원도민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권순찬 (2025년 8월 13일). “오봉저수지 저수율 24.6%…강릉시,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강원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박수혁 (2025년 8월 19일). “‘사상 최악 가뭄’ 강릉…20일부터 제한급수, 계량기 50% 잠궈”. 《한겨레》.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김여진 (2025년 8월 21일). “서울시, 강릉시에 병물 아리수 8400병 지원”. 《강원도민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이연제 (2025년 9월 26일). “'극한 가뭄' 강릉지역 김성환 환경부 장관 오봉저수지 점검”. 《강원도민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권순찬 (2025년 8월 26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강릉 방문 “가뭄 반복 안되도록 중장기적 대책 세워야””. 《강원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최기영 (2025년 8월 29일). “강원특별자치도, 정부에 강릉 가뭄 ‘재난사태’선포 건의”. 《강원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이무헌 (2025년 8월 31일). “강릉 가뭄에 강원도 재난대책 2단계 격상…총력 대응”. 《강원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이동수 (2025년 9월 4일). “가뭄 직격탄…강릉 공공 숙박·체육시설 전면 폐쇄”. 《강원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권순찬, 권순찬기자 (2025년 9월 5일). “‘급수 지원 위해 헬기까기 투입’ 강릉 급수 작전 육해공 총출동”. 《강원일보》.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김혜윤 (2025년 9월 5일). “강릉 역대급 가뭄에 소방·군 헬기까지 총동원 [포토]”. 《한겨레》.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권혁철 (2025년 9월 7일). “해군, 군수지원함 보내 ‘극한 가뭄’ 강릉에 물 45만ℓ 지원”. 《한겨레》.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