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보이기
2025년 북대서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 ||||||||||||||||
| 담당 기관 |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 |||||||||||||||
|---|---|---|---|---|---|---|---|---|---|---|---|---|---|---|---|---|
|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 | |||||||||||||||
| 최초 발생일 | 2025년 6월 23일 | |||||||||||||||
| 소멸일 | - | |||||||||||||||
| 열대 저기압 소멸일 | - | |||||||||||||||
| 발생(명명)수 | 총합 13개 메이저 허리케인:4개 허리케인:1개 열대폭풍:7개 아열대폭풍:1개 | |||||||||||||||
| 사망자수 | - | |||||||||||||||
| 재산 피해 | - | |||||||||||||||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 제13호 북대서양 허리케인 멜리사 최저기압 892hPa 1분최대풍속 302km/h | |||||||||||||||
| 연도별 문서 | ||||||||||||||||
| 2024년 | 2025년 | 2026년 | ||||||||||||||
| ||||||||||||||||
이 문서에서는 2025년에 발생한 허리케인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통계
[편집]월별 허리케인 발생 개수
[편집]타임라인
[편집]SSHS
[편집]
허리케인 이름
[편집]
|
|
|
|
특징
[편집]- 활동 기간은 미국 날짜로 표시한다.
활동중인 허리케인
[편집]제13호 메이저 허리케인 멜리사
[편집]| 5등급 허리케인 (SSHS) | ||
|---|---|---|
| 활동 기간 | 10월 21일 ~ | |
| 최저 기압 | 917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70m/s (140kt; 260km/h) | |
| 태풍 피해 | - | |
활동한 허리케인
[편집]제1호 열대폭풍 안드레아
[편집]| 열대폭풍 (SSHS) | ||
|---|---|---|
| 활동 기간 | 6월 24일 ~ 6월 25일 | |
| 최저 기압 | 1014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18m/s (35kt; 65km/h) | |
| 태풍 피해 | - | |
2025년 제1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ANDREA)는 6월 24일 21시에 중심기압 1014hPa, 최대 풍속 18m/s의 열대폭풍으로 캐나다 세인트존스 남동남쪽 약 1,3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동북진하며 이동하였고, 이후 계속 건조 공기 유입과 낮은 수온, 온대저기압화, 매우 높았던 기압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급속도로 약화가 진행되었으며 발달한 지 몇시간이 채 되지않았음에도 6월 25일 9시에 그린란드 누크 남동남쪽 약 2,9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5hPa, 최대 풍속 15m/s의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제2호 열대폭풍 배리
[편집]| 열대폭풍 (SSHS) | ||
|---|---|---|
| 활동 기간 | 6월 28일 ~ 6월 30일 | |
| 최저 기압 | 1006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0m/s (40kt; 75km/h) | |
| 태풍 피해 | 57명 사망 피해총액 370만 달러 | |
이 허리케인은 6월 29일 아침 베라크루스 주 턱스판에서 남동쪽으로 약 140km 떨어진 곳에서 열대성 폭풍 배리로 발달하였고, 멕시코만 중부의 중저준위 능선을 타고 북서쪽으로 이동했다. 배리는 같은 날 저녁, 배리는 타마울리파스주 탐피코 남쪽에 상륙하여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으나, 그 잔해가 미국 텍사스에 상륙해 52명이 숨졌다.
제3호 열대폭풍 샹탈
[편집]| 열대폭풍 (SSHS) | ||
|---|---|---|
| 활동 기간 | 7월 4일 ~ 7월 8일 | |
| 최저 기압 | 1002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5m/s (50kt; 95km/h) | |
| 태풍 피해 | 6명 사망 피해총액 5,600만 달러 | |
제4호 열대폭풍 덱스터
[편집]| 열대폭풍 (SSHS) | ||
|---|---|---|
| 활동 기간 | 8월 4일 ~ 8월 7일 | |
| 최저 기압 | 998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3m/s (45kt; 85km/h) | |
| 태풍 피해 | - | |
제5호 메이저 허리케인 에린
[편집]| 5등급 허리케인 (SSHS) | ||
|---|---|---|
| 활동 기간 | 8월 11일 ~ 8월 22일 | |
| 최저 기압 | 915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70m/s (140kt; 260km/h) | |
| 태풍 피해 | - | |
제6호 열대폭풍 페르난드
[편집]| 열대폭풍 (SSHS) | ||
|---|---|---|
| 활동 기간 | 8월 23일 ~ 8월 28일 | |
| 최저 기압 | 1000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5m/s (50kt; 95km/h) | |
| 태풍 피해 | - | |
제7호 메이저 허리케인 가브리엘
[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 ||
|---|---|---|
| 활동 기간 | 9월 17일 ~ 9월 25일 | |
| 최저 기압 | 948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60m/s (120kt; 220km/h) | |
| 태풍 피해 | - | |
제8호 메이저 허리케인 험베르토
[편집]| 5등급 허리케인 (SSHS) | ||
|---|---|---|
| 활동 기간 | 9월 24일 ~ 10월 1일 | |
| 최저 기압 | 924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70m/s (140kt; 260km/h) | |
| 태풍 피해 | - | |
제9호 허리케인 이멜다
[편집]| 2등급 허리케인 (SSHS) | ||
|---|---|---|
| 활동 기간 | 9월 27일 ~ 10월 2일 | |
| 최저 기압 | 966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45m/s (85kt; 155km/h) | |
| 태풍 피해 | - | |
제10호 열대폭풍 제리
[편집]| 열대폭풍 (SSHS) | ||
|---|---|---|
| 활동 기간 | 10월 7일 ~ 10월 11일 | |
| 최저 기압 | 999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30m/s (55kt; 100km/h) | |
| 태풍 피해 | - | |
제11호 아열대폭풍 카렌
[편집]| 아열대폭풍 (SSHS) | ||
|---|---|---|
| 활동 기간 | 10월 10일 ~ 10월 10일 | |
| 최저 기압 | 998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0m/s (40kt; 75km/h) | |
| 태풍 피해 | - | |
제12호 열대폭풍 로렌초
[편집]| 열대폭풍 (SSHS) | ||
|---|---|---|
| 활동 기간 | 10월 13일 ~ 10월 15일 | |
| 최저 기압 | 999hPa |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25m/s (50kt; 95km/h) | |
| 태풍 피해 | - | |
같이 보기
[편집]| 이 글은 환경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