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철도청 4000호대 디젤 기관차
보이기
독립기념관의 4007호 | |
| 제작 및 운영 | |
|---|---|
| 주 용도 | 본선 여객 및 화물 |
| 제작사 | EMD/GMC |
| 운영 회사 | 대한민국 철도청, 한국철도시설공단 |
| 제작 연도 | 1963년 |
| 생산량 | 10 |
| 도입단가 | 160,873달러[1] |
| 제원 | |
| 전장 | 14,325mm |
| 전폭 | 2,870mm |
| 전고 | 3,850mm |
| 차량 중량 | 78t |
| 축중 | 19.5t |
| 궤간 (mm) | 1,435 |
| 성능 | |
| 동력 방식 | 디젤전기 |
| 엔진 | EMD 12-645E |
| 기어비 | 62:15 |
| 차륜 배열 | Bo'Bo' |
| 영업 최고 속도 | 105km/h |
| 출력 | 1,310hp |
4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운용하던 중형 디젤 기관차로, 1963년 미국 GM-EMD사에서 총 15량을 도입하였다. 모델명은 G12로, 5량이 4300호대로 개조되었다. 운행할 당시에는 화물열차나 통일호나 비둘기호 등을 견인하였으며,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으나 보존된 2량을 제외하고 모두 폐차되었다.
현황
[편집]총 15대가 도입되었는데, 이 중 4011호부터 4015호까지의 5량은 4300호대 디젤 기관차로 개번되었다. 현재 모든 차량이 운행을 중단하였고, 2량이 보존 중이다.
| 차호 | 시리얼[2][3] | 도입 시기[1] | 운행 중단 시기[4] | 비고 |
|---|---|---|---|---|
| 4001호 | 28358 | 1963년 10월 | 1995년 | 강원도 철원군 월정리역에 보존 중이다. |
| 4002호 | 28359 | |||
| 4003호 | 28360 | 1993년 | ||
| 4004호 | 28361 | |||
| 4005호 | 28362 | |||
| 4006호 | 28363 | 1995년 |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08년 고철 매각되었다.[5] | |
| 4007호 | 28364 | 충청남도 천안시 독립기념관에 하얀 바탕에 태극무늬가 그려진 도색으로 보존 중이며, 일자형 무궁화호 객차가 2량 연결되어 있다. | ||
| 4008호 | 28365 | |||
| 4009호 | 28366 | |||
| 4010호 | 28367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변성우 외 (1999).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서울: 철도차량기술검정단. 91쪽.
- ↑ Stephen Grande (2006년 7월 20일). “EMD 28300 to 28399”. 《TrainWeb》.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 ↑ “Korean National Locomotives”. 《The Diesel Shop》. 2017년 3월 12일에 확인함.
- ↑ 변성우 외 (1999).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서울: 철도차량기술검정단. 98-99쪽.
- ↑ 이준혁 (2008년 6월 30일). “불용품 폐기관차 해체.반출 매각”. 《온비드》.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대한민국 철도청 4000호대 디젤 기관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한국 철도차량 도감 - 4000호대 디젤 기관차
| 이 글은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