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브루나이 관계
보이기
말레이시아 |
브루나이 |
|---|---|
| 외교 공관 | |
| 주브루나이 말레이시아 고등판무소 | 주말레이시아 브루나이 고등판무소 |
| 사절 | |
| 대사 | 대사 |
말레이시아-브루나이 관계(말레이어: Hubungan Brunei-Malaysia)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두 국가의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는 양자 관계를 의미한다. 두 나라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과 영연방의 회원국이다.[1][2]
상세
[편집]두 나라는 지리적으로 보르네오섬에 같이 붙어있었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역사와 문화 측면에 있어서 유사한 부분이 많고, 공유하는 부분도 많다.[3][4] 역사적으로 보르네오섬은 브루나이 술탄국이 지배했던 곳이었으나, 네덜란드, 포르투갈 그리고 대영제국의 등장으로 인하여 15세기 이후 해협 식민지가 되었다. 오늘날 말레이시아-브루나이 국경은 육상 경계와 해상 경계로 구분되며, 말레이시아의 사라왁주의 림방구에 브루나이의 영토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5][6] 말라야 연방 결성 당시, 사바주, 사라왁주, 싱가포르는 연방에 가입하였으나, 브루나이는 독자적인 군주국으로 남았다.[7][8][9]
재외 공관
[편집] 주말레이시아 브루나이 고등판무소
쿠칭 소재 주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영사관 - 주말레이시아 브루나이 고등판무소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Member countries” (영어). 2025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Member States” (미국 영어). 2025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Haji, Omar, Asmah (2007년 8월 30일). “Malaysia and Brunei” (영어). 《OUP Academic》. doi:10.1093/o.
- ↑ Clynes, Adrian; Deterding, David (2011). “Standard Malay (Brunei)”.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41 (2): 259–268. ISSN 0025-1003.
- ↑ “The Border Dynamics of Sabah, Sarawak, and Brunei Darussalam: Navigating History, Sovereignty, and Cooperation”. 2025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Border Crossings Between Brunei And Malaysia - Border Crossing Hub” (미국 영어). 2025년 7월 31일. 2025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Brunei Revolt breaks out”. 2025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MALAYSIA UNEASY ON BRUNEI REVOLT; Federation Planners to Meet Tuesday on How to Cope With Uprising's Impact Anti-Communist Barrier REBELS THREATEN PLAN ON MALAYSIA (Published 1962)” (영어). 1962년 12월 17일. 2025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Leifer, Michael (1978). “Decolonisation and International Status: The Experience of Brunei”. 《International Affairs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44-)》 54 (2): 240–252. doi:10.2307/2615649. ISSN 0020-5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