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의 위치
말레이시아의 국기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의 국기
싱가포르
외교 공관
주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대사관주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사관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말레이어: Hubungan Malaysia–Singapura)는 말레이시아싱가포르의 양자 관계에 대해서 다루며, 두 나라의 정치, 경제, 그리고 사회와 문화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두 국가는 모두 영연방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의 회원국이다.

역사

[편집]

고대와 중세

[편집]

믈라카 해협을 아우르는 말레이반도자와섬, 보르네오섬은 여러 국가들이 흥망성세를 경험한 곳이었다. 7세기에는 스리위자야의 영토에 포함되었으며, 이후 마자파힛 제국 등이 이 지역을 다스렸다.[1][2][3] 15세기 즈음에 이르려, 동남아시아 서부로부터 이슬람교의 유입에 따라서 이 지역은 무슬림의 국가인 술탄국이 여럿 등장하였다.[4] 대표적인 술탄국 중 하나가 바로 믈라카 술탄국이며[5], 14세기까지 존속하였던 싱가푸라 왕국과 혈통이 이어져 있다.[6][7] 이후 조호르 술탄국이 이 지역을 다스렸다.[8][9][10]

근대

[편집]

영국의 식민지

[편집]
말라야 연방의 상징

현대적인 의미에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건국되기 이전에, 이 지역은 대영제국의 식민지였으며, 싱가포르는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가 이 지역을 개발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특히 영국 동인도 회사피낭섬을 할양받고, 싱가포르믈라카를 통합하여 해협 식민지로 다스렸다.[11] 반면에 말레이시아는 영국이 보호령을 선언하고, 말레이 연합주와 말레이 비연합주라는 이름 아래 술탄들의 권력을 어느 정도 인정하면서 영국의 영향력과 지배력 아래 두었다.[12][1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 지역은 말레이 전역으로 분류되어, 영연방군과 일본군 간 산발적인 전투가 벌어졌다. 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영연방군의 항복과 함께, 말레이반도의 일부가 마라야, 즉 일본 제국의 영토로 편입되기도 하였다.[14] 2차 대전이 끝난 이후에는, 이 지역은 다시 영국의 식민지로 반환되었다. 영국령 말라야는 이후 말라야 연합말라야 연방으로 개편되었으며, 1957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싱가포르, 사라왁주, 사바주가 말라야 연방에 동참하면서 1963년 말레이시아로 새롭게 개편되었다.[15][16] 이 당시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연방 안에 싱가포르주라는 이름으로 1963년부터 1965년까지 편입되어 있었다. 두 나라가 하나의 나라였다는 점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의 존재에서도 잘 확인된다.

말레이시아 연방과 싱가포르주

[편집]

리콴유툰쿠 압둘 라만은 국가를 공동 운영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인종 문제에 있어서 상이한 시각을 드려냈다.[17][18] 리콴유는 다민족 평등주의와 세속주의를 주장하며, 모든 말레이인이 평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툰쿠 압둘 라만은 오늘날 부미푸트라 정책으로 잘 알려진 일종의 말레이 민족 우선주의을 주장하며, 말레이인이 원주민로서 특권을 가져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19] 이는 일종의 중국계 싱가포르인말레이시아인 간 갈등이라는 논란적인 주제였으며, 싱가포르 내 인종 간 폭동이 발생하면서 갈등과 상황의 심화를 발생시켰다.[20][21] 특히 국내 정치적 측면에서는, 말레이시아 의회인민행동당통일말레이국민조직 간 갈등도 존재하였다.[22] 인종적인 문제와 별개로,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경제산업 정책에서도 다른 입장을 보였으며, 싱가포르의 자유 무역개방경제 노선은 말레이시아의 보호무역농업 중심 경제 노선과 일치되기에는 어려운 것이었다.[23]

1965년 싱가포르의 분리 독립

[편집]

이렇게 정치 및 경제 체제에서 방향성 차이와, 인종 간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말레이시아 내각은 1965년 8월 7일에 싱가포르를 말레이시아로부터 분리를 논의하고, 8월 9일 싱가포르의 분리독립을 승인하였다.

이후

[편집]
싱가포르를 방문한 마하티르 총리(1981년)

두 나라는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문화적으로 공유하는 점이 많지만, 분리 이후 다른 노선을 걸었다.[24][25] 싱가포르는 비동맹 운동에 가담하였으나, 말레이시아는 이슬람교를 바탕으로 한 외교 노선을 운영하였다.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국경이 확정되고, 한동안 인적 왕래와 이주 등 교류가 제한되었던 적도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양국 관계는 1960년대보다 누그러졌으며, 리콴유와 말레이시아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맛의 정상회담을 통해서 양국 간 협력이 논의되었다.[26][27] 두 국가의 관계는 경쟁하면서도, 서로 의존하는 모습을 보여줬다.[28] 1990년대에 들어 두 국가 간 상호 무역량이 증대되고, 국방 협력을 시작하는 등 관계 개선을 지속적으로 이뤄냈다. 2000년대에는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의 최대 투자국 중 하나 되었으며, 양국 간 경제 의존도가 심화되었다.

ASEAN의 창립국

[편집]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를 제외하고,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지역주의 차원에서 별다른 다자주의를 바탕으로 한 지역협력이 가시적으로 드려나지 않았다. 그러나 1967년, 정치·경제 협력 강화, 공산주의 확산 방지, 지역 평화와 안정 유지 등을 목표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이 창립되었으며[29],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는 창립국으로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30][31]

갈등

[편집]

지리적으로 인접한 두 국가의 특성 때문에, 해상 및 영토에 관련된 분쟁이 일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페드라브랑카섬 분쟁으로 섬에 대한 영유권을 두고 두 나라는 관계 개선에 대한 어려움을 겪었다.[32][33][34][35]

교통

[편집]

육로

[편집]

조호르-싱가포르 코즈웨이말레이시아-싱가포르 세컨드 링크 등 육로로 연결되어 있다. 두 국가 간 고속철도 건설이 논의되고 있다.

항공

[편집]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싱가포르 창이 공항 간 직항이 여러 개 개설되어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주강현/해양문명사가. “[新불국기: 바다를 건넌 불교]<27> 스리비자야 해상제국 ①”. 《불교신문》. 
  2. “마자파힛 제국”.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3. “인도네시아 거리마다 살아 있는 위대한 상징”.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4. “When the World Came to Southeast Asia: Malacca and the Global Economy” (미국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5. Jong, P. E. De Josselin De; Wijk, H. L. A. Van (1960년 9월). “The Malacca Sultanate” (영어). 《Journal of Southeast Asian History》 1 (2): 20–29. doi:10.1017/S0217781100000119. ISSN 0217-7811. 
  6. Winstedt, R. O. (1948). “The Malay Founder of Medieval Malacca”.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2 (3/4): 726–729. ISSN 0041-977X. 
  7. Cheryl-Ann, NIL:Low; Singapore, National Library Board. “Iskandar Shah”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8. “Sejarah Kesultanan Johor” (말레이어). 2014년 7월 1일.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9. Hutchinson, Francis E.; Nair, Vandana Prakash (2016). 《The Johor Sultanate: Rise or Re-emergence?》. Trends in Southeast Asia. ISEAS–Yusof Ishak Institute. vii–vii쪽. ISBN 978-981-4762-80-9. 
  10. “Old Johor kingdom”.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11. Abraham, Andrew (2002). “The Transfer of the Straits Settlements: A Revisionist Approach to the Study of Colonial Law and Administration”. 《Journal of the Hong Kong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42: 1–33. ISSN 0085-5774. 
  12. “MyGOV - The Government of Malaysia's Official Portal”.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13. “History of Malaysia Singapore and Hong Kong” (영국 영어). 2025년 7월 8일.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14. “The ghosts of Japan’s occupation of Malaysia | Lowy Institute”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15. Tan, Tai Yong (2008). 《Creating "Greater Malaysia": Decolonization and the Politics of Merger》. Books and Monographs. ISEAS–Yusof Ishak Institute. ISBN 978-981-230-747-7. 
  16. Purcell, Victor (1962년 4월 1일). “A 'Greater Malaysia' ?: Its possible effects on race relations” (영어). 《Race》 4 (1): 49–62. doi:10.1177/030639686200400105. ISSN 0033-7277. 
  17. Editorials (2025년 1월 18일). “Tunku Abdul Rahman: The Forgotten Guardian of Malay Sovereignty” (말레이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18. Ong, Elvin (2024). Liu, Amy H.; Selway, Joel Sawat (편집). 《State Institutions in South Malaysia: Singapore’s Entry and Exit, 1963–65》. Regional Movements in Greater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3–37쪽. doi:10.3998/mpub.12333333.7?seq=1. ISBN 978-0-472-07607-9. 
  19. “Malaysians’ bumiputera-first policy debate takes on heady mix of health, education and politics” (영어). 《The Straits Times》. 2024년 6월 15일. ISSN 0585-3923.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20. “Tengku Razaleigh: I read Tunku's letter on Kuan Yew | New Straits Times” (영어). 2024년 5월 23일.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21. Bradley, C. Paul (1966). “Rupture in Malaysia”. 《Current History》 50 (294): 98–105. ISSN 0011-3530. 
  22. Barr, Michael (1997). “Lee Kuan Yew in Malaysia:: A reappraisal of Lee Kuan Yew's role in the separation of Singapore from Malaysia”. 《Asian Studies Review》 21 (1): 1–17. doi:10.1080/03147539708713138. ISSN 1035-7823. 
  23. “C015178 | Separation 1965: The Tunku’s “agonised decision” - RSIS” (미국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24. Marshall-Singh, Dan (2025년 4월 3일). “The Great Split: Why Malaysia Expelled Singapore in 1965”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25. Schenk, Catherine R. (2013년 9월 1일). “The Dissolution of a Monetary Union: The Case of Malaysia and Singapore 1963–1974”. 《The Journal of Imperial and Commonwealth History》 41 (3): 496–522. doi:10.1080/03086534.2013.779110. ISSN 0308-6534. 
  26. Palatino, Mong. “Mahathir vs Lee” (미국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27. “Mahathir Mohamad Turns 100: Lee Kuan Yew's Formidable Rival” (영국 영어). 2025년 7월 10일.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28. “Mahathir & Lee Kuan Yew: Enemies Strangely Similar, Yet Decidedly Dissimilar” (미국 영어). 2019년 9월 1일.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29. “Explainer | What is Asean and why was it formed?” (영어). 2019년 2월 19일.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30. “About ASEAN” (미국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31. Editors, C. F. R. “What Is ASEAN? |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32. “Sovereignty over Pedra Branca/Pulau Batu Puteh, Middle Rocks and South Ledge (Malaysia/Singapore)”.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33.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34. “Pedra Branca” (영어).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 
  35. “ICJ Pedra Branca – The Diplomat”. 2025년 11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