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
보이기
| 별칭 | The Cranes | ||
|---|---|---|---|
| 협회 | 우간다 축구 연맹 | ||
|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
| 감독 | |||
| 주장 | 아이작 뮬레메 | ||
| 최다 출전자 | 고프리 왈루심비 (102) | ||
| 최다 득점자 | 이매뉴얼 오퀴 (28) | ||
| 홈 구장 | 만델라 국립경기장 | ||
| FIFA 코드 | UGA | ||
|
| |||
| FIFA 랭킹 |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 최고 순위 | 63위 (2015년) | ||
| 최저 순위 | 119위 (2001년)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케냐 나이로비; 1926년 5월 1일) | |||
| 최다 점수차 승리 | |||
(우간다; 1932년) | |||
| 최다 점수차 패배 |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1995년 7월 30일) (튀니지 튀니스; 1999년 2월 28일) |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 출전 횟수 | 7회 (1962년에 처음 출전) | ||
| 최고 성적 | 준우승 (1978년) | ||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
| 출전 횟수 | 5회 (2011년에 처음 출전) | ||
| 최고 성적 | 조별리그 | ||
우간다 축구 국가대표팀(영어: Uganda national football team)은 우간다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우간다 축구 연맹에서 운영하고 있다. 1926년 5월 1일 케냐와의 국제 A매치 데뷔전에서 1-1로 비겼으며 홈 구장으로는 만델라 국립경기장을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
[편집]202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G조 10경기에서 6승 4패·조 2위를 차지하며 우간다 축구 역사상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7번 출전하여 이 중 1978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9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진출하면서 2000년대에 들어선 이후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5번 출전하여 4번의 대회에서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쓴 잔을 마셨다. 그래도 2014년 대회 B조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부르키나파소를 2-1로 꺾고 대회 통산 첫 승을 올렸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
[편집]1989년 피스 앤 프렌드십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고 세카파컵에서는 39번의 대회 중 무려 14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리면서 이 대회 최다 우승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으며 준우승도 B팀을 포함해 5번 차지하면서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역대 최고 성적을 남겼다.
FIFA 월드컵 (본선)
[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독립 이전 | |||||||||
| 불참 | |||||||||
| 예선 탈락 | |||||||||
| 기권 | |||||||||
| 예선 탈락 | |||||||||
| 기권 | |||||||||
| 예선 탈락 | |||||||||
| 합계 | |||||||||
FIFA 월드컵 (예선)
[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독립 이전 | |||||||||
| 불참 | |||||||||
| 2 | 1 | 0 | 1 | 3 | 4 | 3 | |||
| 기권 | |||||||||
| 2 | 1 | 0 | 1 | 1 | 3 | 3 | |||
| 2 | 1 | 0 | 1 | 2 | 3 | 3 | |||
| 기권 | |||||||||
| 2 | 0 | 0 | 2 | 1 | 5 | 0 | |||
| 2 | 0 | 1 | 1 | 4 | 7 | 1 | |||
| 12 | 3 | 2 | 7 | 10 | 18 | 11 | |||
| 6 | 3 | 1 | 2 | 8 | 9 | 10 | |||
| 6 | 2 | 2 | 2 | 5 | 6 | 8 | |||
| 8 | 4 | 3 | 1 | 7 | 2 | 15 | |||
| 합계 | 42 | 15 | 9 | 18 | 41 | 57 | 54 |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18위 (아프리카 25위)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독립 이전 | |||||||||
| 4강 | 4위 | 2 | 0 | 0 | 2 | 1 | 5 | 0 | |
| 기권 | |||||||||
| 예선 탈락 | |||||||||
| 조별리그 | 7위 | 3 | 0 | 0 | 3 | 2 | 8 | 0 | |
| 예선 탈락 | |||||||||
| 조별리그 | 6위 | 3 | 0 | 1 | 2 | 3 | 5 | 1 | |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2 | 6 | 0 | |
| 준우승 | 2위 | 5 | 3 | 0 | 2 | 9 | 7 | 9 | |
| 기권 | |||||||||
| 예선 탈락 | |||||||||
| 기권 | |||||||||
| 예선 탈락 | |||||||||
| 조별리그 | 13위 | 3 | 0 | 1 | 2 | 1 | 3 | 1 | |
| 16강 | 15위 | 4 | 1 | 1 | 2 | 3 | 4 | 4 | |
| 예선 탈락 | |||||||||
| 총계 | 6회 진출(6/30[1]) | 준우승(1회) | 23 | 4 | 3 | 16 | 21 | 38 | 15 |
| 순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24위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독립 이전 | |||||||
| 3 | 2 | 0 | 1 | 3 | 1 | 6 | |
| 기권 | |||||||
| 4 | 0 | 0 | 4 | 3 | 11 | 0 | |
| 3 | 1 | 1 | 1 | 5 | 5 | 4 | |
| 2 | 0 | 1 | 1 | 1 | 3 | 1 | |
| 2 | 0 | 0 | 2 | 1 | 5 | 0 | |
| 4 | 3 | 1 | 0 | 6 | 3 | 10 | |
| 4 | 2 | 1 | 1 | 9 | 3 | 7 | |
| 2 | 1 | 1 | 0 | 2 | 1 | 4 | |
| 기권 | |||||||
| 4 | 2 | 1 | 1 | 6 | 5 | 7 | |
| 2 | 1 | 0 | 1 | 2 | 3 | 3 | |
| 2 | 1 | 0 | 1 | 4 | 6 | 3 | |
| 기권 | |||||||
| 6 | 2 | 2 | 2 | 6 | 6 | 8 | |
| 6 | 2 | 3 | 1 | 7 | 6 | 9 | |
| 10 | 3 | 4 | 3 | 11 | 16 | 13 | |
| 2 | 0 | 2 | 0 | 2 | 2 | 2 | |
| 8 | 3 | 1 | 4 | 8 | 13 | 10 | |
| 6 | 2 | 1 | 3 | 6 | 12 | 7 | |
| 4 | 1 | 2 | 1 | 2 | 2 | 5 | |
| 12 | 3 | 2 | 7 | 10 | 18 | 11 | |
| 6 | 3 | 2 | 1 | 8 | 3 | 11 | |
| 6 | 3 | 1 | 2 | 8 | 9 | 10 | |
| 6 | 3 | 2 | 1 | 6 | 2 | 11 | |
| 2 | 1 | 0 | 1 | 1 | 1 | 3 | |
| 10 | 5 | 1 | 4 | 9 | 7 | 16 | |
| 6 | 4 | 1 | 1 | 6 | 2 | 13 | |
| 6 | 4 | 1 | 1 | 7 | 3 | 13 | |
| 6 | 2 | 2 | 2 | 3 | 2 | 8 | |
| 합계 | 134 | 54 | 33 | 47 | 142 | 150 | 195 |
주요 선수
[편집]- 데니스 오냥고
- 마이클 아지라
- 하산 와스와
- 니컬러스 와다다
- 조지프 오차야
- 칼리드 아우초
- 루와가 키지초
- 이매뉴얼 오퀴
- 무루시드 주코
- 아이잭 물레메
- 티머시 아와니
- 로버트 오동카라
- 고프리 왈루심비
- 데니스 이구마
- 파루크 미야
- 무자미르 무티아바
각주
[편집]-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