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르술리나카리스
보이기
![]()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울리우절 | |
![]() 마운트캡층에서 발견된 부속지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공하강 |
목: | †방사치목 |
과: | †후르디아과 |
속: | †우르술리나카리스속 |
종: | †우르술리나카리스 |
학명 | |
†Ursulinacaris grallae | |
Pates et al. 2019 |
우르술리나카리스(학명: Ursulinacaris grallae 우르술리나카리스 그랄라이[*])는 캄브리아기 당시 바다였던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후르디아과 방사치류의 일종이다. 우르술리나카리스속의 모식종이자 단일종이다. 1990년대 이후 발견된 전방부속지의 화석을 기반으로 2019년에 기재되었다. 우르술리나카리스의 속돌기는 페이토이아나 후르디아 등의 다른 후르디아과 동물과는 달리 매우 가늘었다.[1] 처음에는 짝을 이룬 속돌기(다른 비후르디아과 방사치류에서만 발견되는 특징)를 가진 최초의 후르디아과 동물로 보고되었지만, Moysiuk & Caron (2021)의 논문에 따르면 이는 실제로는 화석 보존의 문제이며 짝을 이룬 속돌기기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2][3]
발견 및 명명
[편집]우르술리나카리스 화석은 노스웨스트 준주와 네바다주에서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표본 마운트캡층(Mount Cap Formation)의 리틀 베어 생물군(Little Bear biota)에서 발견되었지만, 네바다주의 카라라층(Carrara Formation)의 쟁글 석회암층(Jangle Limestone member)에서 발견된 표본도 있다. 우르술리나카리스의 속명은 '작은 곰으로부터'를 의미하는 라틴어 ursulina(우르술리나)와 '게'를 의미하는 caris(카리스)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리틀 베어 생물군에서 발견된 방사치류를 의미한다. 종명은 '죽마'(竹馬)를 의미하는 라틴어 grallae(그랄라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속돌기의 모양에서 착안하였다.[1]
사진첩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Pates, Stephen; Daley, Allison C.; Butterfield, Nicholas J. (2019년 6월 11일). “First report of paired ventral endites in a hurdiid radiodont” (영어). 《Zoological Letters》 5 (1): 18. doi:10.1186/s40851-019-0132-4. ISSN 2056-306X. PMC 6560863. PMID 31210962.
- ↑ Moysiuk, Joseph; Caron, Jean-Bernard (2021). “Exceptional multifunctionality in the feeding apparatus of a mid-Cambrian radiodont” (영어). 《Paleobiology》 47 (4): 704–724. Bibcode:2021Pbio...47..704M. doi:10.1017/pab.2021.19. ISSN 0094-8373. S2CID 236552819.
- ↑ Potin, Gaëtan J.-M.; Daley, Allison C. (2023). “The significance of Anomalocaris and other Radiodonta for understanding paleoecology and evolution during the Cambrian explosion”. 《Frontiers in Earth Science》 11. Bibcode:2023FrEaS..1160285P. doi:10.3389/feart.2023.1160285. ISSN 2296-6463.
![]() |
이 글은 무척추동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