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익 포퓰리즘
| 포퓰리즘 |
|---|
| 보수주의 |
|---|
우익 포퓰리즘(Right-wing populism) 또는 우익 대중주의(右翼大衆主義)는 우익 정치에서 포퓰리즘의 수사를 차용한 정치 이념이다. 또한 국가 포퓰리즘과 우파 포퓰리즘으로도 불린다.[1][2][3] 반엘리트주의 정서, 기득권에 대한 반대, 그리고 평민을 대변하는 수사를 활용한다. 우익 포퓰리즘의 반복되는 주제에는 신국민주의, 사회보수주의, 경제 국민주의 및 재정보수주의가 포함된다.[4] 이들은 주로 외부인에 의한 공격으로 인식되는 국가의 문화, 정체성 및 경제를 방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
우익 포퓰리즘은 권위주의와 연관되어 있으며,[6][7] 일부 극우 포퓰리스트들은 파시즘과 비교되기도 한다.[8] 서방 세계의 우익 포퓰리즘은 때때로 반환경주의,[9] 반세계화,[10][11][12] 토착주의,[10][13][14] 보호무역 등과 같은 이념과 연관된다.[15] 유럽에서 이 용어는 주로 반이민,[10][16] 특히 이슬람 세계로부터의 이민에 대한 반대[10][17]와 유럽회의주의로 잘 알려진 집단, 정치인 및 정당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18] 일부 우익 포퓰리스트들은 복지국가 확대를 지지할 수도 있지만, 이는 오로지 자격이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며,[19] 이러한 개념은 "복지 쇼비니즘"으로 불린다.[20][21][22][23][24] 대침체 이후,[25][26][27] 유럽의 우익 포퓰리즘 운동은 중동 및 아프리카로부터의 이민 증가에 대한 반대, 유럽회의주의의 증가, 그리고 유럽 연합의 경제 정책에 대한 불만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28]
1990년대부터 우익 포퓰리즘 정당들은 다양한 민주주의 국가의 입법부에서 자리 잡았다. 미국의 공화당에서는 2010년대부터 우익 포퓰리즘이 지배적인 정치 세력으로 남아 있다.[29] 미국 내 극우 운동(일반적으로 "미국 급진 우파"로 불림)은 보통 별개의 존재로 특징지어지지만, 일부 저술가들은 이들을 더 넓은 우익 포퓰리즘 현상의 일부로 간주한다.[30] 미국의 사업가이자 미디어 인물인 도널드 트럼프는 우익 포퓰리즘적 주제에 기반한 트럼프주의 정강으로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31][32]
정의
[편집]우익 포퓰리즘은 주로 신국민주의, 사회보수주의, 경제 국민주의를 옹호하는 이념이다.[33]
정치학자 카스 무데는 자신이 "포퓰리즘 급진 우파"라고 부르는 것이 '국민'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는 순전히 "시민적" 또는 "자유주의적" 형태의 국민주의도 존재한다는 이유로 토착주의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우익 포퓰리즘의 핵심 이념으로서 국민주의의 사용을 거부한다. 토착주의는 "국가는 오직 원주민 집단('국민') 구성원들로만 거주해야 하며, 비원주민 요소(인물과 사상)는 동질적인 국민 국가에 근본적으로 위협적이다"라고 주장하는 외국인 혐오적 형태의 국민주의이다. 무데는 "토착주의가 인종차별적 주장을 포함할 수 있지만, 비인종차별적일 수도 있다(문화나 심지어 종교를 기반으로 포함하거나 배제하는 방식)"고 주장하며, "반이민"과 같은 용어가 당을 단순한 단일 쟁점 당으로 축소시키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최대 정의에서는 토착주의에 권위주의가 추가되는데, 이는 반민주적 또는 독재적일 필요는 없지만 "법과 질서"와 권위에 대한 복종을 선호하는 태도이다.[a] 또한 포퓰리즘은 사회가 궁극적으로 "순수한 인민"과 "부패한 엘리트"라는 두 개의 동질적이고 적대적인 집단으로 분리되어 있다고 간주하며, 인권이나 헌법적 보장과 상관없이 정치가 "인민의 일반 의지"의 표현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중심이 얇은 이념"이다.[b][34] 2017년 카스 무데와 크리스토발 로비라 칼트와서는 유럽 우익 포퓰리즘 내에서 "인민의 민족적이고 쇼비니즘적 정의"에 기반한 포퓰리즘, 권위주의, 토착주의의 "편리한 결합"이 존재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는 우익 포퓰리즘이 "외국인 혐오적 성격"을 띠게 만든다.[35]
배스 대학교의 비교 정치학 명예 교수 로저 이트웰은 "포퓰리즘과 파시즘은 이념적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지만, 실제로는 후자가 포퓰리즘적 담론과 스타일의 측면을 차용했으며, 포퓰리즘은 지도자 중심의 권위주의적이고 배타적인 정치로 퇴보할 수 있다"고 저술했다.[8] 좌파 미디어 바이스에 따르면, 포퓰리즘이 파시즘 또는 원파시즘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허무주의적 문화와 해결 불가능한 위기"가 필요하다.[36]
[P]opulism is like fascism in being a response to liberal and socialist explanations of the political. And also like fascism, populism does not recognize a legitimate political place for an opposition that it regards as acting against the desires of the people and that it also accuses of being tyrannical, conspiratorial, and antidemocratic. ... The opponents are turned into public enemies, but only rhetorically. If populism moves from rhetorical enmity to practices of enemy identification and persecution, we could be talking about its transformation into fascism or another form of dictatorial repression. This has happened in the past ... and without question it could happen in the future. This morphing of populism back into fascism is always a possibility, but it is very uncommon, and when it does happen, and populism becomes fully antidemocratic, it is no longer populism.[37]
2015년에 에리크 베르그렌과 안데르스 네르가르드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외국인 혐오, 반이민 정서, 토착주의, 민족주의가 다양한 방식으로 우익 포퓰리즘과 극우 정당의 이념, 정치 및 실천의 핵심 요소라는 데 동의한다"고 저술했다.[38] 마찬가지로, 역사가 릭 셴크먼은 우익 포퓰리즘이 제시하는 이념을 "외국인 혐오, 인종 차별, 권위주의의 치명적인 혼합"이라고 설명한다.[39] 타미르 바르-온 또한 2018년에 문헌들이 일반적으로 "토착주의" 또는 "민족주의"를 이념의 핵심 개념으로 설정하며, 이는 "정치적으로 지배적인 집단을 암묵적으로 가정하고, 소수자들을 국가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인종차별적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40] 예를 들어, 네덜란드 자유당의 경우 "민족 소수자 대신 종교적 [소수자, 즉 무슬림]이 주요 '적'을 구성한다"고 밝혔다.[41]
학자들은 용어를 일관성 없이 사용하여, 우익 포퓰리즘을 "극우"[42] 또는 신국민주의와 같은 다른 용어로 부르기도 한다.[43] 피파 노리스는 "표준 참고 문헌들은 '극우' 또는 '극단적' 우파, '신우익', '반이민' 또는 '신파시즘', '반기득권', '국가 포퓰리스트', '시위', '민족주의', '권위주의', '반국가주의', '반정당', '국수주의', '우파 자유지상주의' 등 다양한 당 분류 유형과 명칭을 사용한다"고 지적했다.[44] 권위주의적 포퓰리즘이라는 용어는 우익 포퓰리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45] 좌익 포퓰리즘 정치 운동을 지칭하는 데도 사용된다.[46][47]
우익 포퓰리즘의 권위주의적 측면에 대해 정치 심리학자 숀 W. 로젠버그는 그 "지적 뿌리와 근본적인 논리"가 "20세기 초 파시스트 이념의 현대적 표현"으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파시스트 이념에 뿌리를 두고... 1930년대 독일과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부와 유사하게, [우익 포퓰리즘은] 지도부, 특히 핵심 지도자에게 비정상적인 권력을 위임하는 경향이 있다. 이 지도자는 인민의 의지를 체화하고, 이를 모두에게 명확히 하며, 그에 따라 실행한다. 따라서 지도부, 전체 인민, 개개인 간의 구별은 그들의 의지가 단일한 목적 안에서 결합됨으로써 모호해진다. (5쪽) ... 이 정치 문화적 개념에서 개인은 부차적이고 다소 파생적인 지위를 갖는다. 그들은 집단, 즉 인민과 국가의 일부로서 의미 있고 가치 있게 여겨진다. 따라서 개인은 단일하고 공통적인 중요한 범주적 특성, 즉 그들이 국민이자 국가의 구성원이라는 점을 공유하는 대중으로 구성된다. ... 이 개념에서 개인과 국가는 불가분하게 얽혀 있으며, 그들 사이의 경계는 모호하다. 파시즘 철학자들이 제안했듯이... 국가는 인민 안에서 실현되고 인민은 국가 안에서 실현된다. 이는 공생 관계이다. 개인은 국가적 특성을 발현하고 국가적 사명에 참여함으로써 실현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개인은 동시에 정의되고 가치 있게 여겨지며, 인정받고 영광스러워진다. (12쪽)[48]
로젠버그에 따르면, 우익 포퓰리즘은 "인민"의 우월성을 인정하지만, 자유 민주주의의 소수자 권리 보호를 거부하고, 국가를 정치적 실체로, 국민을 그 구성원으로 보는 법적 개념보다는 민족 국민주의를 선호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법치주의를 거부한다. 이 모든 특성들은 강력한 정치적 리더십을 선호하는 것과 함께 우익 포퓰리즘의 파시즘적 경향을 시사한다.[49] 역사가 페데리코 핀첼슈타인은 포퓰리즘을 권위주의적 민주주의의 한 형태로 정의하는 반면, 파시즘은 초강력 독재라고 정의한다.[50]
동기 및 방법론
[편집]| 내셔널리즘 |
|---|
로저 이트웰과 매튜 굿윈에 따르면, "국가 포퓰리스트들은 국가의 문화와 이익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멀리 떨어져 있고 종종 부패한 엘리트들에 의해 무시당하거나 심지어 경멸당했다고 느끼는 국민에게 목소리를 주겠다고 약속한다." 이들은 "주류 정치와 자유주의적 가치에 대한 증가하는 반란"의 일부다. 이러한 도전은 일반적으로 반민주적이지 않다. 오히려 국가 포퓰리스트들은 서구에서 파시즘이 패배한 후 발전했으며 점차적으로 엘리트주의적 성격을 띠게 된 자유민주주의의 특정 측면에 반대한다. 또한 국가 포퓰리스트들은 "국민 국가의 침식", "과도한 민족적 변화", "[높은] 이민율을 신속하게 흡수할 능력", 서구의 현재 경제 체제인 "매우 불평등한 사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들은 "세계시민주의와 세계화 의제"를 의심한다.[3]
포퓰리스트 정당들은 국내 정부의 위기를 이용하여 반세계주의적 반응을 강화한다. 여기에는 무역에 대한 자제와 반이민 정책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념에 대한 지지는 일반적으로 직업 이동성이 낮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 이는 이들이 포퓰리스트 정당의 이상과 일치하는 반이민 및 반세계화 사고방식을 발전시킬 가능성을 높인다.[51]
장 이브 카뮈와 니콜라 르부르는 "국가 포퓰리즘"을 좌파의 사회경제적 가치와 우파의 정치적 가치를 결합하려는 시도로 보며, 전통적인 정치적 분열과 제도를 우회할 국민투표 공화국을 지지한다고 본다. 이는 정치적(민주), 민족적(민족), 사회적(노동 계급) "국민" 해석의 통일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국가 포퓰리스트들은 "부패한 엘리트들의 배신"에 맞서 "평균적인 시민"과 "상식"을 옹호한다고 주장한다.[52] 국민전선의 이념가 프랑수아 뒤프라가 1970년대에 당시 라틴 아메리카 우파에서 영감을 받아 언급했듯이, 우파 포퓰리즘은 "국가적, 사회적, 대중적" 이념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좌파와 우파 정당 모두 포퓰리즘 자체를 공유하지만, 그 전제는 우익 포퓰리스트들이 사회를 퇴폐 상태로 인식하고 "건전한 일반 대중만이 다른 사회 계급으로부터 하나의 국가 계급을 형성하고 부패한 엘리트들을 배제함으로써 국가를 해방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다르다.[53]
방법론적으로는 좌파의 개념들, 예를 들어 다문화주의와 민족다원주의 (이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소수 민족 문화를 보존하는 수단으로 좌파가 옹호하는 개념임)를 차용하여 그 비계층적 본질을 버림으로써, 사회학자 옌스 리드그렌의 표현을 빌리면, 우익 포퓰리스트들은 "인종차별주의자라는 낙인 없이 외국인 혐오적이고 인종차별적인 여론을 동원할 수 있다"고 한다.[54] 사회학자 한데 에슬렌-지아는 우익 포퓰리즘 운동이 "트롤 과학", 즉 "포퓰리즘 담론에 녹아든 (왜곡된) 과학적 주장"에 의존하여 대안적 서사를 창조한다고 주장한다.[55] 수사적 방법론 외에도, 우익 포퓰리즘 운동은 웹사이트 및 뉴스레터, 소셜 미디어 그룹 및 페이지, 유튜브 및 메시징 채팅 그룹을 포함한 디지털 미디어 도구를 사용하여 번성했다.[56][57][58]
문화적 쟁점과 이민
[편집]이민은 많은 국가의 우익 포퓰리즘 운동의 핵심 주제이지만, 이 주제는 종교, 성 역할, 성적 지향과 같은 문화적 쟁점을 중심으로 구체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초국가적인 반젠더 운동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다.[58][59] 또한 많은 학문적 연구에서 포퓰리즘 운동이 음모론, 소문, 허위를 사용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60][61][62] 일부 학자들은 콘텐츠 제작 및 유포 수단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디지털 시대에 우익 포퓰리즘과 음모론, 소문, 허위의 연관성이 더 흔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63] 이민 및 문화 정치의 특정 역사적 변화 맥락에서 이러한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발전은 우익 포퓰리즘이 탈진실 정치와 연관되도록 이끌었다.[58]
역사
[편집]독일과 프랑스 (1870–1900)
[편집]독일과 프랑스의 우익 포퓰리즘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직후인 1870~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독일과 프랑스에서 각각 푈키슈 운동과 불랑제주의라는 두 가지 다른 경향이 나타났다.[64] 푈키슈 운동은 독일 사회에서 국민낭만주의적, 인종차별주의적, 그리고 1900년대부터는 반유대주의적 경향을 대표했으며, 이들은 농촌 지역에서 여전히 찾을 수 있다고 본 생체-신비적 "원시 국가"를 이상화했다. 이는 "자연스러운 엘리트들에게 자유롭게 복종하는 원시 민주주의"의 한 형태였다.[65][64] 프랑스에서는 조르주 불랑제, 폴 데룰레드 및 모리스 바레스가 이끄는 반의회주의적 애국자 동맹이 "국민투표 공화국"을 요구했으며, 대통령은 보통선거로 선출되고, 인민의 의지는 선출된 대표자("부패한 엘리트")가 아닌 "입법 국민투표", 즉 국민투표를 통해 표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64] 이 운동은 드레퓌스 사건 (1894년) 이후 반유대주의로 발전했다.[66] 오늘날 독일과 프랑스의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는 독일을 위한 대안과 국민연합이 있다.
덴마크와 노르웨이 (1970년대)
[편집]피에로 이그나치(Pierro Ignazi)가 "탈산업 정당"이라고 불렀던 현대의 국가 포퓰리즘은 1970년대에 나타났다. 이는 유권자들이 "몰수적"이라고 여겨지는 복지국가와 세금 제도에 반대하고, 유럽 이외 지역에서 유래한 새로운 종류의 이민에 대한 외국인 혐오가 증가하며, 마지막으로 1973년 석유 파동으로 상징되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번영 시대가 끝난 동력에 의해 유지되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에 두 개의 선구자 정당이 등장했다. 즉, 덴마크 인민당의 전신인 진보당 (덴마크)과 노르웨이의 안데르스 랑게의 당이다.[52]
네덜란드와 프랑스 (2001)
[편집]9·11 테러 이후 새로운 우익 포퓰리즘 물결이 일어났다. "신포퓰리스트"들은 "아랍-무슬림 대중에 맞서 소수자(동성애자, 유대인, 여성)의 자유를 옹호하려는" 국민주의 및 이슬람 혐오 정치인들이다. 이러한 경향은 네덜란드의 핌 포르타윈 당에서 처음 나타났고, 이후 헤이르트 빌더르스의 자유당 (네덜란드)과 장마리 르펜 및 그의 딸 마린 르펜의 국민연합이 따랐다. 장 이브 카뮈와 니콜라 르부르에 따르면, 이들 정당은 이념과 유권자 기반이 계층 간에 걸쳐 있기 때문에 좌파와 우파의 진정한 혼합주의는 아니다.[c][67] 또한 신포퓰리스트 정당들은 복지국가 비판에서 다문화주의 비판으로 전환했으며, 그들의 최우선 요구 사항은 여전히 이민 감소이다.[68][69]
헝가리 (2000년대 초)
[편집]헝가리 우익 포퓰리즘 운동의 뿌리는 깊으며, 지난 수십 년 동안 헝가리 정치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헝가리에서 우익 포퓰리즘은 현재 성장하고 있는데, 그 기원은 탈공산주의 시대, 특히 1990년대의 경제적, 정치적 혼란에서 찾을 수 있다.
2000년대 초, 공식적으로 "더 나은 헝가리 운동"으로 알려진 요비크 당이 등장하여 빠르게 헝가리에서 가장 성공적인 극우 정당이 되었다. 2003년에 설립된 요비크는 반유대주의와 반롬족 정서를 이용하여 지지를 결집했으며, 강력한 국민주의 수사와 자본주의 및 자유주의에 대한 적대감을 표출했다. 이 당은 인터넷 채널을 성공적으로 활용하여 젊은이들을 유치하고 동원함으로써 엄청난 인기와 영향력을 얻었다.[70]
오르반 빅토르의 피데스 당 또한 헝가리 우익 포퓰리즘의 중요한 요소이다. 2010년 취임 이후 오르반은 피데스를 중도 우파 정당에서 우익 포퓰리즘 조직으로 변화시켰다. 오르반의 지도 아래, 당은 국가 주권, 반이민 정책, 보수적 사회적 가치를 강조하며 다양한 문제에 대해 유럽 연합과 자주 갈등을 빚었다. 오르반 행정부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권력을 중앙집중화하고, 언론을 통제하며, 법적 체계를 변경했다.[71][70]
성격
[편집]우익 포퓰리즘의 성격은 발현 시기와 나라마다 차이가 존재한다.
근대 초기의 농촌 포퓰리즘 운동은 현대의 기준에서 우익 포퓰리즘 운동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
농촌의 포퓰리즘은 오늘날 흔히 쓰이는 포퓰리즘의 어원이 됐는데, 이 운동의 성격은 현대적 기준에서 우익 포퓰리즘과 상당한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18-19세기 농촌과 일부 도시의 포퓰리즘 운동은 사회주의 세력에 대한 강경한 탄압, 이민 개방 반대, 그리스도교가 갖는 사회적 영향력 고수, 보호 무역 등의 주장으로 압축됐다.
포퓰리즘이 갖는 이러한 기원은 근대 이후 등장한 보수주의 정당이 〈포퓰리스트의 정당〉이라는 차원에서 인민당이라는 명칭을 선호한 것과 관련된다.
현대적 의미에서 우익 포퓰리즘은 일반적으로 불법 이민자에 대한 강경한 추방 정책, 이민 개방 반대[72], 다문화 반대, 환경 규제 철폐[73], 안티페미니즘, 군비 증축, 국수주의[74]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우익 포퓰리즘을 기반으로 한 정당은 1990년대 캐나다, 노르웨이, 프랑스, 이스라엘, 러시아, 루마니아 등 여러 민주주의 국가에서 나타났다.
기업에 대한 입장
[편집]우익 포퓰리스트가 갖는 기업에 대한 입장은 일관되지 않는다. 그러나, 자유 기업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좌익 계열 사상에 대한 배척, 정부 계획을 반대하는 경향, 그리고 사회에서 기업이 갖는 중요성을 인정한다는 점 등은 대체로 공유하는 특징이다.
그러나 일부 우익 포퓰리스트는 기업에 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우익 포퓰리스트는 일부 기업이 "사회적 불순분자"를 옹호하고 조장하며, 이러한 홍보를 통해 자 기업의 이익을 도모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기업관을 갖는 우익 포퓰리스트의 정치 운동 양상은 특정한 기업을 국가의 배신자로 여기고 이러한 기업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는 것으로 표출된다. 다만 이러한 표현이 기업 자체에 관해 부정적인 입장인지는 논란의 대상이 된다. 일례로,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하는 성향을 가진 우익 포퓰리스트 집단은 자유 기업을 중시하며, 기업 규제를 반대하는 점에서 친기업 성향을 갖고 있으나, 대중국 무역 분쟁 시기에 중국 OEM을 이용하거나, 중국 자본에 영향을 받는다고 (그들에 의해) 믿어지는 자국 기업을 타겟팅하여 반기업 활동을 벌였다.
이와 더불어, 기업을 옹호하는 우익 포퓰리스트도 존재한다. 이들은 기업에 대한 모든 환경 규제, 세금 규제를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업 규제가 오히려 사회 안정과 경제, 복지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 여긴다.
국가별 운동
[편집]이탈리아의 정치학자 피에로 이그나치는 우익 포퓰리즘 정당을 "극우 정당"이라고 칭하며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그는 역사적 우파에서 발전한 전통적인 우익 정당과 독립적으로 발전한 탈산업 정당을 구분했다. 첫 번째 범주에는 브리튼 국민당, 독일 국민민주당, 독일 인민연합, 그리고 구 네덜란드 중앙당을 포함시켰는데, 이들의 원형은 해체된 이탈리아 사회운동이다. 대조적으로 그는 국민전선, 공화주의자, 네덜란드의 중앙 민주당, 구 벨기에의 플람스 연합 (이는 전통적인 극우 정당의 특정 측면을 포함함), 덴마크의 진보당 (덴마크), 노르웨이의 진보당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자유당을 두 번째 범주에 포함시켰다.[75][76]
영어권 국가의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는 영국 독립당, 영국 개혁당,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의 원 네이션이 있다.[77] 미국의 공화당, 캐나다 보수당, 영국의 보수당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자유당에는 우익 포퓰리즘 파벌이 포함되어 있다.
아프리카
[편집]이 문서에는 기여자 고유의 독자적인 연구 또는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 |
나이지리아
[편집]라비우 콴콰소와 그의 신 나이지리아 인민당은 일반적으로 포퓰리즘[78] 및 초보수주의[79]로 간주된다. 자신을 아미누 카노에 비유하며, 콴콰소는 복지국가와 더 많은 대학 건설을 지지하는 동시에 나이지리아군과 나이지리아 경찰력의 확대를 주장했다.[80] 콴콰소는 강력한 문화보수주의자이자 독실한 이슬람교 신자로 여겨지지만, 이슬람주의자는 아니다.[79] 콴콰소의 문화적 보수주의에도 불구하고, 그는 나이지리아에서 여성 인권을 지지한다고 표명했다.[81]
남아프리카 공화국
[편집]외교협회의 존 캠벨에 따르면, 자유전선 플러스는 백인과 컬러드가 지배하는 정당으로, 아프리카너 국민주의를 옹호한다. 피터르 흐루네발트가 작성한 현 당 강령은 적극적 우대조치와 흑인 경제권 강화 제도의 종식을 요구하는 동시에 비례대표제를 지지한다.[82] 자유전선 플러스는 항상 보수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아프리칸스어 사용자와 네덜란드 개혁교회 소속 기독교인을 지지해왔다.[82]
우간다
[편집]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과 그의 당인 국민저항운동은 일반적으로 우익 포퓰리스트,[83][84] 반LGBT,[85][86] 그리고 우간다의 내셔널리즘주의자로 간주된다. 코리나 라카투스(Corina Lacatus)에 따르면, "무세베니는 1986년에 포퓰리스트 인물로 권력을 잡았고, 권위주의적 리더십 스타일을 채택하여 수년에 걸쳐 권위주의적 지도자로 변모했다. 수년에 걸쳐 그는 처음으로 정치적 성공을 가져다준 검증된 포퓰리스트 담론에 계속 의존하여 자신의 정권을 발전시키고 선거 캠페인을 홍보했다."[84]
아메리카
[편집]아르헨티나
[편집]
하비에르 밀레이 현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화려한 개성, 독특한 스타일, 그리고 강력한 언론 영향력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밀레이의 견해는 아르헨티나 정치 지형에서 그를 두드러지게 만들었으며, 상당한 대중적 관심과 양극화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정치적으로 우파 자유지상주의자이자 우익 포퓰리스트로 묘사되며, 자유방임주의 경제학을 지지하고 특히 야경국가와 아나르코자본주의 원칙과 일치한다. 밀레이는 국가의 재정 및 구조 정책을 전면적으로 개편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마약 정책, 총기, 매춘, 동성 결혼, 성적 취향 및 성 정체성에 대한 선택의 자유를 지지하는 반면, 낙태와 안락사를 반대한다. 외교 정책에서는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옹호하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여 우크라이나를 지지한다. 또한 중국과의 지정학적 관계에서 아르헨티나를 멀리하고 있다.[87]
밀레이는 극우,[88][89][90] 극우 포퓰리스트,[91][92][93] 우파 자유지상주의자,[94][95][96] 초보수주의자,[97][98][99] 그리고 시장 근본주의자로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100][101][102] 이론적으로는 아나르코자본주의자이지만, 실제적으로는 야경국가론자인 밀레이는 정의와 안보에 초점을 맞춘 최소 정부를 옹호하며,[103] 생명, 자유, 재산을 기반으로 한 철학과 자유 시장 원칙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비판하며,[104] 경제 자유화와 정부 부처의 구조 조정을 옹호한다.[105] 그는 아르헨티나 중앙은행과 현 조세 정책에 반대한다.[106][107]
경제적으로 밀레이는 오스트리아 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전 대통령 카를로스 메넴의 정책을 존경한다.[108] 그는 자본주의를 지지하며, 사회주의를 질투와 강압을 구현하는 것으로 본다.[104] 밀레이는 정부 부처를 축소하고 지출 삭감과 재정 개혁을 통해 경제적 도전에 대응할 것을 제안하며, 이전 행정부의 과도한 지출을 비판한다.[109][110] 그는 전 영국 총리 마거릿 대처의 경제 정책을 칭찬하며 그녀를 "위대한 지도자"라고 불렀다.[111][112][113]
브라질
[편집]
브라질에서 우익 포퓰리즘은 지우마 호세프가 2014년 대선에서 승리할 무렵부터 부상하기 시작했다.[114] 2014년 총선에서 브라질 노동혁신당 소속 레비 피델릭스는[115] 보수적인 연설로 자신을 유일한 우파 후보라고 칭하며 출마했다. 그는 전통적인 가족의식을 주장하고 낙태, 대마초 합법화, 동성 결혼에 반대했으며, 동성애자들은 선량한 시민과 노동자 가족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치료받아야 한다고 제안했다.[116] 총선 1차 투표에서 피델릭스는 446,878표를 얻어 득표율 0.43%를 기록했다.[117] 피델릭스는 11명의 후보 중 7위를 차지했다. 2차 투표에서는 피델릭스가 아에시우 네베스를 지지했다.[118]
또한, 브라질 의회 자문국인 안토니우 아우구스투 지 케이로스(Antônio Augusto de Queiroz)의 정치 분석가에 따르면, 2014년에 선출된 브라질 국민회의는 "재민주화" 운동 이후 가장 보수적인 의회로 간주될 수 있으며, 농본주의자, 군인, 경찰, 기독교 우파 등 더욱 보수적인 부문과 연계된 의원 수가 증가했음을 지적했다. 이후 2015년 경제 위기와 부패 스캔들 조사는 노동자당의 좌파 정책에 반대하여 재정보수주의 및 사회보수주의 사상을 구출하려는 우파 운동으로 이어졌다. 동시에 자유 브라질 운동을 구성하는 등 많은 우파 자유지상주의자들이 부상했다. 만하임(1952)에 따르면, 단일한 실제 세대 내에 "차별되고 적대적인" 여러 세대가 있을 수 있다. 그에게 세대를 특징짓는 것은 공통된 출생일이 아니라, 그들이 공통으로 살아가는 역사적 순간이다. 이 경우 역사적 순간은 지우마 호세프의 탄핵이었다. 이들은 "탈-지우마 세대"라고 불릴 수 있다.[119]
중도 성향의 미셰우 테메르 임시 대통령은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 탄핵 후 취임했다. 테메르는 2017년 10월 3%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120] 사법 방해 및 공갈 혐의로 부패 스캔들에 직면했다.[121] 그는 브라질 국민회의의 우파 정당들의 지지 덕분에 재판을 피할 수 있었다.[120][121] 한편, 호세프 탄핵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인정받는 레낭 칼례이루스 상원 의장(중도 성향의 브라질 민주운동 소속)은 횡령죄 혐의로 직위에서 해임되었다.[122]
2016년 3월, 극우 국회의원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기독교사회당에 입당한 후 대통령 출마를 결심했다. 2017년 그는 애국당의 대선 후보가 되려 했으나, 결국 사회자유당 (브라질)에 입당하여 브라질 노동혁신당의 지지를 받아 2018년 대선에서 승리했다. 그는 좌파 성향의 상파울루 전 시장 페르난두 아다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의 노동자당 소속)를 꺾었다.[123][124][125] 룰라는 형사 부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수감되어 출마가 금지되었다.[126][127] 보우소나루는 인종 차별,[128] 제노포비아적,[129] 여성 혐오적[130] 및 동성애 혐오적 수사로 비난받았다. 그의 캠페인은 범죄, 정치 부패, 퀴어 정체성에 대한 반대, 그리고 감세, 군국주의, 가톨릭 및 복음주의에 대한 지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131][132]
캐나다
[편집]캐나다는 특히 캐나다 서부에서 우익 포퓰리즘 시위 정당 및 정치인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서부 소외라는 개념 때문이다. 매우 성공적인 캐나다 사회신용당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앨버타주, 서스캐처원주에서 지속적으로 의석을 확보했지만,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잊혀졌다.
1980년대 후반, 프레스턴 매닝이 이끄는 캐나다 개혁당은 중도 우파 캐나다 진보보수당의 정책으로 인해 많은 블루 토리들이 소외감을 느끼고 캐나다 서부에서 무시당한다는 인식이 생겨나면서 또 다른 우익 포퓰리즘 운동으로 부상했다. 처음에는 캐나다 서부에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단일 쟁점적 열망에서 시작했지만, 개혁당은 사회보수주의와 우익 포퓰리즘 정책을 혼합한 강령으로 확장했다. 이 당은 1990년대에 주변 정당에서 주요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여 공식 야당이 되었고, 이후 캐나다 동맹으로 재편되었다. 동맹은 결국 진보보수당과 합병하여 현대의 캐나다 보수당을 형성했으며, 이후 동맹 파벌은 포퓰리즘적이고 사회보수주의적인 아이디어 중 일부를 포기했다.

최근 몇 년간 캐나다 보수당과 주류 지방 정당 내에 우익 포퓰리즘 요소가 존재해왔으며, 온타리오주 국회의원 켈리 레이치, 사업가 케빈 올리어리, 퀘벡주 총리 프랑수아 르고, 토론토 전 시장 롭 포드, 그리고 그의 형제인 온타리오주 총리 더그 포드 등이 이를 지지했다.[133][134][135][136][137] 더그 포드는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했고, 그의 첫 임기 동안 공개적으로 지지를 표명했다.[138][139] 그는 2024년 선거에서도 트럼프를 지지했지만, 나중에 선거 후 그에게 반대하며 지지했던 것을 후회한다고 밝혔다.[140]
2018년 8월, 보수당 국회의원 막심 베르니에는 당을 탈당했고, 다음 달에는 캐나다 인민당을 창당했다. 이 당은 스스로를 "스마트 포퓰리즘"이라고 묘사하며 캐나다 언론인들로부터 "강경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평가받았다.[141][142] 베르니에는 2019년 캐나다 연방 선거에서 의석을 잃었고, 인민당은 득표율 1%를 겨우 넘겼지만, 2021년 선거에서는 개선된 성과를 보여 득표율이 거의 5%까지 올랐다.[143]

일부 언론인에 의해 포퓰리스트로 묘사된[144][145] 피에르 폴리에브는 2022년 캐나다 보수당 대표 선거에서 승리하여 캐나다 보수당과 캐나다 공식 야당 대표의 지도자가 되었다. 일부 언론인들은 폴리에브를 미국의 공화당 포퓰리스트인 도널드 트럼프와 테드 크루즈에 비유했지만,[146][145] 많은 언론인들은 폴리에브의 낙태 찬성, 이민 찬성, 동성 결혼 찬성 입장을 들어 이러한 비교를 일축했다.[147][148][149][150][151][152][153][154] 잭 보챔프(Zack Beauchamp)는 2024년 복스에 기고한 글에서 폴리에브를 "온건한 포퓰리스트"라고 묘사하며, "정책 내용상 그는 사실 트럼프나 유럽 급진주의자들보다 훨씬 온건하다"고 언급하고 "그는 세계 극우파의 다른 이들처럼 이민자와 소수 민족을 공격하려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가 극우에 속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55] 보챔프는 또한 "상대적으로 약화된 포퓰리즘"을 캐나다 정치의 실패가 아닌 강점으로 묘사했다.[155]
칠레
[편집]
칠레의 우익 공화당과 호세 안토니오 카스트 후보는 2021년과 2025년 대선에서 우익 포퓰리스트로 평가받았다.[156] 요하네스 카이저는 2025년 대선에서 국민 자유주의당의 창립자이자 후보로 나서며 우익 포퓰리스트로 묘사되었다.[157]
코스타리카
[편집]2018년 코스타리카 총선에서 복음주의 기독교 후보 파브리시오 알바라도 무뇨스[158][159]와 우익 반기득권 후보 후안 디에고 카스트로 페르난데스[160][161] 모두 우익 포퓰리스트로 묘사되었다.
미국
[편집]
미국에서 우익 포퓰리즘은 종종 복음주의 기독교,[162] 분리주의,[163] 미국 국민주의, 토착주의[163] 반지성주의[163] 및 반유대주의[164][165]와 연관된다. 공화당, 특히 도널드 트럼프 지지자들 사이에는 우익 포퓰리즘 파벌이 포함되어 있다.[166]
무어(1996)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엘리트의 증가하는 권력에 대한 포퓰리스트적 반대"가 1920년대 이래 "보수 및 우익 운동"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167] 미국 양대 정당의 역사적인 우익 포퓰리즘 인물로는 토머스 E. 왓슨, 스트롬 서먼드,[d] 조지프 매카시, 배리 골드워터, 조지 월리스, 팻 뷰캐넌 등이 있다.[164]
1890년대와 1900년대 인민당의 주요 구성원 중 일부는 경제 자유주의를 지지하면서도 우익 포퓰리즘의 사회적 측면을 지지했다.[163] 189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인민당의 부통령 후보였고 19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 후보였던 왓슨은 결국 백인 우월주의와 반유대주의를 받아들였다.[168] 1896년 인민당 대선 후보였던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은 사회적으로나 신학적으로 보수적이었으며, 창조론, 금주법, 그리고 기독교 근본주의의 다른 측면들을 지지했다. 브래들리 J. 롱필드는 브라이언이 "신학적으로 보수적인 사회 복음주의자"였다고 주장한다.[163][169] NPR의 론 엘빙이 쓴 기사는 브라이언의 포퓰리즘을 이후 트럼프의 우익 포퓰리즘에 비유한다.[163]
2010년 라스무센과 쇤은 티파티 운동을 "우익 반체제 포퓰리즘 운동"으로 규정했다. 그들은 "오늘날 우리의 나라 [미국]는 우파로부터 압도적으로 나타난 새로운 포퓰리즘적 반란, 즉 티파티 운동의 한가운데에 있다"고 덧붙였다.[170] 2010년 데이비드 바스토우는 뉴욕 타임스에 "티파티 운동은 보수적 포퓰리즘적 불만의 플랫폼이 되었다"고 썼다.[171] 미국의 상원의원 테드 크루즈와 전 하원의원 론 폴과 같이 티파티와 밀접하게 연관된 일부 정치인들은 우익 포퓰리즘에 호소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172][173][174] 미국 하원의 프리덤 코커스는 티파티 운동과 연관되어 우익 포퓰리스트로 묘사되었다.[175][176]
도널드 트럼프의 2016년, 2020년, 2024년 대선 캠페인은 반기득권, 반이민 및 보호무역적 수사로 주목받았으며, 우익 포퓰리스트로 특징지어졌다.[177][178] 트럼프의 전 수석 전략가 스티브 배넌의 이념 또한 그렇게 묘사되었다.[179] 트럼프의 정책과 수사는 학자들과 정치 평론가들에 의해 자주 우익 포퓰리스트로 묘사되었다.[180][181]
아시아-태평양 국가
[편집]오스트레일리아
[편집]
오스트레일리아의 우익 포퓰리즘은 종종 정착민 식민주의에 기반한 국가 정체성에 대한 서사를 활용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존재와 권리를 경시한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토지 권리에 대한 반대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헌법적 인정에 대한 저항으로 나타난다.[182]
우익 포퓰리즘은 또한 폴린 핸슨이 이끄는 원 네이션 (퀸즐랜드주 출신 오스트레일리아 상원 의원)[183]과 일반적으로 주류 자유국민 연립에 대한 선호 투표를 통해 나타났다.[184] 그리고 퀸즐랜드주 오스트레일리아 하원 의원 봅 캐터가 이끄는 캐터의 오스트레일리아당도 있다.[185][186]
또한, 주요 중도 우파 정당인 자유국민연립에는 전 야당 대표 피터 더턴을 포함한 국민 우파로 알려진 우익 포퓰리즘 파벌이 속해 있다.[187]
중국
[편집]2010년대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난민 유입은 중국 인터넷에서 반이민 정서를 불러일으켰고, 그 이후로 반"백좌"주의, 이슬람 혐오, 반다문화주의와 같은 포퓰리스트 우파와 유사한 서사가 많이 관찰되었다.[188]
인도
[편집]
인도의 우익 포퓰리즘은 주로 힌두 민족주의, 문화보수주의, 그리고 신자유주의 경제 개혁을 중심으로 한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집권 인도 인민당 (BJP)은 극우 정당으로, 우익 힌두트바 준군사 단체인 국민 의용단 (RSS)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BJP와 RSS는 비나야크 다모다르 사바르카르가 1922년에 정립한 힌두 민족주의 이념인 힌두트바를 옹호하며, 이는 당시 유럽의 파시즘의 부상에서 영감을 받았다.
다른 주요 우익 포퓰리스트 인물로는 BJP의 수석 전략가인 아미트 샤와 우타르프라데시주 총리인 요기 아디티아나트가 있다.
일본
[편집]일본의 우익 포퓰리스트는 두 가지 뚜렷한 파벌을 포함한다. 한 파벌은 55년 체제의 자유민주당과 무관하거나 반대하는 일본유신회와 같은 보수주의자들이다.[189] 다른 파벌은 서구의 극우 포퓰리스트와 유사하며틀:How 일본제일당, 참정당, 일본보수당과 같은 정당을 포함한다.[190]
뉴질랜드
[편집]뉴질랜드의 우익 포퓰리즘은 1975년부터 1984년까지 뉴질랜드 국민당 총리였던 로버트 멀둔에게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경제 국민주의자이자 사회보수주의자인 멀둔은 언론과 좌파에 대한 적대감, 그리고 자신의 거칠고 다채로운 대중적 이미지로 대중에게 호소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91] 그는 또한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와 호주 총리 맬컴 프레이저를 포함한 외국 지도자들에 대해 무례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솔직한 발언을 자주 했고,[191] 이들을 조롱하거나 심지어 괴롭히기도 했다.[192]
파키스탄
[편집]파키스탄에서 파키스탄 정의운동 (PTI)은 최근 중도 포퓰리스트로 묘사되었지만, 우익 포퓰리스트와 일부 특성을 공유한다.[193] 당 대표 임란 칸은 전통적인 정치인들을 공격했다.[193] 영국 언론인 벤 주다는 인터뷰에서 칸을 그의 포퓰리즘적 수사로 도널드 트럼프와 비교했다.[194]
대만
[편집]대만의 우익 포퓰리스트들은 대만의 '대만' 독립 정체성을 부정하고 '중화민국'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대만의 좌파 대만 민족주의자들은 강력한 친미 성향을 가지고 있어, 대만의 주요 보수주의자들과 소수 보수주의자들은 이를 비판한다.[195] 특히, 대만의 우익 포퓰리스트들은 경제 성장과 우익 중국 민족주의 문제가 자유민주주의보다 중요하며, 중화인민공화국과 더 가까워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만의 주요 우익 포퓰리스트로는 궈타이밍, 한궈위, 장야중 등이 있다.[196][197][198]
유럽 국가
[편집]2019년 5월 포린 폴리시지는 아일랜드, 몰타, 포르투갈만이 의회에 극우 포퓰리스트 정당이 없는 세 곳의 유럽 연합 국가라고 설명했다.[199] 포르투갈은 이후 2019년 10월에 체가 당을 의회에 선출했다.[200]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벨기에 왈롱 지역도 미디어의 방역선으로 인해 극우 후보들의 실시간 미디어 출연이 금지되면서 중요한 우익 포퓰리즘 세력이 없는 유럽의 드문 지역으로 묘사된다.[201][202]
2016년 유럽연합 고위 외교관들은 극우 및 포퓰리즘 운동에 대한 러시아의 재정 지원에 대한 유럽 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여러" 국가의 정보기관이 모스크바와의 연관 가능성을 조사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에 밝혔다.[203] 또한 2016년 체코는 러시아가 유럽연합 전역의 우익 포퓰리즘 정치인들을 지원하여 유럽연합을 "분열시키고 정복"하려 한다고 경고했다.[204]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유럽에서 주택 가격과 포퓰리스트 정당 투표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5] 이 연구는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주택 가격이 정체되거나 하락한 프랑스 시민들이 마린 르펜에게 투표할 가능성이 훨씬 높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주택 가격이 상승한 사람들은 에마뉘엘 마크롱에게 투표할 가능성이 훨씬 높았다. 동일한 패턴이 2016년 영국 유럽 연합 회원국 국민투표에서도 나타났는데, 주택 가격이 상승한 사람들은 잔류에 투표했지만, 주택 가격이 정체되거나 하락한 사람들은 탈퇴에 투표했다.
오스트리아
[편집]1955년에 설립된 오스트리아의 오스트리아 자유당 (FPÖ)은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과 사회 가톨릭 오스트리아 국민당 외에 "제3 진영" (Drittes Lager)을 대표한다고 주장한다. 이 당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설립된 독립 연합을 계승했으며, 독일 국민주의의 전전 유산을 채택했지만, 나치즘을 옹호하지 않고 정치적 중도에 자신을 위치시켰다. 수십 년 동안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지만, 우익 또는 좌익 연방 정부 (예: 사회주의자 브루노 크라이스키 내각의 1970년)를 지지함으로써 상당한 권력 균형을 행사했다.
1980년부터 자유당은 보다 온건한 입장을 채택했다. 1983년 연방 선거에서 사회당과 연립정부에 참여했으며, 당 의장 노르베르트 슈테거는 오스트리아의 부총리로 재직했다. 그러나 1986년에 외르크 하이더가 의장으로 선출되면서 자유주의적 간주곡은 끝났다. 하이더는 서민적인 태도와 애국적인 태도로 당의 민족주의적 지지층을 재결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오스트리아의 프로포르츠 제도의 부패와 족벌주의를 공개적으로 비난하여 정치에 환멸을 느낀 많은 국민들로부터 표를 얻었다. 1995년 오스트리아의 유럽 연합 가입으로 선거 성공은 더욱 증폭되었다.
1999년 연방 선거에서 자유당 (FPÖ)은 26.9%의 득표율로 국민의회에서 두 번째로 강한 정당이 되었다. 국민당과 연립정부에 참여한 하이더는 여러 FPÖ 장관들의 무능력과 자신의 내각 구성원들을 상대로 선동할 수 없다는 문제에 직면해야 했다. 2005년 그는 결국 FPÖ의 명성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오스트리아 미래 동맹 (BZÖ)을 다시 출범시켜 자신의 정부를 이어나갔다. 남은 FPÖ 의원들은 하인츠크리스티안 슈트라헤를 의장으로 선출했지만, 2006년 연방 선거 이후 두 우파 정당은 별도로 출마했다. 2008년 하이더가 자동차 사고로 사망한 후, BZÖ는 상당한 지지를 잃었다.
FPÖ는 이후 선거에서 많은 지지를 회복했다. 후보 노르베르트 호퍼는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 결선투표에 진출했지만, 아슬아슬하게 패배했다. 2017년 의회 선거 이후 FPÖ는 국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지만, 2019년에는 의석을 잃었다.
FPÖ는 2024년 국민의회 선거에서 29% 이상의 득표율로 역사상 처음으로 승리했다.
벨기에
[편집]
1978년에 설립된 플람스 연합은 법과 질서, 반이민 (특히 이슬람 이민에 초점) 및 벨기에의 플란데런 지역 분리 독립을 강령으로 삼았다. 이 분리 독립은 원래 플란데런을 문화적, 언어적으로 유사한 네덜란드에 병합하는 것으로 계획되었으나, 네덜란드의 다문화주의로 인해 이 계획은 포기되었다. 2004년 6월 플람스 의회 선거에서 이 당은 24.2%의 득표율을 얻어 가장 큰 정당이 되기까지 2%도 채 남지 않았다.[206] 그러나 같은 해 11월, 이 당은 시민과 이민자를 위한 분리된 학교를 옹호하는 등 벨기에 반인종차별법에 따라 불법으로 판결받았다.[207]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이 당은 플람스의 이익이라는 이름으로 재창립되었고, 처음에는 거의 동일한 이념을 가졌으나 이후 강령의 일부를 완화했다. 이 당은 국내에 머물기를 원하는 이민자들이 플람스 문화와 언어를 채택할 것을 옹호한다. 또한 불법체류에 대한 무관용 원칙 입장과 국경 통제 재개를 요구한다.[208] 벨기에의 유대인 인구로부터 반유대주의라는 비난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당은 이슬람에 대한 반대의 일환으로 확고한 친이스라엘 입장을 보여왔다.[209] 안트베르펜에서는 상당수의 유대인 인구가 이 당을 지지하기 시작했다.[210] 124석 중 23석을 차지한 플람스 이익은 플람스 의회에서 야당을 이끌고 있다.[211] 또한 벨기에 하원에서 150석 중 11석을 차지하고 있다.[212]
플람스 국민주의 및 보수자유주의 정당인 신플람스 연맹은 독일의 디 차이트 잡지 등 해외 언론에 의해 포퓰리스트 또는 우익 포퓰리즘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이 정당은 이 용어를 반박하며 스스로를 그렇게 분류하지 않는다.[213]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왈롱에서는 스티브 배넌의 동료인 미카엘 모드리카멘이 왈롱 선거에 출마한 인민당의 당수였다. 정치 분석가들은 일반적으로 우익 포퓰리즘 정당들이 플람스 유권자들에게 더 좋은 성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관찰하는데, 이는 최근 수십 년간 플람스 표가 우파로 이동하고 플람스 정당들이 플람스 민족주의를 다른 문제들과 엮었기 때문이다.[123]
2019년 연방, 지역 및 유럽 선거 기준으로, 플람스의 이익은 2014년 248,843표에서 2019년 5월 26일 783,977표로 급증했다.[214]
덴마크
[편집]
1970년대 초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우익 포퓰리즘 정당의 본거지는 덴마크의 진보당 (덴마크)이었다.[215] 1973년 선거에서 이 당은 거의 16%의 득표율을 얻었다.[216] 그 후 몇 년 동안 지지율이 감소했지만, 1990년대에 덴마크 인민당이 이를 대체하여 2000년대 집권 연립 정부의 중요한 지지 정당이 되었다.[217] 인기가 절정에 달했을 때 2015년 덴마크 의회 선거에서 21%의 득표율 (37석 해당)을 얻어,[218] 폴케팅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이 되었고,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두 개의 소수 정부의 지지 정당 역할을 했으나 2019년 덴마크 의회 선거에서는 16석, 2022년에는 5석 (2.6% 득표율)으로 줄어들었다.[219] 2015년에는 신우파당이 창당되었는데,[220] 2022년 선거에서 6석 (3.7% 득표율)을 얻었다.[219] 2022년에는 덴마크 민주당이 폴케팅에서 가장 최근의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창당되어 2022년 총선에서 8%의 득표율과 14석을 얻었다.[221]
핀란드
[편집]핀란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우익 및 극우 정당은 핀인당이다. 가장 최근 의회 선거는 2023년 4월 2일에 치러졌다. 2023년 선거 이후 오르포 내각은 국민연합당, 핀인당, 핀란드 스웨덴인당 및 기독교민주당으로 구성되었다.[222][223][224][225]
프랑스
[편집]
드골주의는 카리스마, 대중 동원, 프랑스 국민주의, 예외주의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우익) 포퓰리즘의 일부로 간주된다. 드골주의는 프랑스의 현대 우익 정치에 깊이 뿌리내려 있다.[226][227]
국민전선 (NF)은 2018년에 "국민연합"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전형적인 포퓰리스트 급진 우익 정당"으로 인용되었다.[35] 이 당은 1972년 장마리 르펜에 의해 당시 프랑스의 여러 국민주의 운동을 통합하여 설립되었으며, 그는 이를 잘 조직된 정당으로 발전시켰다.[35] 10년간 고전한 후, 이 당은 1984년에 첫 정점을 찍었다. 2002년에는 르펜이 프랑스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사회주의 후보보다 더 많은 표를 얻어, NF 후보로는 처음으로 대통령 결선 투표에 진출했다. 르펜의 딸 마린 르펜이 2011년에 당 대표직을 맡은 후, 국민전선은 프랑스의 주요 정당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마린 르펜의 당 "악마화 해소" 또는 정상화 정책으로 인해 장마리는 2015년에 처음 정지당했고, 이후 당에서 제명되었다. 마린 르펜은 2017년 선거에서 2위를 차지했으며, 2017년 5월 7일에 치러진 2차 투표에서 에마뉘엘 마크롱에게 패배했다. 그러나 2018년에 발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프랑스 인구의 대다수가 이 당을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228]
프랑스의 우익 포퓰리즘은 결혼 반대 시위에서 보듯이 반동성결혼 운동과 반젠더 운동과 같은 문화적 쟁점도 포함했다.[58]
독일
[편집]
2013년부터 독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우익 포퓰리즘 정당은 독일을 위한 대안으로, 201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3위를 차지하며 독일의 국회에 진출한 최초의 우익 포퓰리즘 정당이 되었다. 이전에는 우익 포퓰리즘 정당들이 주의회에서만 의석을 얻었었다. 좌익 포퓰리즘은 좌파당에 의해 연방의회에서 대표된다.
프로 NRW 및 분노한 시민들 (Bürger in Wut, BIW)과 같은 우익 포퓰리즘 운동은 가끔씩 지지를 얻는다. 1989년 프란츠 쇤후버가 이끄는 공화주의자는 베를린 하원의원에 진출했으며, 1989년 유럽 선거에서 독일 전체 득표율의 7% 이상을 얻어 유럽 의회에 6석을 확보했다. 이 당은 1992년과 1996년에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에서도 의석을 얻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공화주의자들의 지지는 극우 독일 인민연합과 신나치주의 독일 국민민주당 (NPD)으로 흡수되었고, NPD는 2009년 연방 선거에서 1.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지역 주의회 선거에서는 최대 9%를 얻기도 했다).
2005년 쾰른에서 전국적인 프로 독일 시민 운동이 창설되었다. 이 "프로 운동"은 수많은 소규모 정당, 유권자 협회 및 단체들의 연합체로 나타났으며, 극단주의[229] 및 이민자 반대 캠페인으로 자신들을 구별했다. 이들의 대표자들은 무관용 원칙을 주장하며 부패와 싸운다. 이들의 정책은 다민족 사회 (초과 외국인 문제)와 이슬람교 확산을 부정하는 극우적 입장으로 확장된다. 다른 소규모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는 2010년에 설립된 독일 자유당, 구 동독의 독일 사회 연합, 그리고 해체된 "실 당"이 있다.
독일을 위한 대안은 특히 동독 지역에서 경제적 불만과 이민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인기가 높아졌다. 연구에 따르면 AfD는 2023년까지 독일에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정당이 될 것이며, 국가 및 지방 수준에서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이들의 입장은 더욱 급진적이 되어, 독일의 EU 및 NATO 탈퇴를 주장하고 기후 보호 조치에 반대한다.[230] 이 당의 인기는 독일 집권 연정 내부의 갈등과 정책 논쟁으로 인해 전통 정당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약화된 것에 기인할 수 있다.[231]
2024년 AfD는 튀링겐 주 선거에서 승리했으며, 작센 주와 브란덴부르크 주에서는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그리스
[편집]
그리스에서 가장 두드러진 우익 포퓰리즘 정당은 독립 그리스인 (ANEL)이다.[232][233] 더 극단적인 황금새벽당보다 작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1월 총선 이후 ANEL은 좌파 급진좌파연합 (SYRIZA)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집권당이 되었고, 알렉시스 치프라스 내각에 참여하게 되었다.[234]
신나치주의 황금새벽당은 경제 침체기에 그리스에서 크게 성장하여 득표율 7%를 얻고 그리스 의회 300석 중 18석을 차지했다. 이 당의 이념에는 알바니아와 튀르키예의 영토, 특히 튀르키예 도시인 이스탄불과 이즈미르를 합병하는 것이 포함된다.[235] 이 당의 논란이 되는 조치로는 아테네에서 그리스 시민에게만 음식을 제공하다 경찰에 의해 폐쇄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주방이 있었다.[236]
대중정교회연대는 그리스 의회에 의석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2014년까지 그리스의 22명의 유럽의회 의원 중 2명을 배출했다. 이 당은 반세계화, 중소기업을 위한 낮은 세금, 튀르키예의 유럽 연합 가입 반대, 북마케도니아의 마케도니아라는 이름 사용 반대, 그리고 유럽인에 한정된 이민만을 지지한다.[237] 정부 참여는 이 당이 유권자들에게 인기를 잃은 이유 중 하나였으며, 유권자들은 2012년 그리스 선거에서 황금새벽당으로 돌아섰다.[238]
그리스 해법은 우익에서 극우로 분류되며, 이념적으로 국수주의적이고 우익 포퓰리스트로 묘사되었다. 이 당은 2019년 그리스 총선에서 3.7%의 득표율로 그리스 의회 300석 중 10석을 차지했으며, 2019년 그리스 유럽 의회 선거에서 4.18%의 득표율로 유럽 의회에 1석을 확보했다.
이탈리아
[편집]
이탈리아에서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1994년부터 2011년 사이에 네 차례 별도의 임기를 수행했으며, 현대 유럽 최초의 저명한 포퓰리스트 정치인으로 간주된다. 그는 반이민 정서를 부추기고, 2006년 총선 결과를 부인했으며,[239] 사법부와 정치적 반대자들에게 자주 공격적인 발언을 했다.[240] 하지만 그의 전진이탈리아 당은 더 온건한 것으로 평가된다.[241][242] 대신, 지난 20년간 가장 두드러진 우익 포퓰리즘 정당은 과거 북부동맹 (LN)이었던 살비니 총리 동맹이었다.[243] 당 지도자들은 우익이라는 명칭을 거부했지만,[244][245][246] "포퓰리스트"라는 명칭은 거부하지 않았다.[247]
살비니 총리 동맹은 연방주의, 지역주의 그리고 때때로 분리주의 정당으로, 1980년대에 발생하고 확장된 여러 이탈리아 북부 및 이탈리아 중부 지역 정당들의 연합으로 1991년에 설립되었다. 살비니 총리 동맹의 강령은 이탈리아를 연방 국가로 전환하고, 재정 연방주의를 도입하며, 특히 북부 지역의 더 큰 지역 자치권을 옹호한다. 때때로 이 당은 자신이 파다니아라고 부르는 북부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 당은 일반적으로 이탈리아 남부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는데, 당원들은 남부 이탈리아인들의 북부 이탈리아 도시 이민에 반대하고, 남부 이탈리아인들을 복지 남용자이며 이탈리아 사회에 해로운 존재로 낙인찍고, 이탈리아의 경제 문제와 이탈리아 경제의 남북 격차를 남부 이탈리아인들의 게으름, 교육 부족 또는 범죄와 같은 내재된 부정적 특성 탓으로 돌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8][249][250][251] 일부 살비니 총리 동맹 당원들은 남부 이탈리아인들을 비하하는 흔한 경멸적 용어인 테로네를 공개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남부 이탈리아인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불러일으킨다.[248][249][252] 북부의 연방주의, 지역주의, 포퓰리즘 정당으로서 살비니 총리 동맹은 또한 로마의 중앙집권적 권력과 정치적 중요성을 강하게 비판하며, 때로는 반남부적 입장 외에 반로마적 입장도 어느 정도 채택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 이탈리아로의 이민이 증가하면서 살비니 총리 동맹은 이탈리아로의 대규모 이민 비판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불법체류에 반대하고, 이슬람교에 비판적이며, 이탈리아의 유로존 탈퇴를 제안하는 살비니 총리 동맹은 유럽회의주의 운동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유럽 의회의 정체성과 민주주의 (ID) 그룹의 일부이다. 살비니 총리 동맹은 1994년, 2001~2006년, 2008~2011년, 2018~2019년에 국가 정부의 일원이었다. 가장 최근에는 마테오 살비니의 지도 아래 롬바르디아주와 베네토주의 총재를 포함한 당이 2018년 총선에서 17.4%의 득표율을 얻어 이탈리아에서 세 번째로 큰 당이 되었다 (중도우파 연합 내에서는 가장 큰 당). 2014년 유럽 선거에서는 6.2%의 득표율을 얻었다. 살비니의 지도 아래 이 당은 어느 정도 이탈리아 국민주의를 수용하고 유럽회의주의, 반이민 및 기타 "포퓰리스트" 정책을 강조하며 유럽의 우익 포퓰리즘 정당들과 동맹을 맺었다.[253][254][255]

2010년대 후반에서 2020년대 초반 사이에 중도우파 연합 내에서 또 다른 우익 포퓰리즘 운동이 등장했다. 조르자 멜로니가 이끄는 국민보수주의 이탈리아의 형제들 (FdI)은 2018년 선거에서 4.4%의 득표율을 얻었고, 4년 후 2022년 총선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어 2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멜로니는 1945년 이후 가장 우익적인 이탈리아 정부로 간주되는 내각의 수장으로서 10월 22일 총리로 임명되었다.[256][257]
일부 국민보수주의, 국민주의, 그리고 분명히 우익 포퓰리즘 정당들은 특히 라치오주(Lazio)와 이탈리아 남부에서 강세를 보인다. 대부분의 정당은 이탈리아 사회운동 (최대 1972년 총선에서 8.7%의 득표율을 얻은 국민보수주의 정당)과 그 후계 정당인 국가동맹 (최대 1996년 총선에서 15.7%의 득표율을 얻음)에서 유래했다. 이탈리아의 형제들 외에도 신권력당 (0.3%), 카사파운드 (0.1%), 삼색 화염 (0.1%), 사회 이념 운동 (0.01%), 국가 프로젝트 (0.01%) 등이 있다.
또한, 독일어를 사용하는 볼차노도에서는 남티롤 자유당과 자유주의자가 종종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묘사된다.
네덜란드
[편집]
네덜란드에서 우익 포퓰리즘은 1982년 중앙당이 네덜란드 하원 150석 중 1석을 얻으면서 대표되었다. 1990년대에는 분리 정당인 중앙 민주당이 약간 더 성공적이었지만, 그 중요성은 여전히 미미했다. 2002년이 되어서야 네덜란드에서 우익 포퓰리즘 정당이 돌파구를 마련했는데, 핌 포르타윈 당 (LPF)이 26석을 얻어 이후 기독민주당 (CDA) 및 자유민주인민당 (VVD)과 연정을 구성했다. 이민, 특히 무슬림 이민에 대해 강경한 견해를 가지고 있던 핌 포르타윈은 선거 2주 전인 2002년 5월에 암살되었다. 이념적으로 LPF는 낙태, 동성애자 권리, 안락사 등 특정 사회 문제에 대해 더 자유주의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이민, 법과 질서, 유럽 연합에 대한 타협 없는 입장을 고수함으로써 다른 유럽 우익 포퓰리즘 운동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포르타윈 자신은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였다). 포르타윈은 다문화주의, 이민 및 이민자 통합 문제를 정치 주류로 끌어들여 네덜란드 정치 지형을 변화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258] 그러나 연정은 2003년까지 해체되었고, LPF는 급격히 쇠퇴하여 해산되었다.
2006년부터 자유당 (PVV)은 하원에 대표되었으며 핌 포르타윈 당의 뒤를 잇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2010년 총선 이후, 하원에서 24석을 얻은 후 기독민주당과 자유민주인민당의 우익 소수 정부와 협정을 맺었다. 이 당은 유럽회의론적이며, 유럽 통합에 대한 네덜란드 정부의 변화하는 입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200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25석 중 4석을 얻어 2위를 차지했다. 이 당의 주요 강령은 이슬람에 대한 강력한 비판, 새로운 유럽 연합 국가 및 이슬람 국가로부터의 이주 제한, 네덜란드 사회로의 이민자 문화적 동화 촉진, 튀르키예의 유럽 연합 가입 반대, 네덜란드의 유럽 연합 탈퇴 주장, 그리고 유로를 포기하고 굴덴으로 돌아갈 것을 옹호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259]
2017년부터 민주주의를 위한 포럼 (FvD)은 네덜란드에서 또 다른 우익 포퓰리즘 세력으로 부상했다. FvD는 또한 더 엄격한 이민 정책과 네덜란드의 유럽 연합 회원국 자격에 대한 국민투표를 옹호한다.[260][261]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묘사된[262] 농민시민운동은 2023년 네덜란드 지방 선거에서 승리하여 득표율 1위를 차지하고 12개 모든 주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얻었다.[263][264]
폴란드
[편집]
폴란드에서 가장 큰 우익 포퓰리즘 정당은 현재 대통령직을 차지하고 있는 법과 정의이다. 이 당은 사회보수주의와 반이민 (이민 비판)을 NATO에 대한 강력한 지지와 시장 개입주의 경제 정책과 결합한다.[266]
미하우 마루시크가 이끄는 폴란드 신우파 의회는 사회 보장, 보편적 공공 의료, 국가 지원 교육, 그리고 공산주의 폴란드 1944년 농업 개혁을 폐지하여 역동적인 경제 및 복지 성장을 이루는 방식과 같은 재정보수주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홍보한다.[267][268] 이 당은 우파 및 좌파 대중 모두에게 포퓰리스트로 간주된다.[269][270]
루마니아
[편집]루마니아에서 가장 두드러진 우익 포퓰리즘 정당인 루마니아 통일을 위한 동맹 (AUR, 루마니아어로: Alianța pentru Unirea Românilor)은 2019년 2019년 루마니아 유럽 의회 선거의 독립 후보 게오르게 시미온에 의해 설립되었다. 보수 국민주의적 강령으로 출마했으며, 친러 성향으로도 묘사되었고, 몰도바와 루마니아의 통일을 목표로 했다. 이 당은 2020년 루마니아 총선 이후 루마니아에서 네 번째로 큰 정치 세력이 되었다. 이후 4년간 인기를 얻어 2024년 루마니아 총선에서는 루마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이자 야당의 주도 정당이 되었다.[271][272]
AUR의 우익 포퓰리즘적 움직임은 다양한 성공률을 보이는 다른 국민주의 정당들의 창당을 촉발했다. 2024년 총선에서는 두 개의 다른 우익에서 극우 정당인 S.O.S. 루마니아 (SOS, 루마니아어: S.O.S. România)와 청년당 (POT, 루마니아어: Partidul Oamenilor Tineri)이 루마니아 의회에 진출했다. 두 정당 모두 AUR에서 분리되었으며, 전 AUR 당원인 디아나 소아카 (SOS)와 아나마리아 가브릴라 (POT)가 이끌고 있다. S.O.S. 루마니아는 적극적인 친러 성향, 신레기온주의, 그리고 강경 유럽회의주의적 입장, 즉 루마니아의 유럽 연합 탈퇴를 주장하며 AUR보다 "훨씬 나쁘다"는 평가를 받았다.[273]
2024년 및 2025년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와 그 여파
[편집]우익 포퓰리스트에서 극우 정당들은 2024년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와 관련하여 스캔들의 중심에 있었다. 이 선거에서는 다소 알려지지 않은 전 AUR 당원이자 우익 포퓰리스트 무소속 후보인 컬린 조르게스쿠가 1차 투표에서 승리하여 선거에 대한 러시아의 잠재적 간섭에 대한 조사를 촉발했다. 선거 2차 투표를 이틀 앞두고 루마니아 중앙 선거 관리국은 선거를 취소하고 1차 투표 결과를 무효화하여, 야당이 이러한 정당성에 대해 정부와 갈등을 빚는 국가적 소동으로 이어졌다.
선거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2차 투표에서 조르게스쿠에 대한 공개 지지를 선언했던 AUR 후보 게오르게 시미온은 선거 취소를 사기라고 비난했으며, 아나마리아 가브릴라와 함께 다음 몇 달 동안 친조르게스쿠 시위를 주도했다. 이 시위는 부쿠레슈티와 전국에 다양한 정도의 피해를 입혔다. 1월에 새로운 선거가 발표되었고, 조르게스쿠는 3월 7일에 후보 등록을 했지만 이틀 후 거부되어 부쿠레슈티에서 추가 시위로 이어졌다. 조르게스쿠는 이전 선거와 관련된 이유로 2월 26일에 루마니아 경찰에 의해 구금된 바 있다.
조르게스쿠가 후보 자격을 박탈당하자, 게오르게 시미온과 아나마리아 가브릴라는 3월 14일에 후보 등록을 했고, 두 후보 모두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한 명이 철회하여 한 명의 국민주의 후보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보낼 것이라고 발표했다. 철회한 사람은 아나마리아 가브릴라였으며, 그녀는 3월 19일에 이를 공개적으로 발표했다. 5월에 치러진 선거에서 게오르게 시미온은 1차 투표에서 큰 격차로 승리하여 결선 투표에 진출했지만, 루마니아 구국연합 (USR, 루마니아어: Uniunea Salvați România)이 지지하는 부쿠레슈티의 무소속 시장 니쿠쇼르 단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여 루마니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74][275]
단이 당선된 후, 컬린 조르게스쿠는 정치 활동에서 잠정적으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아나마리아 가브릴라의 POT는 여러 당원들이 당을 떠나면서 루마니아 원로원에서 정치 그룹으로서의 존재를 상실하는 등 큰 몰락을 겪었다.
스페인
[편집]
스페인에서 우익 포퓰리즘의 등장은 2018년 12월 안달루시아 의회 선거 이후 힘을 얻기 시작했는데, 이 선거에서 우익 포퓰리즘 정당 VOX가 12석을 얻고[276] 사회주의 정당이 선거에서 승리했지만 우파 정당인 국민당과 시민-시민권당의 연립 정부를 지지하기로 합의했다.[277] VOX는 좌파 정당과 스페인 또는 국제 언론 모두로부터 극우로 자주 묘사되었지만,[278][279] 불법체류자 모두의 추방 (그리고 범죄를 저지른 합법 이민자들의 추방), 일반적인 형사 처벌 강화와 같은 포퓰리스트 우파의 특징적인 정책을 추진하며,[280] 국가의 중앙집권화와 광역자치주 폐지와 같은 전통적인 우익 보수주의자들의 주장을 결합했다. 그리고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의 사회주의 정부가 승인했지만 이후 마리아노 라호이의 국민당 행정부가 유지한 성폭력 법률을 맹렬히 비판하며, 이를 옹호하는 사람들과 기관들을 "젠더 전체주의"를 적용한다고 비난했다.[281]
VOX 당의 고위 관계자인 하비에르 오르테가 스미스는 "이슬람 침공"에 대해 언급한 집회와 관련하여 이슬람 단체의 고발을 스페인 검찰이 받아들이면서 증오언설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282] 최종 발표된 당의 선거 강령은 세금 및 사회 보장 문제에서 고전적인 극우적 정책과 우파 자유지상주의를 결합했다.
안달루시아주[283] 및 다른 지역[284]에서의 당에 대한 정치적 불확실성과 시위가 몇 달간 이어진 후, 2019년 스페인 총선에서 VOX는 하원에서 10.26%의 득표율로 24석을 얻었지만, 예상에는 미치지 못했다.[285] VOX는 행사에서 많은 군중을 모으며 치열한 선거 운동을 벌였다. 파블로 카사도와 알베르트 리베라 국민당과 시민-시민권당 지도자들은 선거 운동 기간 내내 정부를 구성하기 위해 VOX와 다시 합의할 것이라고 반복해서 인정했지만,[286] 결국 모든 의석을 합쳐도 그들의 가능성에는 훨씬 미치지 못했고, 사회민주당 페드로 산체스에게 정부를 넘겨주게 되었다.[287]
마드리드주 대통령 이사벨 디아즈 아유소는 중도 우파 국민당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VOX의 지지를 받아 집권했으며, 당이 옹호하는 많은 정책을 채택했다.[288] 그녀는 포퓰리즘적 수사를 사용하고,[289] 스페인 제국주의를 옹호하며,[290] 기후변화를 경시하고,[291] 코로나19 봉쇄에 반대했다.[292] 그녀는 여러 비평가들에 의해 도널드 트럼프와 비교되기도 했다.[293][294]
2024년 스페인 유럽 의회 선거에서 우익 포퓰리즘 정당 파티 이즈 오버 (SALF)는 80만 표 이상을 얻어 3석을 차지하며 유럽 의회에 진출했다.[295]
스웨덴
[편집]스웨덴에서 의회에 대표된 최초의 공개적인 포퓰리즘 운동인 신민주주의는 1994년 사업가 베르트 칼손과 귀족 이안 바흐트마이스터에 의해 설립되었다. 신민주주의는 경제 문제를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내세웠지만, 이민 제한과 복지 쇼비니즘도 옹호했다. 이 당은 1994년에 지지율이 급등했지만, 곧이어 감소했다.[296][297]
2010년, 스웨덴 민주당은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했다. 스웨덴 민주당은 초기에는 화이트 내셔널리즘과 연관이 있었지만, 이후 강경파 당원들을 축출하고 강령을 완화하여 보다 주류적인 운동으로 변화했다. 이 당은 보다 강력한 이민 및 망명 정책, 이민자들의 스웨덴 사회 동화를 위한 강제 조치, 그리고 더욱 엄격한 법과 질서 정책을 요구한다. 스웨덴 민주당은 현재 스웨덴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이며, 2022년 스웨덴 의회선거에서 20.5%의 득표율을 얻었고, 스웨덴 의회에서 72석으로 두 번째로 많은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215][298]
스위스
[편집]스위스에서 우익 포퓰리즘 정당인 스위스 인민당 (SVP)은 2015년 선거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당은 주로 국민보수주의자로 간주되지만,[299][300] "극우"[301] 및 "급진 우익 포퓰리스트"로 다양하게 분류되기도 하는데,[302] 이는 당원들 사이의 다양한 이념 스펙트럼을 반영한다. 이 당의 극우파에는 울리히 슐뤼어와 파스칼 주노와 같은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노는 신우익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고, 홀로코스트 부정 및 신나치주의와 연관되어 있다.[303][304]
스위스에서 급진 우익 포퓰리즘 정당들은 1971년에 득표율 10% 가까이 기록했으나, 1979년에는 2% 미만으로 감소했고, 1991년에는 다시 10% 이상으로 성장했다. 1991년 이래로 이들 정당 (스위스 민주당과 스위스 자유당)은 스위스 인민당에 흡수되었다. 1990년대 동안 스위스 인민당은 네 번째로 큰 정당에서 가장 큰 정당으로 성장했으며, 2003년에는 저명한 정치인이자 사업가인 크리스토프 블로허와 함께 스위스 연방평의회에서 두 번째 의석을 얻었다. 2015년 스위스 인민당은 29.4%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스위스 의회 역사상 단일 정당으로서는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305][306][307][308]
튀르키예
[편집]
정의개발당 (튀르키예) (AK Party)과 그 대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은 2002년부터 집권하고 있다.
승리당 (튀르키예)은 2021년 8월 26일에 위미트 외즈다으의 리더십 아래 설립된 튀르키예의 애국적이고 케말주의적 정당이다. 이 당은 위미트 외즈다으가 시작한 아이일디즈 운동의 연속이며, 2021년 8월 26일 튀르키예 내무부에 창당 청원서가 제출된 후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당 대표 외즈다으와 그의 대리인들은 정부 내에서 케말주의와 튀르키예 국민주의 이념을 재확립하고 난민들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국
[편집]
학술 작가인 브리즈, 베일, 애슈케나스, 아이쉬, 클라크 등은 당시 나이절 패라지가 이끌던 영국 독립당(UKIP)을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규정했다.[309][310][311][312] UKIP은 2016년 영국 유럽 연합 회원국 국민투표 이전에 유럽 연합 탈퇴(브렉시트)를, 그리고 호주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점수제 이민 시스템을 주장하며 캠페인을 벌였다.[313][314][315] 2019년 영국 총선에서 UKIP은 650석 중 44석에 후보를 냈으나 단 한 석도 얻지 못했고, 전체 득표율의 0.1%를 기록했다.[316] 2013년, 자유민주당과 함께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연립정부를 이끌던 보수당은 지역 당원들이 유럽 연합 및 동성 결혼 문제와 관련하여 UKIP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것을 보였다.[317]
영국에서 UKIP의 역할은 브렉시트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었으며, 나이절 패라지가 브렉시트당(Brexit Party)을 창설하는 계획을 주도했고, 이 당은 이후 영국 개혁당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 정당들은 일관되게 UKIP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318] 공통된 포퓰리즘 이념적 요소를 공유한다.[319]
보수당 내 대처주의는 민족주의와 사회 보수주의를 포함한 우익 포퓰리즘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320] 마거릿 대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영국의 우익 포퓰리즘 정치인으로 특징지어졌지만,[321][322][323] 이는 1980년대의 맥락에서의 적용 가능성 때문에 다른 학자들에 의해 논쟁의 여지가 있다.[324] 다른 학자들은 대처의 역할이 당의 이념을 더욱 포퓰리즘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데 결정적이었다고 주장한다.[325] 이 현상은 일반적으로 "대처주의 포퓰리즘"으로 불린다.[326][321][327][328] 당의 다른 저명한 우익 포퓰리스트로는 전 총리 보리스 존슨[329][330][331]과 전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장관 제이컵 리스모그가 있다.[332][333][334][335]
잉글과 스완슨 외 다수는 북아일랜드 민주연합당 (DUP)을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간주한다.[336][337]
우익 포퓰리즘 정당
[편집]현재의 우익 포퓰리즘 정당 또는 우익 포퓰리즘 파벌을 가진 정당
[편집]국회 의석 보유 정당
[편집]- 아르헨티나 – 자유의 전진[338][339][340]
- 호주 – 자유국민연립 (국민우파 등 파벌 포함),[341] 폴린 핸슨의 원 네이션,[342] 캐터의 오스트레일리아당, 파머 통합당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자유당,[343] 오스트리아 국민당 (파벌)[344]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자마트 에 이슬라미[345]
- 벨기에 – 플람스의 이익[346]
- 브라질 – 자유당 (파벌), 민주재건당
- 불가리아 – 부흥,[347] 그런 민족이 있다[348]
- 캐나다 – 캐나다 보수당[349][350][351][352][353], 캐나다 인민당
- 칠레 – 공화당[354]
- 코스타리카 – 국민재건당, 신공화당, 국민통합당[355][356][357][358]
- 크로아티아 – 조국운동[359][360]
- 키프로스 – 엘람,[361] 연대운동
- 체코 – 자유와 직접 민주주의,[362] 모터리스트 포 뎀셀브즈,[363][364] ANO 2011
- 덴마크 – 덴마크 인민당,[365][343][366] 신우파, 덴마크 민주당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보수인민당[367][365]
- 유럽 연합 – 정체성과 민주주의당, 유럽 주권 국가 연합, 유럽 보수와 개혁당 (파벌)
- 핀란드 – 핀인당[343][365]
- 프랑스 – 국민연합,[343][366] 약진하는 프랑스,[368] 재정복
- 조지아 – 인민의 힘[369]
- 독일 – 독일을 위한 대안[365][343]
- 그리스 – 그리스 해법,[370] 신민주주의당 (파벌),[371] 스파르탄, 빅토리
- 헝가리 – 피데스,[343] 우리 조국 운동[365][372]
- 아이슬란드 – 중앙당
- 인도 – 인도 인민당,[373] 시브 세나[374]
- 인도네시아 –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375] 번영정의당
- 이탈리아 – 살비니 총리 동맹,[343][376] 이탈리아의 형제들 (정당),[365] 오성운동 (파벌),[365] 전진이탈리아 (파벌)[377]
- 이스라엘 – 리쿠드,[378][379] 야미나,[380][381][382] 종교 시온주의당, 오츠마 예후디트
- 일본 – 자유민주당,[383][384] 일본유신회,[385][386] 참정당,[387] 일본보수당,[388][389]국민민주당[390][391]
- 라트비아 – 국민연합,[392][365] 라트비아 우선
- 리히텐슈타인 – 리히텐슈타인 민주당[393]
- 룩셈부르크 – 대안민주개혁당[394]
- 네덜란드 – 자유당 (네덜란드),[346] 민주주의 포럼,[260] JA21,[395] 농민시민운동,[396][397][398]
- 뉴질랜드 – 뉴질랜드 퍼스트[399]
- 노르웨이 – 진보당[400]
- 파나마 – 목표 실현
- 파라과이 – 국민윤리시민연합[401]
- 페루 – 대중혁신당[402]
- 필리핀 – 국민당 (필리핀)
- 폴란드 – 법과 정의, 자유독립연합 (신희망,[403] 국민운동), 쿠키스15, 폴란드 왕실연합
- 포르투갈 – 체가[404]
- 루마니아 – 루마니아 통일을 위한 동맹,[271] SOS 루마니아, 청년당
- 러시아 – 통합 러시아 (파벌),[405] 러시아 자유민주당,[406] 로디나[407]
- 세르비아 – 통합 세르비아,[408] 세르비아 인민당[409]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국민당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 민주당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자유전선 플러스[410]
- 스페인 – Vox[411]
- 스웨덴 – 스웨덴 민주당[343][365]
- 스위스 – 스위스 인민당,[412] 제네바 시민운동,[413][414] 티치노 동맹[415]
- 대만 – 중국국민당 (파벌),[196][197]
- 태국 – 품차이타이당, 연합태국건국당
- 튀르키예 – 정의개발당,[416] 민족주의운동당,[417][418] 신복지당, 자유원인당
- 우크라이나 – 전우크라이나 연합 "자유",[419][420]
- 영국 – 영국 개혁당, 민주연합당,[336][337] 보수당 (파벌: 블루칼라 보수주의자)
- 미국 – 공화당[421][422][423] (프리덤 코커스를 포함한 다수)[424]
- 우루과이 – 카빌도 아비에르토
국회 의석 미보유 정당
[편집]- 알바니아 – 적흑동맹,[425] 알바니아 국민전선당
- 호주 – 사수, 어부 및 농민당, 호주 보호주의당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미래 동맹,[426] 잘츠부르크 자유당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자마트 에 이슬라미[427]
- 벨기에 – 자유직접민주주의,[428][429] 우리집, 플로트
- 보츠와나 – 보츠와나 민주운동[430]
- 브라질 – 브라질 동맹, 브라질 노동혁신당
- 불가리아 – 검열 없는 불가리아,[365] 불가리아 구국 국민전선, VMRO – 불가리아 민족운동,[431] 아타카,[432] 볼랴
- 캐나다 – 캐나다 인민당[143]
- 칠레 – 국민군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권리당, 안테 스타르체비치 박사의 크로아티아 권리당, 크로아티아를 위한 독립
- 덴마크 – 진보당,[433] 하드 라인
- 핀란드 – 청백전선, 칠성운동, 파란 개혁
- 프랑스 – 알자스 우선
- 독일 – 조국,[434] 켐니츠를 위한 시민운동 프로,[435][436] 독일 사회 연합, 공화주의자
- 그리스 – 황금새벽당,[437] 민족대중의식, 국민당 - 헬레네스, 대중정교회연대,[438][439] 독립 그리스인[365][232]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 민족전선
- 인도 – 마하라슈트라 나브니르만 세나, 힌두 마하사바[440]
- 아일랜드 – 국민당, 아일랜드 자유당
- 이스라엘 – 제후트
- 이탈리아 – 트리콜로레 플레임, 디 프라이하이트리헨,[441] 남티롤 시민 연합,[442][443] 남티롤 자유[444]
- 라트비아 – 인간적인 라트비아를 위하여,[445] 플랫폼 21[446][447]
- 리히텐슈타인 – 독립당
- 리투아니아 – 국민연합, 기독교 연합, 젊은 리투아니아, 질서와 정의[365][448]
- 몰타 – 몰타애국운동
-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급진당, 진정한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목록
- 네덜란드 – 포르자! 네덜란드
- 뉴질랜드 – 뉴질랜드 신보수당, 어드밴스 뉴질랜드, 비전 NZ, 뉴질랜드 공화당
- 폴란드 – 신우파 의회,[403] 진실 정치 연합
- 포르투갈 – 국민혁신당
- 루마니아 – 유럽 국민정체성 블록 (대루마니아당, 통합 루마니아당, 신우파당), 신세대당,[449] M10, 루마니아 민족당
- 세르비아 – 세르비아 급진당,[450][451][452] 드베리,[453] 헝가리 희망 운동, 충분하다, 신세르비아, 인민 자유 운동, 레비아탄 운동, 세르비아 우파, 사랑, 믿음, 희망, 세르비아 당 맹세자, 건강한 세르비아, 드베리,[454]
- 슬로바키아 – 공화당, 우리는 가족,[455]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456][457]
- 대한민국 – 새누리당, 자유공화당, 새벽당
- 스페인 – 축제는 끝났다, 카탈루냐 연합
- 스웨덴 – 스웨덴을 위한 대안
- 스위스 – 연방민주연합, 스위스 자유당, 스위스 민주당
- 대만 – 신당
- 트란스니스트리아 – 오브노블레니에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대회
- 영국 – 브리튼 국민당,[458][459] 영국을 위한 당, 영국 독립당[460]
- 미국 – 헌법당
옛 또는 해산된 우익 포퓰리즘 정당
[편집]- 오스트리아 – 팀 슈트로나흐[426]
- 벨기에 – 국민전선, 플람스 연합, 인민당
- 캐나다 – 연합 내셔널 (퀘벡),[461] 국민연합,[462] 퀘벡 민주 행동,[463] 캐나다 개혁당,[464] 캐나다 동맹,[465] 사회신용당,[466] 브리티시컬럼비아 사회신용당[467]
- 키프로스 – 신호라이즌[468][469]
- 크로아티아 – 슬라보니아와 바라냐의 크로아티아 민주 동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파벌)[470]
- 체코 – 공공 문제,[471] 새벽 - 국민 연합[472]
- 덴마크 – 진보당[473]
- 독일 – 쾰른을 위한 시민운동 프로,[474] 독일 자유당,[475] 독일 인민연합, 독일을 위한 시민운동 프로,[476][477] 프로 NRW,[478] 독일 국가인민당
- 유럽 연합 – 자유민주 유럽을 위한 운동[441]
- 아이슬란드 – 시민당[479]
- 인도 – 인도 인민당 (승계자 인도 인민당)
- 이탈리아 – 국가동맹[480]
- 일본 – 일본유신회[481][482][483]
- 네덜란드 – 중앙민주당,[484] 핌 포르타윈 명단[346][484][485]
- 포르투갈 – 생명 존중 포르투갈 ; 체가
- 세르비아 – 세르비아 애국 동맹[486]
- 대한민국 – 민주공화당, 자유한국당, 미래를향한전진4.0
- 스페인 – 카탈루냐를 위한 플랫폼[487]
- 스웨덴 – 신민주주의[479]
- 스위스 – 농민, 상인 및 독립당, 공화주의 운동
- 시리아 – 아랍 해방 운동
- 태국 – 타이락타이당
- 영국 – 국민민주당, 재향군인 및 인민당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 ↑ 카스 무데: 권위주의는 "엄격하게 질서 잡힌 사회에 대한 믿음으로, 권위 침해는 엄중히 처벌되어야 한다. 이 해석에서 [그것은] 법과 질서, 그리고 '응징적 관습적 도덕주의'를 포함한다. 이는 반드시 반민주적 태도를 의미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를 배제하지도 않는다. 또한, 권위주의자의 (확립된) 권위에 대한 복종은 "절대적이지도, 자동적이지도, 맹목적이지도 않다". 즉, 권위주의자들은 비권위주의자들보다 (확립된) 권위를 더 기꺼이 받아들이겠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반항할 수 있고 또 그럴 것이다."
- ↑ 여기서 "최대한의" 우익 포퓰리스트들은 법치주의에 반대하여, 선거 또는 국민투표를 통한 일반 의지에 의해 표현되는 법을 우선시하는 법적 국가를 선호한다. 법치주의는 소수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민주적 국가(다수)의 권력을 제한한다.
- ↑ 신포퓰리스트들은 마르크스주의적 세계관과는 달리 "노동 계급"을 "부르주아지"와 자본가들에게 반대하지 않고, 오히려 "국민"을 "엘리트"와 이민자들에게 반대한다.
- ↑ 서먼드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출신의 분리주의자였으며, 처음에는 민주당원이었으나 1964년에 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하여 2003년 사망할 때까지 당원으로 활동했다.
각주
[편집]- ↑ Berman, Sheri (2021년 5월 11일). 《The Causes of Populism in the West》.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24. 71–88쪽. doi:10.1146/annurev-polisci-041719-102503.
- ↑ Camus, Jean-Yves; Lebourg, Nicolas (2017년 3월 20일). 《Far-Right Politics in Europe》. Harvard University Press. 12–13쪽. ISBN 978-0-674-97153-0.
- ↑ 가 나 Eatwell, Roger; Goodwin, Matthew (2018년 10월 25일). 《National Populism: The Revolt Against Liberal Democracy》 (영어). Penguin UK. 1–2쪽. ISBN 978-0-241-31201-8.
- ↑ Zembylas, Michalinos. 《Affect and the Rise of Right-Wing Populism.》.
- ↑ Akkerman, Agnes (2003) "Populism and Democracy: Challenge or Pathology?" Acta Politica n.38, pp.147–159
- ↑ Weyland, Kurt (July 2013). 《Latin America's Authoritarian Drift》. 《Journal of Democracy》 24. 18–32쪽. doi:10.1353/jod.2013.0045. S2CID 154433853.
- ↑ Norris, Pippa; Inglehart, Ronald (2018). 《Cultural backlash: Trump, Brexit, and the rise of authoritarian-populism》.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쪽. ISBN 978-1-108-42607-7.
- ↑ 가 나 Eatwell, Roger (2017년 10월 26일), Kaltwasser, Cristóbal Rovira; Taggart, Paul; Espejo, Paulina Ochoa; Ostiguy, Pierre (편집), “Populism and Fascism”, 《The Oxford Handbook of Populism》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363–383쪽, doi:10.1093/oxfordhb/9780198803560.013.14, ISBN 978-0-19-880356-0, 2025년 8월 8일에 확인함,
whilst populism and fascism differ notably ideologically, in practice the latter has borrowed aspects of populist discourse and style, and populism can degenerate into leader-oriented authoritarian and exclusionary politics.
- ↑ Bierbach, Mara (2019년 2월 26일). “Climate protection: Where do the EU's right-wing populists stand?”. 《도이체 벨레》. 2019년 6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Kallis, Aristotle (2018). 〈Part I: Ideology and Discourse – The Radical Right and Islamophobia〉. Rydgren, Jens (편집). 《The Oxford Handbook of the Radical Right》. 옥스퍼드 and New York City: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42–60쪽. doi:10.1093/oxfordhb/9780190274559.013.3. ISBN 978-0-19-027455-9. LCCN 2017025436.
- ↑ North, Bonnie. “The Rise of Right-Wing Nationalist Political Parties in Europe” (영어).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Rodrik, Dani (2021년 8월 5일). 《Why Does Globalization Fuel Populism? Economics, Culture, and the Rise of Right-Wing Populism》. 《Annual Review of Economics》 13. 133–170쪽. doi:10.1146/annurev-economics-070220-032416.
- ↑ “Fear of Diversity Made People More Likely to Vote Trump”. 《The Nation》. ISSN 0027-8378. 2017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The political lexicon of a billionaire populist”. 《워싱턴 포스트》.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The End of Reaganism”. 《폴리티코 매거진》.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Sharpe, Matthew. “The metapolitical long game of the European New Right” (영어). 《The Conversation》.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Traub, James. “The Geert Wilders Effect and the national election in the Netherlands” (미국 영어). 《Chicago Tribune》.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Buruma, Ian (2017년 3월 10일). “How the Dutch Stopped Being Decent and Dull”. 《뉴욕 타임스》. ISSN 0362-4331.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Busemeyer, Marius R.; Rathgeb, Philip; Sahm, Alexander H. J. (2021년 3월 2일). 《Authoritarian values and the welfare state: the social policy preferences of radical right voters》 (PDF). 《West European Politics》 45. 77–101쪽. doi:10.1080/01402382.2021.1886497. hdl:20.500.11820/a79cc9ce-a4c6-499a-80a3-14089958f74f. ISSN 0140-2382. S2CID 233843313.
- ↑ Busemeyer, Marius R.; Rathgeb, Philip; Sahm, Alexander H. J. (2022). 《Authoritarian values and the welfare state: the social policy preferences of radical right voters》 (PDF). 《West European Politics》 45. 77–101쪽. doi:10.1080/01402382.2021.1902115. hdl:20.500.11820/a79cc9ce-a4c6-499a-80a3-14089958f74f. S2CID 233843313.
- ↑ Enggist, Matthias; Pinggera, Michael (2022). 《Radical right parties and their welfare state stances – not so blurry after all?》. 《West European Politics》 45. 102–128쪽. doi:10.1080/01402382.2021.1902115. PMC 8489900. PMID 34621097.
- ↑ Edsall, Thomas (2014년 12월 16일). “The Rise of 'Welfare Chauvinism'”. 《뉴욕 타임스》. 2015년 1월 4일에 확인함.
- ↑ Rippon, Haydn (2012년 5월 4일). “The European far right: actually right? Or left? Or something altogether different?”. 《The Conversation》. 2015년 1월 4일에 확인함.
- ↑ Matlack, Carol (2013년 11월 20일). “The Far-Left Economics of France's Far Right”. 《블룸버그 뉴스》. 2013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4일에 확인함.
- ↑ Judis, John B. (2016년 10월 5일). 《The Populist Explosion: How the Great Recession Transformed American and European Politics》. Columbia Global Reports. ISBN 978-0-9971264-4-0.
- ↑ Cooper, Ryan (2017년 3월 15일). “The Great Recession clearly gave rise to right-wing populism”. 《더 위크》.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Sarmadi, Dario (2015년 10월 20일). “Far-right parties always gain support after financial crises, report finds”. 《EURACTIV》.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Lowe, Josh; Matthews; AM, Matt McAllester On 11/23/16 at 9:02 (2016년 11월 23일). “Why Europe's populist revolt is spreading”. 《뉴스위크》.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Campani, Giovanna; Fabelo Concepción, Sunamis; Rodriguez Soler, Angel; Sánchez Savín, Claudia (December 2022). 《The Rise of Donald Trump Right-Wing Populism in the United States: Middle American Radicalism and Anti-Immigration Discourse》 (영어). 《Societies》 12. 154쪽. doi:10.3390/soc12060154. ISSN 2075-4698.
- ↑ Kaplan & Weinberg 1998, 1–2쪽.
- ↑ “Trump's 6 populist positions”. 《폴리티코》.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Benoit, Bertrand; Luhnow, David; Monga, Vipal (2024년 12월 27일). “The Progressive Moment in Global Politics is Over”. 《월스트리트 저널》. 2024년 12월 27일에 확인함.
Weak economic growth and record immigration are driving gains by the right, especially populists.
- ↑ Zembylas, Michalinos. 《Affect and the Rise of Right-Wing Populism》.
- ↑ Mudde, Cas (2007). 《Populist Radical Right Parties in Europe》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31쪽. ISBN 978-0-511-34143-4.
- ↑ 가 나 다 Mudde, Cas; Kaltwasser, Cristóbal Rovira (2017). 《Popu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34–35쪽. ISBN 978-0-19-023487-4.
- ↑ Brown, Drew (31 October 2018) "Where Does 'Right-Wing Populism' End, and Fascism Begin?" Vice
- ↑ Federico Finchelstein, Federico (2019) From Fascism to Populism in History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5–6. ISBN 978-0-520-30935-7.
- ↑ Berggren, Erik and Neergard, Andres "Populism: Protest, democratic challenge and right wing sxtremism" in Dahlstedt, Magnus and Neergaard, Andres eds. (2015) International Migration and Ethnic Relations: Critical Perspectives/ New York: Routledge. p. 179. ISBN 978-1-317-65590-9.
- ↑ Shenkman, Rick (8 September 2019) "The Shocking Paper Predicting the End of Democracy" Politico Magazine
- ↑ Rydgren, Jens (2018). 《The Oxford Handbook of the Radical Right》 (영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56쪽. ISBN 978-0-19-027455-9.
- ↑ Rooduijn, Matthijs (2014). 《Vox populismus: a populist radical right attitude among the public?》 (영어). 《Nations and Nationalism》 20. 82쪽. doi:10.1111/nana.12054. ISSN 1469-8129.
- ↑ Kaplan & Weinberg 1998, 10–11쪽.
- ↑ “From 'Brexit' To Trump, Nationalist Movements Gain Momentum Around World”.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Norris 2005, 44쪽.
- ↑ AKGEMCİ, Esra (2022). 《Authoritarian Populism as a Response to Crisis: The Case of Brazil》. 《Uluslararası İlişkiler / International Relations》 19 (Uluslararası İlişkiler Konseyi İktisadi İşletmesi). 37–51쪽. doi:10.33458/uidergisi.1113367. ISSN 1304-7310. JSTOR 27130875. 202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One could argue that authoritarian populism can also be combined with left-wing social policy. Still, I assert that the phenomenon was born to address specific conditions in which far-right leaders appealed to the "people" with populist attitudes to promote authoritarian measures. A leftist leader can also be both authoritarian and populist, but the term authoritarian populism, which Stuart Hall coined, can be applied as a distinctive version of far-right populism.
- ↑ “Authoritarian Populism Index 2024” (PDF). 《Timbro》. 2024. 12쪽. 202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Corrales, Javier (2024년 8월 19일). 《Why Populism is the Sugar, Salt, and Fat of Our Politics. . . with Variations: A Reflectio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68 (SAGE Publications). 1804–1814쪽. doi:10.1177/00027642241268275. ISSN 0002-7642.
For comparable arguments for left-wing authoritarian populism, see Corrales (2011, 2018),. Carrión (2021), Cleary and Öztürk (2022).
- ↑ Rosenberg cites Gentile, G. (1928) The philosophic basis of fascism. 포린 어페어스, v.6, n.2 pp. 290–304
- ↑ Rosenberg, Shawn W. (2019) "Democracy Devouring Itself: The Rise of the Incompetent Citizen and the Appeal of Right Wing Populism" in Hur, Domenico Uhng and Sabucedo, José Manuel eds. (forthcoming) Psychology of Political and Everyday Extremisms
- ↑ Finchelstein, Federico (2019). 《From Fascism to populism in history: with a new preface》 Fir판. 오클랜드, 캘리포니아주: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쪽. ISBN 978-0-520-30935-7.
Populism is a form of authoritarian democracy, while Fascism is an ultraviolet dictatorship.
- ↑ Bisbee, James; Mosley, Layna; Pepinsky, Thomas B.; Rosendorff, B. Peter (2020년 7월 2일). 《Decompensating domestically: the political economy of anti-globalism》.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27. 1090–1102쪽. doi:10.1080/13501763.2019.1678662. S2CID 211341396.
- ↑ 가 나 Camus, Jean-Yves; Lebourg, Nicolas (2017년 3월 20일). 《Far-Right Politics in Europe》 (영어).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2–14쪽. ISBN 978-0-674-97153-0.
- ↑ Camus, Jean-Yves; Lebourg, Nicolas (2017년 3월 20일). 《Far-Right Politics in Europe》 (영어).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78–179쪽. ISBN 978-0-674-97153-0.
- ↑ Rydgren, Jens (2005) "Is Extreme Right-Wing Populism Contagious? Explaining the Emergence of a New Party Family"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n.44, pp.413–37
- ↑ Eslen-Ziya, Hande (2020). 《Right-wing populism in New Turkey: Leading to all new grounds for troll science in gender theory》. 《HTS Teologiese Studies》 76. doi:10.4102/hts.v76i3.6005. hdl:11250/2682420. S2CID 224856495.
- ↑ “Juan Branco, le populisme par le complotisme” (프랑스어). 《리베라시옹》. 202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Boulianne, Shelley; Koc-Michalska, Karolina; Bimber, Bruce (April 2020). 《Right-wing populism, social media and echo chambers in Western democracies》 (영어). 《New Media & Society》 22. 683–699쪽. doi:10.1177/1461444819893983. ISSN 1461-4448. S2CID 215801488.
- ↑ 가 나 다 라 Harsin, Jayson (2018년 3월 1일). 《Post-Truth Populism: The French Anti-Gender Theory Movement and Cross-Cultural Similarities》 (영어). 《Communication, Culture and Critique》 11. 35–52쪽. doi:10.1093/ccc/tcx017. ISSN 1753-9129.
- ↑ Kuhar, Roman; Paternotte, David (2017년 8월 7일). 《Anti-Gender Campaigns in Europe: Mobilizing against Equality》 (영어). Rowman & Littlefield. ISBN 978-1-78660-001-1.
- ↑ Kay, Jack; Ziegelmueller, George W.; Minch, Kevin M. (February 1998). 《From Coughlin to contemporary talk radio: Fallacies & propaganda in American populist radio》 (영어). 《Journal of Radio Studies》 5. 9–21쪽. doi:10.1080/19376529809384526. ISSN 1095-5046.
- ↑ Mammone, Andrea; Godin, Emmanuel; Jenkins, Brian (2013년 5월 7일). 《Varieties of Right-Wing Extremism in Europe》 (영어). 라우틀리지. ISBN 978-1-136-16750-8.
- ↑ Jamin, Jérôme (2009). 《L'imaginaire du complot: discours d'extrême droite en France et aux Etats-Unis》 (프랑스어). 암스테르담 대학교 출판부. ISBN 978-90-8964-048-2.
- ↑ Harsin, Jayson (2020년 12월 24일). 《The Rumour Bomb: Theorising the Convergence of New and Old Trends in Mediated US Politics》. 《Southern Review》 39. 84–110쪽.
- ↑ 가 나 다 Camus, Jean-Yves; Lebourg, Nicolas (2017년 3월 20일). 《Far-Right Politics in Europe》 (영어).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2–14, 16–17쪽. ISBN 978-0-674-97153-0.
- ↑ 스테판 프랑수아 (2009년 8월 24일). “Qu'est ce que la Révolution Conservatrice ?” (프랑스어). 《프라그망 쉬르 레 탕 프레상》. 201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Drake, D. (2005년 4월 5일). 《French Intellectuals and Politics from the Dreyfus Affair to the Occupation》 (영어). 스프링거. 32쪽. ISBN 978-0-230-00609-6.
- ↑ Betz, Hans-Georg. 《Radical Right-Wing Populism in Western Europe》.
- ↑ Camus, Jean-Yves; Lebourg, Nicolas (2017년 3월 20일). 《Far-Right Politics in Europe》 (영어).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48–49, 178–179, 198쪽. ISBN 978-0-674-97153-0.
- ↑ Wodak, Ruth. 《Right-Wing Populism in Europe: Politics and Discourse》.
- ↑ 가 나 “Populism in Europe: Hungary” (영어). 《열린사회재단》. 2024년 7월 9일에 확인함.
- ↑ Gross, Stephen G. (August 2023). 《Understanding Europe's Populist Right: The State of the Field》 (영어).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32. 489–497쪽. doi:10.1017/S0960777322000261. ISSN 0960-7773.
- ↑ Sharpe, Matthew. “The metapolitical long game of the European New Right” (영어). 《The Conversation》.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Bierbach, Mara (2019년 2월 26일). “Climate protection: Where do the EU's right-wing populists stand?”. 《도이체 벨레》. 2019년 6월 5일에 확인함.
- ↑ “The New Nationalism”. 《Online Library of Law & Liberty》. 2016년 12월 8일.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Ignazi 2002, 26쪽.
- ↑ Mudde, C. (2002). 《The Ideology of the Extreme Right》. 맨체스터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7190-6446-3.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Norris 2005, 68–69, 72쪽.
- ↑ “Nigeria • Africa Elects”. 《아프리카 일렉츠》.
- ↑ 가 나 “Nigeria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2023 by the numbers” (영어). 《알자지라》.
- ↑ Olurounbi, Eromo Egbejule, Ruth. “How Rabiu Kwankwaso became wildcard in Nigerian presidential race” (영어). 《알자지라》.
- ↑ Ezeama, Victor (2023년 2월 3일). “Nigeria election 2023: Who is Rabiu Kwankwaso of the NNPP?”. 《BBC》.
- ↑ 가 나 Campbell, John. “Right-Wing White Party Releases Election Manifesto in South Africa” (영어). 《외교협회》.
- ↑ Kazeem, Yomi (2016년 11월 9일). “Africa's populists and strongmen are some of the first to welcome a Trump presidency” (영어). 《쿼츠》.
- ↑ 가 나 Lacatus, Corina (2023년 1월 20일). 《Populism,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and Foreign Policy: The Case of Uganda's 2021 Election》 (영어). 《Global Studies Quarterly》 3. doi:10.1093/isagsq/ksac081. ISSN 2634-3797.
- ↑ “Ugandan court upholds anti-LGBTQ law but says some rights infringed”. 《로이터》. 2024년 4월 3일.
- ↑ “Uganda's President Signs Repressive Anti-LGBT Law | Human Rights Watch” (영어). 2023년 5월 30일.
- ↑ “Argentinian President Javier Milei's Stance: Anti-Abortion, Anti-Socialism and More”. 《스테이츠먼》. 2023년 11월 20일.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Buschschlüter, Vanessa (2023년 11월 19일). “Javier Milei: Argentina's far-right outsider wins presidential election”. 《BBC 뉴스》.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Phillips, Tom (2023년 11월 20일). “Who is Javier Milei? Argentina's new far-right president 'El Loco' takes the stage”. 《가디언》. ISSN 0261-3077.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Oner, Imdat (2023년 11월 22일). “Javier Milei's Victory: A New Chapter for Right-Wing Populism in Argentina?”. 《포퓰리즘 연구》.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Kahn, Carrie (2023년 11월 19일). “Javier Milei, a radical libertarian populist, elected president of Argentina”.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Argentina elects far-right populist Javier Milei 'the madman' as new president”. 《ITV 뉴스》. 2023년 11월 20일.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Far-right populist Javier Milei becomes Argentina's new president”. 《유로뉴스》. 2023년 11월 20일.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Analyst View Argentine far-right libertarian Milei sweeps to victory”. 《로이터》. 2023년 11월 20일.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Argentina election: What's next after Javier Milei's victory?”. 《알자지라》. 2023년 11월 20일.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Meredith, Sam (2023년 11월 21일). “China says it stands ready to work with Argentina despite Milei criticism”. 《CNBC》.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Feldman, Ella (2023년 10월 16일). “As inflation skyrockets, Argentina must choose: Far-right outsider or status quo for president?”. 《법정 뉴스 서비스》.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Criales, José Pablo (2023년 11월 13일). “Sergio Massa drags Javier Milei through the mud in Argentina's last presidential debate: 'Is Margaret Thatcher your role model?'”. 《엘 파이스 영어》.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Bulbul, Nuray (2023년 11월 20일). “Who is Javier Milei, Argentina's new hard-right president?”. 《야후! 파이낸스》.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Genoux, Flora (2023년 11월 8일). “Argentina: Far-right candidate Javier Milei leaves the business community skeptical”. 《르 몽드》.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Fest, Sebastián (2023년 11월 19일). “Javier Milei, el ultraliberal que promete poner patas arriba a Argentina y llevar a mínimos el vínculo con España” (스페인어). 《엘 문도》.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Chitre, Manjiri (2023년 11월 20일). “Who is Javier Milei, Argentina's new 'shock therapy' libertarian President?”. 《힌두스탄 타임스》.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Javier Milei, il leader di estrema destra che ha vinto le primarie in Argentina” (이탈리아어). 《일 포스트》. 2023년 8월 14일. 2023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La charla TEDx de Milei donde explica la 'belleza' del capitalismo” (스페인어). 《크로니스타》. 2019년 2월 12일. 2023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Punto por punto: el plan de gobierno que presentó Javier Milei” (스페인어). 《라 나시온》. 2023년 8월 4일. 2023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5일에 확인함.
- ↑ Centenera, Mar; Criales, José Pablo (2023년 8월 14일). “Ultra-conservative Javier Milei capitalizes on the protest vote and wins Argentina's primaries”. 《엘 파이스 영어》. 2023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Gillespie, Patrick; Tobías, Manuela (2023년 8월 14일). “Who is Javier Milei, the Central Bank-Hating Economist Who Upended Argentine Polls?”. 《블룸버그 리네아》. 2023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Fiore Viani, Gonzalo (2021년 9월 10일). “Milei y los libertarios: una corriente (no tan) nueva en la política argentina” (스페인어). 《아젠다 푸블리카》. 2023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20일에 확인함.
- ↑ Viriglio, Veronique (2023년 8월 16일). “Il 'Trump argentino' che sfida Kirchner” ["아르헨티나의 트럼프"가 키르치네르주의에 도전하다] (이탈리아어). AGI. 2023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EM-electomania.es [electo_mania] (2023년 8월 16일). “La propuesta de Javier Milei con los ministerios” (스페인어) (트윗). 2023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Goñi, Uki (2023년 11월 13일). “Argentina's far-right Milei angers Falklands veterans with Thatcher praise”. 《가디언》. 2023년 1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Margaret Thatcher 'a great leader', Argentine candidate declares”. 《타임스》. 2023년 11월 14일. 2023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Heath, Maximilian (2023년 11월 17일). “Argentina's Javier Milei: the radical who could blow up political status quo”. 《로이터》. 2023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Boulos, Guilherme. 《Onda Conservadora》. 2017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PRTB oficializa candidatura de Levy Fidelix à Presidência da República” (브라질 포르투갈어). 《Eleições 2014 em São Paulo》. 2014년 6월 15일. 2018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Levy se assume como candidato da direita e promete defender ditadura – Notícias – Política” (브라질 포르투갈어). 《Política》. 2018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Apuração de votos e resultado das Eleições 2014 (Fonte: TSE): Presidente e candidatos eleitos – UOL Eleições 2014” (브라질 포르투갈어). 《UOL Eleições 2014》. 2018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Levy Fidelix anuncia apoio a Aécio Neves no segundo turno” (브라질 포르투갈어). 《Eleições 2014》. 2014년 10월 15일. 2018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Soares, José Manoel Montanha da Silveira (2017). 《A onda conservadora: ensaios sobre os atuais tempos sombrios no Brasil》. 《Revista Em Pauta》 15. doi:10.12957/rep.2017.30390. ISSN 2238-3786.
- ↑ 가 나 Phillips, Don (2017년 10월 17일). “Accused of corruption, popularity near zero – why is Temer still Brazil's president?”. 가디언. 2017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Watson, Kay. “Brazil's President Temer avoids corruption trial”. BBC. 2017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Brazil's Senate president ousted over embezzlement charges”. 가디언. 2016년 12월 6일. 2017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Pepe Escobar (2018년 10월 9일). “Future of Western Democracy Being Played Out in Brazil”. 《컨소시엄 뉴스》. 2018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 “Trump Cements Alliance With Far-Right Brazilian President Bolsonaro”. 《더 글로브 포스트》. 2019년 3월 19일.
- ↑ “Lula lidera, e Bolsonaro se consolida em 2º, aponta Datafolha”. 포데르. 2017년 12월 2일.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Fonseca, Alana; Gimenes, Erick; Kaniak, Thais; Dionísio, Bibiana (2017년 7월 12일). “Lula é condenado na Lava Jato no caso do triplex” (포르투갈어). G1.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Urgente: Lula É Condenado Por Unanimidade Pelo TRF-4”. 《오 안타고니스타》. 2018년 1월 24일.
- ↑ 게빈 페르난도 (2016년 4월 29일). “Is this the world's most repulsive politician?”. 《뉴스닷컴닷오유》.
- ↑ 사이먼 로메로 (2016년 5월 7일). “Conservative's Star Rises in Brazil as Polarizing Views Tap Into Discontent”. 《뉴욕 타임스》.
- ↑ “The Most Misogynistic, Hateful Elected Official in the Democratic World: Brazil's Jair Bolsonaro – The Intercept”. 《더 인터셉트》. 2014년 12월 11일.
- ↑ “A lightning rod for attacks by Brazil's right wing”.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2018년 9월 7일에 확인함.
- ↑ Watts, Jonathan (2016년 4월 18일). “Dilma Rousseff: Brazilian congress votes to impeach president” (영국 영어). 《가디언》. ISSN 0261-3077.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Irresponsible' populism: Lisa Raitt slams Kevin O'Leary, Kellie Leitch”.
- ↑ “Could Trumpism Take Root in Canada?”. 《퍼시픽 스탠더드》. 2017년 3월 15일.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Patrick Brown returns to Queen's Park for budget speech”. 《토론토 스타》. 2018년 3월 28일.
- ↑ “Anti-elitist politicians in Canada are courting immigrants”. 《디 이코노미스트》. 2018년 4월 19일.
- ↑ “How Ford Nation and buck-a-beer populism carried Doug Ford to victory”. 《CBC 뉴스》. 2018년 6월 8일.
- ↑ “Doug Ford says his support of Donald Trump is unwavering”. 《시티뉴스》. 2016년 10월 11일.
- ↑ “Doug Ford criticizes Democrats, praises Trump during Washington visit”. 《더 글로브 앤드 메일》. 2020년 2월 7일.
- ↑ “Before tariffs, Ford says he was '100% happy' Trump won U.S. Election in hot mic comments | Globalnews.ca”.
- ↑ 《Maxime Bernier says his new party offers 'smart populism'》. 《유튜브》. 캐나디안 프레스. 2018년 10월 11일. 1:56에 발생.
- ↑ 플랫, 브라이언 (2021년 9월 11일). “Why the Conservatives aren't worried — at least not yet — about vote-splitting with Maxime Bernier's PPC”. 《내셔널 포스트》.
- ↑ 가 나 “Maxime Bernier Launches 'The People's Party of Canada'”. 《콤플렉스》. 2018년 9월 14일.
- ↑ Blatchford, Andy (2022년 5월 25일). “Conservative frontrunner deploys populist strike on Ottawa's elites”. 《폴리티코》. 2022년 8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Canadian Conservatives elect "right-wing populist" Pierre Poilievre to lead fight against Justin Trudeau”. CBS 뉴스. 2022년 9월 12일. 2022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Opinion: There are several good reasons Pierre Poilievre will never be prime minister — and one reason he just might”. 《토론토 스타》. 2022년 6월 19일.
- ↑ “NP View: The unstoppable Pierre Poilievre”. 《내셔널 포스트》. 2022년 8월 5일.
Trying to demonize Poilievre as a "populist" or as Canada's Trump, or implying that he is a white supremacist or opposed to women's rights is unlikely to succeed. He is pro-choice, pro-immigration and has forcefully denounced white replacement theory and all of "that kind of thinking."
- ↑ Forrest, Maura (2022년 9월 12일). “The quick take on Canada's new Conservative leader”. 《폴리티코》.
He has been compared to former President Donald Trump for his populist overtures, but in terms of substance, he has largely confined himself to pocketbook issues. He is pro-immigration — his wife is a Venezuelan immigrant — and now calls himself pro-choice.
- ↑ “Is there room for centrists in the current Conservative Party?: Tasha Kheiriddin on the right path forward for Conservatives in Canada”. 《더 허브》. 2022년 8월 9일.
And second, what parts of his program—which, to be fair to him, he is pro-immigration, pro-same-sex marriage, and pro-choice—do you take exception to?
- ↑ McConkey, David (2022년 10월 23일). “Pierre Poilievre, populist politician?”. 《브랜든 선》.
In several ways, Poilievre does not fit the mould of a new populist. For one, Poilievre is not new. He was a cabinet minister in the Stephen Harper government and he has been a member of Parliament for almost 20 years. For another, he is not your stereotypical reactionary. He is at ease with the non-traditional family, he is pro-choice, he is pro-immigration.
- ↑ Campbell, Clark (2022년 9월 16일). “The making of Pierre Poilievre, conservative proselytizer”. 《더 글로브 앤드 메일》.
But he is no Donald Trump in tenets or temperament. He doesn't echo the anti-immigrant rhetoric, and abhors Mr. Trump's gargantuan deficits. He is so calculated that he could never be the erratic bundle of impulses that rambles at a Trump rally.
- ↑ “Canada's Conservatives pick a brainy brawler as leader”. 《디 이코노미스트》. 2022년 9월 15일.
His rhetorical style evokes populists such as Donald Trump. But his enemies list is more circumscribed. Unlike Mr Trump, he favours immigration.
- ↑ Moore, Samuel (2022년 11월 4일). “Pierre Poilievre: Canada's next Prime Minister?”. 《체르웰》.
Moreover, in a way that distinguishes him from Trump and other right-wing populists, Poilievre's social policies are progressive. He is pro-choice and pro-LGBT rights and has actually criticised the Trudeau ministry for not being pro-immigration enough, belittling the inefficiencies of the current immigration system as yet another example of big government "gatekeeping".
- ↑ Oliver, Joe (2022년 9월 7일). “Liberals risk drowning in the Poilievre wave”. 《파이낸셜 포스트》.
The "Trump North" label has failed to stick because he has been consistently pro-choice, supports gay marriage and favours immigration.
- ↑ 가 나 Beauchamp, Zack (2024년 4월 26일). “Canada's polite Trumpism”. 《Vox》. 복스 미디어.
- ↑ Espinoza-Bianchini, Lisa Zanotti, Gonzalo (2023년 7월 25일). “🔮 The rise of the populist radical right in Chile” (영국 영어). 《더 루프》. 202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The Radical Libertarian Reshaping Chile's Presidential Race” (미국 영어). 《아메리카스 쿼터리》. 2025년 8월 6일에 확인함.
- ↑ Editorial Board (2018). “Costa Rica shows an admirable resistance to demagoguery”. 워싱턴 포스트.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Henley, Jon (2018년 4월 2일). “Costa Rica: Carlos Alvarado wins presidency in vote fought on gay rights”. 가디언.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Costa Rica's Election: It Wasn't the Economy, Stupid!”. Q. 2018년 2월 19일.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Arco, Eduardo (2018년 2월 9일). “Costa Rica's Rollercoaster Election Was About More Than Gay Marriage”. WPR.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마르시아 팰리 (2022년 10월 7일). “White Evangelicals and Right-wing Populism”.
- ↑ 가 나 다 라 마 바 론 엘빙 (2023년 5월 20일). “Ghost of William Jennings Bryan haunts Trump's next run for the White House”.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
- ↑ 가 나 스타크, 스티븐 (February 1996). “Right-Wing Populist”. 《디 애틀랜틱》.
- ↑ 데이비드 프렌치 (2023년 11월 19일). “An Old Hate Cracks Open on the New Right”. 《뉴욕 타임스》.
- ↑ Campani, Giovanna; Fabelo Concepción, Sunamis; Rodriguez Soler, Angel; Sánchez Savín, Claudia (December 2022). 《The Rise of Donald Trump Right-Wing Populism in the United States: Middle American Radicalism and Anti-Immigration Discourse》 (영어). 《Societies》 12. 154쪽. doi:10.3390/soc12060154. ISSN 2075-4698.
- ↑ Leonard J. Moore. "Good Old-Fashioned New Social History and the Twentieth-Century American Right", Reviews in American History, Vol. 24#4 (1996), pp. 555–73, quote at p. 561.
- ↑ 피에라눈치, 캐럴 (2004년 1월 23일). “Thomas E. Watson”. 《뉴 조지아 백과사전》. 2019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Longfield, Bradley J. (1993). 《The Presbyterian Controversy》.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19-508674-4. 2018년 8월 17일에 확인함.
- ↑ Scott Rasmussen and Doug Schoen, Mad As Hell: How the Tea Party Movement Is Fundamentally Remaking Our Two-Party System (2010) quotes on p. 19
- ↑ David Barstow, "Tea Party Lights Fuse for Rebellion on Right," New York Times Feb 6, 2010
- ↑ “What On Earth Is Ted Cruz Doing?”. 《배너티 페어》. 2016년 9월 23일.
- ↑ “Playing with fear”. 《디 이코노미스트》. 2015년 12월 12일.
- ↑ 말체프, 유리 (2013). 《The Tea Party Explained: From Crisis to Crusade》. 오픈 코트. 26쪽.
- ↑ “In The Freedom Caucus, Trump Meets His Match”. 《디 애틀랜틱》. 2017년 4월 7일.
- ↑ 매튜 N. 라이온스, 칩 베를레트. 《Right-Wing Populism in America: Too Close for Comfort》.
- ↑ Dolgert 2016; Greven 2016.
- ↑ Neiwert, David (2016). “Trump and Right-Wing Populism: A Long Time Coming” (PDF). 《더 퍼블릭 아이》. 86호 (서머빌, 매사추세츠주: 정치 연구 협회). 3, 19쪽. ISSN 0275-9322. 2016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9일에 확인함.
- ↑ “The future of Bannonism”. 《디 이코노미스트》. 2017년 8월 25일.
- ↑ Campani; Concepción; Soler; Savín (2022년 11월 2일). 《The Rise of Donald Trump Right-Wing Populism in the United States: Middle American Radicalism and Anti-Immigration Discourse》. 《Societies》 12. 154쪽. doi:10.3390/soc12060154.
- ↑ “Trump, Bolsonaro, Meloni and the New Wave of Populism”. 《워싱턴 포스트》. 2022년 11월 30일. 2023년 6월 5일에 확인함.
- ↑ Tout, Dan (2024년 3월 14일). 《'Australia' as competing projects of settler nationalism》 (영어). 《Settler Colonial Studies》 15. 563–582쪽. doi:10.1080/2201473X.2024.2408142.
- ↑ “The rise of populist politics in Australia”. 《BBC》. 2017년 3월 1일.
- ↑ “Pauline Hanson's One Nation emerges as government's most reliable Senate voting partner”. 《시드니 모닝 헤럴드》. 2017년 3월 4일.
- ↑ Alexander, Damon (2013년 8월 28일). 〈The mice that may yet roar: who are the minor right-wing parties?〉. Courts, Michael (편집). 《더 컨버세이션》. doi:10.64628/AA.kxgqef4kh.
- ↑ “Bernardi's alliance intends to bloc Xenophon”. 《디 오스트레일리아》. 2017년 4월 27일.
- ↑ “The Libs are all right”. May 2023.
- ↑ Zhang, Chenchen (March 2020). 《Right-wing popu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dentity, otherness and global imaginaries in debating world politics online》. 《유럽 국제관계 저널》 26. 97–100쪽. doi:10.1177/1354066119850253. S2CID 181854953. 2023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McCurry, Justin (2021년 11월 1일). “Japan election: rightwing populists sweep vote in Osaka” (영국 영어). 《가디언》. ISSN 0261-3077. 2024년 7월 5일에 확인함.
- ↑ 패트릭 헤르만손; 데이비드 로렌스; 조 멀홀 편집 (2020). 《The International Alt-Right: Fascism for the 21st Century?》. 라우틀리지.
- ↑ 가 나 Cowen, Tyler (2017년 2월 13일). “Feisty, Protectionist Populism? New Zealand Tried That”. 블룸버그 L.P. 2017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NZ and Australia: Standing together, and apart” (영어). 《뉴질랜드 헤럴드》. 2024년 3월 31일. 2024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Populism visits Pakistan – Daily Times” (미국 영어). 《데일리 타임스》. 2018년 8월 17일. 2018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The limits of populism” (영어). 2018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마잉주 전 대만 총통 "차이잉원 친미노선 전쟁 위험 야기" (Former Taiwan President Ma Ying-jeou said, "Tsai Ing-wen's pro-American line poses a war risk.")”. 《연합뉴스》. 2020년 8월 22일. 2021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Can Taiwan's President fend off a populist wave?”. 《더 인터프리터》. 2019년 7월 29일. 2021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Taiwan's 2020 Presidential Elections”. 《더 디플로맷》. 2019년 12월 12일. 2021년 2월 12일에 확인함.
These supporters, called "Han maniacs," elevated Han to presidential nominee. Ultimately, though, they were a minority, possibly some twenty percent of the overall electorate, and Han's political position, friendly to Beijing and inclined to right-wing populism, started to erode his support.
- ↑ “"중국과 평화냐 전쟁이냐 묻겠다"…'대만판 트럼프' 신드롬” ["Is it peace or war with China?" ... 'Taiwanese version of Trump' syndrome.]. 《중앙일보》. 2019년 7월 9일. 2021년 11월 9일에 확인함.
- ↑ Hockenos, Paul (2019년 5월 9일). “Is There a Secret Recipe for Preventing Far-Right Populism?”. 《포린 폴리시》. 2024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Chiappa, Claudia (2024년 3월 12일). “Chega: 5 things to know about Portugal's surging far-right party”. 《폴리티코》. 2024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de Jonge, Léonie (2021). 《The Curious Case of Belgium: Why is There no Right-Wing Populism in Wallonia?》 (PDF). 《정부와 야당》 56. 598–614쪽. doi:10.1017/gov.2020.8. ISSN 0017-257X.
- ↑ Kasteel, Jean van (2024년 6월 11일). “The Walloons do not send any far-right elected officials either to the Region, nor to the Federal, nor to Europe” (프랑스어). 《디 에이치넷》. 2024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EU leaders to hold talks on Russian political meddling”. 《파이낸셜 타임스》. 2017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Czech Republic accuses Putin of backing EU's rightwing”. 《파이낸셜 타임스》. 2017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Adler, David; Ansell, Ben (2019). 《Housing and populism》. 《West European Politics》 43. 344–365쪽. doi:10.1080/01402382.2019.1615322.
- ↑ “Elections 2004 – Flemish Council – List Results”. 벨기에 2004년 선거.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Court rules Vlaams Blok is racist”. 《BBC 뉴스》. 2004년 11월 9일.
- ↑ 플람스의 이익 (2005년 1월 7일). “Programmaboek 2004” (PDF).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립쉬츠, 크난 (2008년 12월 12일). “Advertisement”. 《하아레츠》 (하아레츠).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스미스, 크레이그 S. (2005년 2월 12일). “Fear of Islamists Drives Growth of Far Right in Belgium”. 《뉴욕 타임스》 (안트베르펜). 2010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플람스 의회”. 플람스 의회. 2015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De Belgische Kamer van volksvertegenwoordigers”. 《벨기에 하원》. 2013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0일에 확인함.
- ↑ “ZEIT ONLINE | Lesen Sie zeit.de mit Werbung oder imPUR-Abo. Sie haben die Wahl.” (독일어). 《디 차이트》. 2020년 7월 15일에 확인함.
- ↑ “플람스 의회 2019”. 2019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Jens Rydgren. "Explaining the Emergence of Radical Right-Wing Populist Parties", The Case of Denmark West European Politics, Vol. 27, No. 3, May 2004, pp. 474–502.
- ↑ 기븐스, 테리 E. (2005). 《Voting radical right in Western Europe》. 케임브리지 대학교. 136–39쪽. ISBN 978-0-521-85134-3.
- ↑ “Head of Danish Populist Party to Resign”. AP (통신사). 2012년 8월 8일. 2012년 8월 8일에 확인함.
- ↑ 에디, 멜리사 (2015년 6월 18일). “Anti-Immigrant Party Gains in Denmark Elections”. 《뉴욕 타임스》. ISSN 0362-4331.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Resultater – Hele landet – Folketingsvalg tirsdag 1. november 2022 – Danmarks Statistik”. 《덴마크 통계청》. 2022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Her er Danmarks nye borgerlige parti: Vil udfordre DF og LA” (덴마크어). TV 2 뉴스. 2015년 10월 20일. 2016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Kosiara-Pedersen, Karina (2023년 5월 11일). “Danmarksdemokraterne – Politisk parti stiftet 2022 – lex.dk” (덴마크어). 《덴 스토레 단스케》. 2023년 8월 1일에 확인함.
- ↑ “Prime Minister Orpo's Government appointed”. 《핀란드 국무원》. 2023년 6월 20일에 확인함.
- ↑ “Finland's conservative party picks ministers for right-wing coalition government – The Seattle Times”. 《시애틀 타임스》. 2023년 6월 18일. 2023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Petteri Orpo to be Finland's new prime minister” (영어). 《폴리티코》. 2023년 6월 18일. 2023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Kumar, Natasha (2023년 6월 18일). “Here are the ministers of basic Finns – Speaker from Halla-ahota” (미국 영어). 《더 타임스 허브》. 2023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르네 레몽 편집 (2016). 《The Right Wing in France: From 1815 to de Gaulle》.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출판부.
- ↑ 제프리 K. 로버츠; 빌 존스; 파트리샤 호그우드 편집 (2003). 《The Politics Today Companion to West European Politics》. 맨체스터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7190-5421-1.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the French Gaullist Party adopted a populist approach, appealing to the nation to support the personal leadership of General de Gaulle.
- ↑ 노시터, 애덤 (2018년 3월 10일). “'Let Them Call You Racists': Bannon's Pep Talk to National Front” (미국 영어). 《뉴욕 타임스》. ISSN 0362-4331. 2018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Salafists and Right-Wing Populists Battle in Bonn”. 슈피겔. 2012년 7월 5일.
- ↑ “AfD's success: A turning point for Germany's far right – DW – 07/27/2023” (영어). 《도이체 벨레》. 2024년 7월 9일에 확인함.
- ↑ “Far-right surge triggers alarm in Germany” (영국 영어). 《폴리티코》. 2023년 6월 7일. 2024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보이카 M. 스테파노바 (2014년 11월 14일). 《The European Union beyond the Crisis: Evolving Governance, Contested Policies, and Disenchanted Publics》. 렉싱턴 북스. 261쪽. ISBN 978-1-4985-0348-8.
- ↑ 크리스티안 카너; 브람 메르텐스 (2013년 9월 30일). 《The Use and Abuse of Memory: Interpreting World War II in Contemporary European Politics》. 트랜잭션 퍼블리셔스. 168쪽. ISBN 978-1-4128-5203-6.
- ↑ “Greece anti-bailout leader Tsipras made prime minister”. 《BBC 뉴스》. 2015년 1월 26일.
- ↑ “Greek far-right leader vows to 'take back' İstanbul, İzmir”. 《투데이즈 자만》. 투데이즈 자만. 2013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스콰이어스, 닉 (2013년 5월 2일). “Golden Dawn's 'Greeks only' soup kitchen ends in chaos”. 《데일리 텔레그래프》 (런던). 2022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Laos.gr” (PDF). 2011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Tribunes and Patricians: Radical Fringe Parties in the 21st Century” (PDF). 칼턴 대학교. 2013년 1월 16일.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Berlusconi: "Nel 2006 sconfitti per i brogli". Pisanu: "Bugiardo incallito e alterato"”. 2013년 2월 18일.
- ↑ “Berlusconi: "I giudici sono un cancro" E la Confesercenti fischia il premier”.
- ↑ 량, 크리스티나 (2016), 《Europe for the Europeans: The Foreign and Security Policy of the Populist Radical Right》, 라우틀리지, 187쪽
- ↑ 페퍼, 존 (2016년 11월 23일). “What Europe Can Teach Us about Trump”. 《포린 폴리시 인 포커스》.
- ↑ “Continent of Fear: The Rise of Europe's Right-Wing Populists”. 《슈피겔 온라인》 (슈피겔). 2010년 9월 28일.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Così la Lega conquista nuovi elettori (non solo al nord)”. 《일 폴리오》. 일 폴리오. 201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Lega Nord: Maroni ne' destra ne' sinistra, alleanze dopo congresso”. 아스카. 201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INTERVISTA Matteo Salvini (Lega): "Renzi? Peggio di Monti, vergognoso con la Merkel”. 테르모메트로 폴리티코. 2014년 3월 20일.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북부동맹”. 북부동맹. 2019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Tambini, Damian (2012년 12월 6일). 《Nationalism in Italian Politics: The Stories of the Northern League, 1980–2000》. 라우틀리지. ISBN 978-1-134-54001-3.
- ↑ 가 나 Russo Bullaro, Grace (2010). 《From Terrone to Extracomunitario: New Manifestations of Racism in Contemporary Italian Cinema: Shifting Demographics and Changing Images in a Multi-cultural Globalized Society》. 트루바도르 퍼블리싱. 179–81쪽. ISBN 978-1-84876-176-6.
- ↑ Willey, David (2012년 4월 14일). “The rise and fall of Northern League founder Umberto Bossi”. BBC 뉴스. 201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Pullella, Philip (2011년 3월 8일). “Italy unity anniversary divides more than unites”. 《로이터》. 201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Garau, Eva (2014년 12월 17일). 《Politics of National Identity in Italy: Immigration and 'Italianità'》. 라우틀리지. 110–11쪽. ISBN 978-1-317-55766-1. 201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Italy's Northern League Is Suddenly In Love With the South”. 《블룸버그 뉴스》. 2018년 2월 20일. 2018년 3월 2일에 확인함.
- ↑ “Rivoluzione nella Lega: cambiano nome e simbolo”. 2017년 7월 24일. 2018년 3월 2일에 확인함.
- ↑ “Lega, nuovo simbolo senza "nord". Salvini: "Sarà valido per tutta Italia"”. 2017년 10월 27일. 2018년 3월 2일에 확인함.
- ↑ Braithwaite, Sharon; DiDonato, Valentina; Fox, Kara; Mortensen, Antonia; Nadeau, Barbie Latza; Ruotolo, Nicola (2022년 9월 26일). “Giorgia Meloni claims victory to become Italy's most far-right prime minister since Mussolini”. CNN. 2022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Italy election: Meloni says center-right bloc has 'clear' mandate”. 도이체 벨레. 2022년 9월 26일. 2022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In pictures: Death of Pim Fortuyn”. 《BBC 뉴스》. 2002년 5월 7일.
- ↑ “Far-right outcast Geert Wilders vows to 'de-Islamise' the Netherlands after taking lead in Dutch polls” (영국 영어). 《인디펜던트》. 2017년 2월 12일.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The Dutch defeat 'the wrong kind of populism'”. 《하인리히 뵐 재단》. 2017년 3월 22일.
- ↑ 파베르, 세바스티안 (2018년 4월 5일). “Is Dutch Bad Boy Thierry Baudet the New Face of the European Alt-Right?”. 《더 네이션》. 2018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일에 확인함.
- ↑ “Column (Maarten van Nieuw Amerongen): Het populisme van van der Plas en Boswijk”. 2023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 코더, 마이크 (2023년 3월 16일). “Populist Farmer Citizen Movement wins big in Dutch election”. AP (통신사). 2023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Camut, Nicolas (2023년 3월 16일). “Dutch pro-farmers party wins big in provincial elections”. 《폴리티코》. 2023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Can Europe's new xenophobes reshape the continent?”. 《가디언》. 2018년 2월 3일.
- ↑ “In Poland, a right-wing, populist, anti-immigrant government sees an ally in Trump”.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2017년 7월 5일. 201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Korwin-Mikke: Feudalizmie wróć! | Najwyższy Czas!”. 나이비쉬 차스!. 2012년 1월 7일.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Program KNP”. 신우파 의회. 2015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Korwin-Mikke – guru nonsensu Gazeta wSieci”. 위셰치.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Wirus korwinizmu – Krzysztof Derebecki – Mój lewicowy punkt widzenia”. 레비차.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Romanian opposition takes narrow lead after election”. 《BBC 뉴스》. 2020년 12월 7일. 2020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맥그래스, 스티븐 (2020년 12월 8일). “How a far-right party came from nowhere to shock in Romania's election”. 《유로뉴스》.
- ↑ “Șoc pe piața politică: Miron Mitrea spune că partidul lui Șoșoacă are 5-6 la sută”. 《스티리페 수르세》. 2023년 7월 17일.
- ↑ McGrath, Stephen (2024년 12월 2일). “Romania's leftists set to top polls in parliamentary election, but far-right populists see big gains”. 《AP (통신사)》. 2025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Nu pot exista alegeri libere atâta timp cât o parte semnificativă a societății este exclusă de la a putea fi reprezentată.” (루마니아어). 《더 라이트 얼터너티브》. 2025년 3월 11일.
- ↑ 갈베스, 호세 마리아 히메네스 (2018년 12월 3일). “Vox: the far-right party that made shock gains in the regional polls” (영어). 《엘 파이스》. ISSN 1134-6582.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마르코스, 호세; 사이즈, 에바; 블라스, 엘사 가르시아 데; 훙케라, 나탈리아 (2018년 12월 3일). “Spain's center-right mulls deal with Vox to gain control of Andalusia” (영어). 《엘 파이스》. ISSN 1134-6582.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루카이데스, 소하일 잔네사리, 대런 (2019년 4월 27일). “Spain's Vox Party Hates Muslims—Except the Ones Who Fund It” (영어). 《포린 폴리시》.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파르도, 파블로 (2019년 4월 27일). “Make Spain Great Again” (영어). 《포린 폴리시》.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Programa electoral” (스페인어). 《VOX》.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로드리게스, 호르헤 A. (2018년 12월 3일). “Far-right Spanish political party Vox: What are its policies?” (영어). 《엘 파이스》. ISSN 1134-6582. 2019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곤살레스, 미겔 (2019년 4월 4일). “Vox party official under scrutiny for alleged hate speech against Muslims” (영어). 《엘 파이스》. ISSN 1134-6582. 2019년 5월 3일에 확인함.
- ↑ 루시오, 루르데스; 사이즈, 에바; 파이스, 엘 (2019년 1월 15일). “Protests outside Andalusian parliament as investiture debate begins” (영어). 《엘 파이스》. ISSN 1134-6582.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발데스, 이사벨; 모라, 안토니오 J. (2019년 1월 16일). “Thousands of women march across Spain against far-right party Vox” (영어). 《엘 파이스》. ISSN 1134-6582.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곤살레스, 미겔 (2019년 4월 29일). “Vox enters Congress for the first time but falls short of expectations” (영어). 《엘 파이스》. ISSN 1134-6582. 2019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존스, 샘 (2019년 4월 23일). “Spain's general election 2019: all you need to know” (영국 영어). 《가디언》. ISSN 0261-3077.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The future has won,' says Spain's Socialist party leader after election victory – video report” (영국 영어). 《가디언》. 로이터. 2019년 4월 29일. ISSN 0261-3077.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윌킨슨, 이사벨 (2023년 7월 7일). “Isabel Díaz Ayuso, the charismatic populist tipped as a future national leader” (영어). 《타임스》. ISSN 0140-0460. 2023년 7월 7일에 확인함.
- ↑ “Madrid's loose-cannon populist is an asset and a worry for Spain's conservatives” (영어). 《폴리티코》. 2023년 5월 27일. 2023년 7월 7일에 확인함.
- ↑ 리베라, 캐롤라이나 (2019년 3월 25일). “España rechaza con "toda firmeza" carta de AMLO sobre disculpa por la Conquista” (스페인어). 《밀레니오》. 2021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 “Barcelona students to take mandatory climate crisis module from 2024” (영어). 《가디언》. 2022년 11월 12일. 2023년 1월 17일에 확인함.
- ↑ 에르난데스-모랄레스, 아이토르 (2022년 6월 13일). “Spain's pop polarizer: The unlikely rise of Isabel Díaz Ayuso”. 《폴리티코》. 2023년 6월 9일에 확인함.
- ↑ 마드리드, 이사벨 윌킨슨 (2023년 7월 7일). “Isabel Díaz Ayuso: patron saint or Spanish Trumpista?” (영어). 《타임스》. ISSN 0140-0460. 2023년 7월 7일에 확인함.
- ↑ 바우티스타, 호세 (2023년 5월 25일). “Meet The Woman Spain Can't Stop Listening To”. 《슈피겔》. 2023년 6월 9일에 확인함.
- ↑ 마드리드, 데이비드 샤록 (2024년 6월 24일). “Influencer's movement The Party's Over wins 800,000 EU votes” (영어). 《타임스》. 2024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Rydgren, 2006, pp. 33–34.
- ↑ Rydgren, 2006, p. 54.
- ↑ 제이크 월리스 사이먼스 (2014년 5월 14일). “EU elections 2014: 'I can hear the boots of the 1930s marching through Europe'”. 《데일리 텔레그래프》. 2022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Skenderovic 2009, p. 124: "... and prefers to use terms such as national-conservative or conservative-right in defining the SVP. In particular, national-conservative has gained prominence among the definitions used in Swiss research on the SVP".
- ↑ Geden 2006, 95쪽.
- ↑ Ignazi 2006, 234쪽.
- ↑ H-G Betz, 'Xenophobia, Identity Politics and Exclusionary Populism in Western Europe', L. Panitch & C. Leys (eds.), Socialist Register 2003 – Fighting Identities: Race, Religion and Ethno-nationalism, London: Merlin Press, 2002, p. 198
- ↑ “Antisemitism And Racism in Switzerland 2000-1”. 2002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Antisemitism and Racism in Switzerland 1999–2000”. 《텔아비브 대학교》. 2007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Anti-immigration party wins Swiss election in 'slide to the Right'”. 《데일리 텔레그래프》. 로이터. 2015년 10월 19일. 2022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Anti-immigration SVP wins Swiss election in big swing to right”. 《BBC 뉴스》. 2015년 10월 19일. 201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라슨, 니나 (2015년 10월 19일). “Swiss parliament shifts to right in vote dominated by migrant fears”. 야후!. AFP. 201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Amid rising fears over refugees, far-right party gains ground in Swiss election”. 도이체 벨레. 2015년 10월 19일. 2015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Breeze, Ruth (2019년 1월 2일). 《Positioning "the people" and Its Enemies: Populism and Nationalism in AfD and UKIP》 (영어). 《Javnost – the Public》 26. 89–104쪽. doi:10.1080/13183222.2018.1531339. ISSN 1318-3222. S2CID 150034518.
- ↑ Bale, Tim (2018). 《Who leads and who follow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UKIP and the Conservatives – and populism and Euroscepticism》 (영어). 《Politics》 38. 263–277쪽. doi:10.1177/0263395718754718. ISSN 0263-3957.
- ↑ Ashkenas, Jeremy; Aisch, Gregor (2016년 12월 5일). “European Populism in the Age of Donald Trump”.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Clarke, Harold; Whiteley, Paul; Borges, Walter; Sanders, David; Stewart, Marianne (2016년 4월 2일). 《Modelling the dynamics of support for a right-wing populist party: the case of UKIP》 (영어). 《Journal of Elections, Public Opinion and Parties》 26. 135–154쪽. doi:10.1080/17457289.2016.1146286. ISSN 1745-7289. S2CID 67831605.
- ↑ Goodwin & Milazzo 2015, 172, 231쪽; Heywood 2015, 139쪽.
- ↑ “Who wants to leave the European Union?” (영국 영어). 《The Telegraph》. 2022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Poll says Labour still on course for 2015 victory – but UKIP is now Britain's 'favourite' political party”. mirror.co.uk. 2014년 1월 18일.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 ↑ “Election Result Conservatives win historic majority”. 《The Telegraph》. 2019. 2023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Ross, Tim (2013년 5월 19일). “Tories begin defecting to Ukip over 'loons' slur”. 《The Daily Telegraph》 (London). 2022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McManus, Ian (2021), Falkenbach, Michelle; Greer, Scott L. (편집), “The Case of the United Kingdom Independence Party (UKIP)” (영어), 《The Populist Radical Right and Health》 (Cham: Springer International), 139–155쪽, doi:10.1007/978-3-030-70709-5_8, ISBN 978-3-030-70708-8, S2CID 239723344, 2023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Quinn, Ben (2022년 12월 25일). “Senior Tories risk losing seats if Nigel Farage returns to politics, experts say” (영국 영어). 《가디언》. ISSN 0261-3077. 2023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Mamonova, Natalia; Franquesa, Jaume. 《Populism, Neoliberalism and Agrarian Movements in Europe. Understanding Rural Support for Right-Wing Politics and Looking for Progressive Solutions》. 《Sociologia Ruralis》 60. 710–731쪽. doi:10.1111/soru.12291. ISSN 0038-0199. S2CID 213444041.
- ↑ 가 나 Gifford, Chris (2006). 《The rise of post-imperial populism: The case of right-wing Euroscepticism in Britain》 (영어).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45. 851–869쪽. doi:10.1111/j.1475-6765.2006.00638.x. ISSN 0304-4130.
- ↑ Kenny, Sue; Ife, Jim; Westoby, Peter 편집 (2014). 《Populism, Democracy and Community Development》. Policy Press. ISBN 978-1-4473-5387-4.
The most recognised right-wing UK populist politician of recent time was Margaret Thatcher, who became leader of the Conservative Party in 1975, and in 1979 the first British woman prime minister.
- ↑ Tournier-Sol, Karine (2021년 1월 5일). 〈From UKIP to Brexit: The Right-Wing Populist Surge in the UK〉. 《The Faces of Contemporary Populism in Western Europe and the US》.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22쪽. doi:10.1007/978-3-030-53889-7_1. ISBN 978-3-030-53889-7. S2CID 234301640 – Springer Link 경유.
Thatcher's "right-wing populism" was thus instrumental in marginalizing the extreme right.
- ↑ Fry, Geoffrey K. (1998). 《Parliament and 'morality': Thatcher, Powell and Populism》 (영어). 《Contemporary British History》 12. 139–147쪽. doi:10.1080/13619469808581473. ISSN 1361-9462.
- ↑ Fontana, Cary; Parsons, Craig (2015). 《'One Woman's Prejudice': Did Margaret Thatcher Cause Britain's Anti-Europeanism?: 'One woman's prejudice'》 (영어). 《JCMS: Journal of Common Market Studies》 53. 89–105쪽. doi:10.1111/jcms.12205. S2CID 142854825.
- ↑ Featherstone, David; Karaliotas, Lazaros (2019년 8월 1일). 《Populism》 (영어). 《Soundings》 72. 31–47쪽. doi:10.3898/SOUN.72.02.2019. ISSN 1362-6620. S2CID 241858940.
- ↑ Mouffe, Chantal (2018). 《좌익 포퓰리즘을 위하여》 1판 (영어). London: Verso. 30쪽. ISBN 978-3-518-12729-2.
- ↑ Wood, Brennon (1998). 《Stuart Hall's Cultural Studies and the Problem of Hegemony》.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49. 399–414쪽. doi:10.2307/591390. ISSN 0007-1315. JSTOR 591390.
- ↑ Taraktaş, Başak; Esen, Berk; Uskudarli, Suzan (2022년 8월 18일). 《Tweeting through a Public Health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of Right-Wing Populist Lead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Government and Opposition》 59. 207–228쪽. doi:10.1017/gov.2022.34. ISSN 0017-257X. S2CID 251674349.
- ↑ Levitz, Eric (2016년 6월 30일). “Boris Johnson Brexit But Won't Buy it”. 《뉴욕》.
- ↑ Lacatus, Corina; Meibauer, Gustav (2022년 5월 27일). 《'Saying it like it is': Right-wing populism,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performance of authenticity》. 《The British Journal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24. 437–457쪽. doi:10.1177/13691481221089137. hdl:2066/250225. ISSN 1369-1481. S2CID 249137812.
- ↑ Worth, Owen (2023년 7월 4일). 《The great moving Boris show: Brexit and the mainstreaming of the far right in Britain》. 《Globalizations》 20. 814–828쪽. Bibcode:2023Glob...20..814W. doi:10.1080/14747731.2021.2025291. ISSN 1474-7731. S2CID 247062067.
- ↑ “Populism's Latest Twist: An Aristocrat Could Be Britain's Prime Minister”. 《뉴욕 옵저버》. 2017년 7월 14일.
- ↑ Way, Lyndon C. S. (2021년 5월 27일). 《Populism in musical mash ups: recontextualising Brexit》 (영어). 《Social Semiotics》 31. 489–506쪽. doi:10.1080/10350330.2021.1930857. ISSN 1035-0330.
- ↑ Collins, Harry; Evans, Robert; Durant, Darrin; Weinel, Martin (2020), Collins, Harry; Evans, Robert; Durant, Darrin; Weinel, Martin (편집), “What is Populism?” (영어), 《Experts and the Will of the People: Society, Populism and Science》 (Cham: Springer International), 35–46쪽, doi:10.1007/978-3-030-26983-8_4, ISBN 978-3-030-26983-8, S2CID 211313997
- ↑ 가 나 잉글, 스티븐 (2008). 《영국 정당 시스템: 입문》. 라우틀리지. 156쪽.
- ↑ 가 나 스완슨, 데이비드; 게르기나, 세르기우 (2023년 6월 26일). 《야당에서 정부로: 포퓰리즘 정당이 북아일랜드에서 정치적 소통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아일랜드 정치 연구》 38. 489–515쪽. doi:10.1080/07907184.2023.2227570. ISSN 0790-7184.
- ↑ “Javier Milei, el libertario radical 'outsider' que desafiará a la "casta política" en Argentina”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정치 카스트"에 도전할 급진 자유지상주의 '아웃사이더'] (스페인어). 《밀레니오》. 2021년 11월 14일. 2023년 4월 25일에 확인함.
- ↑ EPE (2021년 11월 15일). “La libertad avanza: el nuevo partido libertario que ha entrado en el Congreso de Argentina” (스페인어). 《El Periódico de Aragón》. 2022년 2월 9일에 확인함.
- ↑ “Javier Milei. Un fenómeno libertario con prédica antisistema”. La Nación. 2021년 12월 13일. 2022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자유당의 좌파, 우파, 중도 파벌은 누구인가?”. 2021년 3월 20일.
- ↑ “아직 울부짖을지도 모르는 쥐들: 작은 우익 정당들은 누구인가?”. 《더 컨버세이션》. 2013년 8월 28일.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Hans-Jürgen Bieling (2015). 〈Uneven development and 'European crisis constitutionalism', or the reasons for and conditions of a 'passive revolution in trouble'〉. Johannes Jäger; Elisabeth Springler (편집). 《Asymmetric Crisis in Europe and Possible Futures: Critical Political Economy and Post-Keynesian Perspectives》. Routledge. 110쪽. ISBN 978-1-317-65298-4.
- ↑ Tessa Szyszkowitz (2019년 10월 8일). “오스트리아: 성공적인 포퓰리스트”. 《왕립합동군사연구소》.
- ↑ “세계 포퓰리즘 지도 - 패널 #9: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및 몰디브의 문명 포퓰리즘과 종교적 권위주의”. 《유럽 포퓰리즘 연구 센터》. 2024년 1월 16일. 2025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eter Starke; Alexandra Kaasch; Franca Van Hooren (2013). 《The Welfare State as Crisis Manager: Explaining the Diversity of Policy Responses to Economic Crisis》. Palgrave Macmillan. 193쪽. ISBN 978-1-137-31484-0.
- ↑ “검찰은 "부흥" 정당의 해체 및 해산을 요청했다”. 2020년 7월 20일.
- ↑ “내부의 괴물: 불가리아 정치 위기가 어떻게 전개되는가”. 《유럽 진보 연구 재단》. 2024년 6월 19일.
전 TV 진행자 슬라비 트리포노프의 우익 포퓰리즘 정당
- ↑ “켈리 라이치가 어떻게 문화 전쟁을 촉발시켰나 – Macleans.ca”. 《macleans.ca》. 2016년 9월 23일. 2016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우익 포퓰리즘의 급증은 캐나다의 결단력을 시험할 것이라고 독자들이 말한다”. 《토론토 스타》. 2016년 11월 26일.
- ↑ “포퓰리스트 정치의 인기 있는 복귀”. 《토론토 선》.
- ↑ “켈리 라이치, 트럼프 승리에 편승 – Macleans.ca”. 《www.macleans.ca》.
- ↑ 블랙맨, 제시 (2016년 11월 24일). “캐나다 보수당은 포퓰리스트의 장악에 적합하다”.
- ↑ “칠레, 새로운 방향 선택 준비”. 《외교정책》. 2021년 11월 16일.
- ↑ “선거의 종교적 포퓰리즘”. 《엘 파이스》. 2019.
- ↑ Reid, Michael (2018). “포퓰리즘으로 돌아가는 그림자”. 《엘 파이스》.
- ↑ “우익 포퓰리즘”. 《Thinking Heads》. 2018.
- ↑ Zúñiga Umaña, Fernando (2018). “코스타리카의 정치 선거: 혼돈의 전야”. 《문도》.
- ↑ Prnjak, Hrvoje (2020년 3월 7일). “미로슬라브 슈코라의 권력 프로젝트: 새로운 포퓰리스트 지도자는 플렌코비치 승리를 바라고, 그 후 의회에서 30명의 의원을 위한 계획을 실행할 것이다”. 《slobodnadalmacija.hr》. 2020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Wölfl, Adelheid. “크로아티아 총리, 조기 총선에 팬데믹 이용하려 한다”. 《데어 슈탄다르트》. 2020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오스트리아 패배 후 유럽 우익 정당들 살펴보기”. 《하아레츠》. 2016년 5월 24일.
- ↑ 노르지엑, 볼프람 (2017). “체코”. 《유럽의 정당 및 선거》.
- ↑ Mach, Jiří (2024년 6월 11일). “사회학자들은 자동차 운전자들이 성공을 반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체코어). 《노빈키》. 보르기스. 2024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Pavelka, Kryštof (2024년 6월 10일). “투렉은 오카무라를 이기고 브뤼셀을 향해 출발한다. 프르지사하와 함께하는 자동차 운전자들은 젊은이들을 위한 SPD이다” (체코어). 《리플렉스》. 체코 뉴스 센터. 2024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우쉬, 로베르트 (2015년 2월 4일). “포퓰리즘인가 극단주의인가? – 유럽의 급진 정당들”. 《디 차이트》. 2017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Daniele Caramani; Yves Mény (2005). 《Challenges to Consensual Politics: Democracy, Identity, and Populist Protest in the Alpine Region》. Peter Lang. 151쪽. ISBN 978-90-5201-250-6.
- ↑ “발트해 지역의 논쟁적 정치: 에스토니아 우익 포퓰리즘의 '새로운' 물결”. 《오픈데모크라시》. 2016년 4월 28일.
- ↑ 이발디, 질 (2018). “시장을 채우는 것: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포퓰리스트와 주류 경쟁의 역학”. 6쪽.
- ↑ 카카치아, 코르넬리; 삼카라제, 니노 (2022년 12월). “정책 메모 #63 - 인민의 힘인가 포퓰리스트의 졸개인가? 조지아의 새로운 반서방 정치 운동 분석” (PDF). 조지아 정치 연구소.
- ↑ 노르지엑, 볼프람 (2019). “그리스”. 《유럽의 정당 및 선거》.
- ↑ “아테네 최연소 시장: 나는 유토피아가 아닌 실제 삶에 관심 있다”. 《가디언》. 2019년 6월 4일.
- ↑ Betz, Hans-Georg (1994). 《서유럽의 급진 우익 포퓰리즘 (불만의 새로운 정치)》. 팔그레이브 맥밀란. 4쪽. ISBN 978-0-312-08390-8.
대부분의 급진 우익 포퓰리즘 정당들은 기존 사회문화 및 사회정치 시스템에 대한 거부에서 급진적이다
- ↑ 보다크, 루스 (2013). 《유럽의 우익 포퓰리즘: 정치와 담론》. A&C 블랙. 23쪽.
- ↑ 프라카쉬, 그얀 (2010). 《뭄바이 우화》.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9쪽. ISBN 978-0-691-14284-5.
- ↑ 칼트바서, 크리스토발 로비라 (2017). 《옥스포드 포퓰리즘 핸드북》.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 ↑ 카를로 루자; 스테파노 펠라 (2009). 《이탈리아 우익 재창조: 지역 정치, 포퓰리즘 및 '탈파시즘'》. 라우틀리지. 43–44쪽. ISBN 978-1-134-28634-8.
- ↑ 량, 크리스티나 (2016). 《유럽을 위한 유럽인: 포퓰리즘 급진 우익의 외교 및 안보 정책》. 라우틀리지. 187쪽.
- ↑ 랭포드, 배리 (2017). 《지금 다 같이》. 바이트백 출판사.
우익 포퓰리즘 정당 리쿠드의 지도자 네타냐후는 재선을 위해 출마했다
- ↑ “영국과 이스라엘에서 우익 포퓰리즘 승리”. 《하아레츠》. 2016년 7월 3일.
- ↑ “의견 | 총리직을 유지하려면 네타냐후는 이스라엘 아랍인들과 협력해야 할 수도 있다”. 《워싱턴 포스트》. 2021년 3월 24일. 2021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욘손, 안톤 (2020년 10월 1일). 《이스라엘의 포퓰리즘: 2015년에서 2020년 사이 이스라엘 우익 정치 행위자들 사이에서 포퓰리즘적 수사의 발현 연구》 (학위논문). 룬드 대학교.
- ↑ 로겐호퍼, 율리우스 막시밀리안; 파니에프스키, 아야라 (2020). 《집권 반민주적 포퓰리즘: 에르도안의 튀르키예와 모디의 인도, 네타냐후의 이스라엘 비교》. 《민주화》 27. 1394–1412쪽. doi:10.1080/13510347.2020.1795135. S2CID 225557801.
- ↑ 나라야난 가네산 편집 (2015).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양자 유산》. 동남아시아 연구소. 67쪽.
- ↑ Hofmann, Reto (2018년 6월 22일). “스티브 배넌이 일본을 존경하는 이유”. 《더 디플로맷》. 2021년 3월 22일에 확인함.
일본에서는 포퓰리즘과 극우 민족주의가 정치적 기득권 내에서 자리 잡았다.
- ↑ “아베 행정부를 사상 최장기로 만든 정치적 요인과 한계. (일본어)”. 뉴스위크 일본. 2019년 11월 21일. 2020년 2월 21일에 확인함.
한편, 일본유신회는 작은 정부론에 우파적 포퓰리즘을 더한 정당이지만 ...(한편, 일본유신회는 작은 정부론에 우익 포퓰리즘을 더한 정당이다 ...)
- ↑ Tom Lansford (2019).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8–2019. "... the JRP was a right-wing, populist grouping that advocated deregulation, educational reform, ..."
- ↑ “연설과 SNS로 지지 확대한 '참정당'은. 어떤 당? 왜 세력 확대? 주장에는 위험성도… 참의원 선거에서 의석 획득”. 버즈피드. 2022년 7월 10일. 2022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서민 감각」「자민당 혐오」의 수용처로…카와무라 타카시 등이 이끄는 일본보수당이 「의외로 성장할」 가능성” (일본어). 2024년 3월 26일. 2024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햐쿠타 나오키 등 「아베 지지파」가 자민당 비판으로 돌아선 이유는? 「일본보수당」 국정 선거 첫 출정으로 중의원 도쿄 15구 보궐선거” (일본어). 2024년 3월 26일. 2024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마크, 크레이그 (2025년 7월 23일). “젊은 일본 유권자들이 우익 포퓰리즘 정당을 지지하며 총리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고 있다” (미국 영어). 《더 컨버세이션》. 2025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우익 포퓰리즘」은 참의원 선거에서 어디까지 성장할 것인가” (일본어). 《SHUCHU PUBLISHING》. 2025년 9월 1일. 2025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Auers; Kasekamp,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의 급진 우익 포퓰리즘 비교》, 235–236쪽
- ↑ “리히텐슈타인에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38,378명이 투표에 참여하다”. 2021년 2월 7일.
- ↑ 《룩셈부르크에서 정체성 만들기》. 트랜잭션 출판사. 2014. 55쪽.
- ↑ “우익 포퓰리즘 정당: 차이점과 공통점”. 2021년 3월 14일.
- ↑ Valk, Guus (2023년 3월 19일). “정치 스펙트럼에서 BBB는 어디에 있는가? 세 명의 정치학자가 이야기한다” (네덜란드어). 《NRC》. 2023년 4월 6일에 확인함.
- ↑ Theulings; van Oost (2023년 3월 23일). “약간 좌파, 약간 우파, 그리고 농업 포퓰리즘: 이것이 농민시민운동이 지향하는 바다”.
- ↑ “포퓰리즘 정당 BBB, JA21, BVNL, PVV도 계속해서 언론인에 대한 증오를 조장한다 – Joop – BNNVARA” (네덜란드어). 《Joop》. 2023년 4월 6일에 확인함.
- ↑ “뉴질랜드 선거에서 인종 문제가 부상하다”. 《www.reuters.com》. 로이터. 2023년 10월 3일.
- ↑ 볼프람 노르지엑 (2013). “유럽의 정당 및 선거: 노르웨이”. 《www.parties-and-elections.eu》. 유럽의 정당 및 선거.
- ↑ Lambert, Peter (2012년 8월 9일). “파라과이 루고 대통령의 전광석화 같은 탄핵”. 《E-국제 관계》. 2021년 7월 8일에 확인함.
- ↑ “라파엘 로페스 알리아가: 대중 우파는 부패하지도 상업주의적이지도 않다” (스페인어). 《라 라손》. 2020년 1월 21일. 2021년 2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유럽의 우익 포퓰리즘 및 극우 정당”. 《BPB.de》 (연방 시민 교육 기관). 2016년 12월.
- ↑ “포르투갈 사회당, 선거 승리 후 동맹 모색”. 《스타 트리뷴》. 2019년 10월 7일. 2019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헨서로스, 네이선 (2019). 〈열린사회재단〉. 아인스워스, 스콧 H.; 하워드, 브라이언 M. (편집). 《미국을 형성한 정치 단체, 정당 및 조직》. ABC-클리오. 739쪽.
- ↑ 볼프람 노르지엑. “유럽의 정당 및 선거”. 2015년 3월 16일에 확인함.
- ↑ 커트, 나타샤 (2014). 《러시아와 세계》. 라우틀리지. 25쪽.
- ↑ “소녀 매춘 혐의로 기소된 보수 포퓰리스트” (영어). 《베타 브리핑》. 2021년 4월 28일. 2022년 2월 20일에 확인함.
- ↑ “2019년 세계 우익 포퓰리즘 현황”. 《쿼츠》. 2019년 12월 30일.
- ↑ “남아프리카에서 ANC, 다른 정당들의 득표율 증가에도 불구하고 정권 유지”. 《타임스 오브 인디아》. 2019년 5월 11일.
- ↑ “부록 A: 유럽 포퓰리즘 정당 분류”. 《퓨 연구센터》. 2019년 10월 14일.
- ↑ 마졸레니, 오스카르 (2007), “스위스 인민당과 1990년대 이후 외교 및 안보 정책”, 《유럽을 위한 유럽인: 포퓰리즘 급진 우익의 외교 및 안보 정책》 (애쉬게이트), 223쪽, ISBN 978-0-7546-4851-2
- ↑ “제네바 선거에서 포퓰리스트들이 빛나다” (프랑스어). 《스위스인포》. 2009년 10월 11일. 2012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국경 문제로 제네바 선거 결과 흐려져”. 《스위스인포》. 2013년 11월 11일. 2016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NFP 40+ "우익 극단주의 – 원인과 대책" – SNF”. 《www.snf.ch》.
- ↑ 귀네쉬, 쳉기즈 편집 (2013). 《튀르키예의 쿠르드 문제》. 라우틀리지. 270쪽.
- ↑ Abadan-Unat, Nermin (2011). 《유럽의 튀르키예인: 객원 노동자에서 초국가적 시민으로》. 뉴욕: 베르그한 북스. 19쪽. ISBN 978-1-84545-425-8.
...파시스트 민족주의운동당...
- ↑ “이스탄불: 에르도안의 반대자들”. 2018년 4월 20일.
- ↑ 쿠지오, 타라스 (2010년 11월–12월), “유럽 비교 맥락에서 우크라이나의 포퓰리즘” (PDF), 《탈공산주의 문제》 57 (6): 3–18, doi:10.2753/ppc1075-8216570601, S2CID 154825950, 2012년 10월 16일에 확인함,
반유대주의는 스보보다와 같은 우크라이나 극우 정당에만 스며든다… 우크라이나의 경제 민족주의자들은 극우(스보보다)와 경제 민족주의 및 경제 보호주의를 전파하는 중도 정당에서 발견된다.
- ↑ 이발디, 질 (2011), “유럽 선거에서의 포퓰리즘 급진 우익 1979-2009”, 《유럽의 극우》 (반덴후크 & 루프레히트), 20쪽, ISBN 978-3-525-36922-7
- ↑ 파니치, 레오 (2015). 《우익 정치》. 뉴욕 대학교 출판부. ix쪽.
- ↑ 캐시디, 존 (2016년 2월 29일). “도널드 트럼프는 공화당을 포퓰리즘적 토착주의 정당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더 뉴요커》.
- ↑ 굴드, J.J. (2016년 7월 2일). “왜 포퓰리즘은 미국 우익에서 승리하고 있는가?”. 《디 애틀랜틱》.
- ↑ 코틀, 미셸 (2017년 4월 7일). “프리덤 코커스에서 트럼프는 자신의 적수를 만난다”. 《디 애틀랜틱》.
- ↑ “국가로의 퇴보”. 도이체 벨레. 2011.
- ↑ 가 나 에릭 믹린 (2015). 〈오스트리아 의회와 EU 문제: 법적 잠재력을 점진적으로 충족하다〉. 클라우디아 헤프트러; 크리스틴 노이홀트; 올리비에 로젠버그 외 (편집). 《국회와 유럽 연합에 관한 팔그레이브 핸드북》. 팔그레이브 맥밀란. 389쪽. ISBN 978-1-137-28913-1.
- ↑ “세계 포퓰리즘 지도 - 패널 #9: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및 몰디브의 문명 포퓰리즘과 종교적 권위주의”. 《유럽 포퓰리즘 연구 센터》. 2024년 1월 16일.
- ↑ 캐스 무드; 크리스토발 로비라 칼트바서 (2012). 《유럽과 아메리카의 포퓰리즘: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 또는 교정인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7쪽. ISBN 978-1-107-02385-7. 2013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유럽 선거 데이터베이스 (EED)”. 《uib.no》. 2017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보츠와나 • 아프리카 선거” (미국 영어). 《아프리카 선거》. 202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Dimitar Bechev, Scarecrow Press, 2009, ISBN 0-8108-6295-6, p. 104.
- ↑ 스밀로바, 루자; 스밀로프, 다니엘; 가네프, 게오르기 (2012). 〈불가리아의 민주주의와 언론: 누가 국민을 대표하는가?〉. 《미디어 정책 이해: 유럽의 관점》. 팔그레이브 맥밀란. 48–49쪽.
- ↑ Paul Hainsworth (2008). The Extreme Right in Western Europe. Routledge. p. 49
- ↑ 크리스티나 스코리 량 (2013). 〈'민족주의는 평화를 보장한다': 통일 후 독일 포퓰리즘 급진 우익의 외교 및 안보 정책〉. 크리스티나 스코리 량 (편집). 《유럽을 위한 유럽인: 포퓰리즘 급진 우익의 외교 및 안보 정책》. 애쉬게이트 퍼블리싱, Ltd. 139쪽. ISBN 978-1-4094-9825-4.
- ↑ 민주주의, 관용, 세계 개방적인 켐니츠를 위한 지역 행동 계획 (LAP). 보관됨 2012-12-08 - 웨이백 머신 (PDF; 275 kB) 2012년 업데이트. 2011년 11월 기준, chemnitz.de에 게시됨
- ↑ 스벤 울리히: NPD는 켐니츠에서 시위를 계획한다, freiepresse.de, 2010년 2월 16일.
- ↑ 안토니스 갈라노풀로스: 그리스 우익 포퓰리즘 정당과 유럽 회의주의(PDF), p.2 "황금새벽당도 유럽 회의주의적이며 그리스의 유럽 연합 및 유로존 참여에 반대한다"
- ↑ Gemenis, Kostas (2008) "그리스의 2007년 의회 선거", 지중해 정치 13: 95–101 및 Gemenis, Kostas and Dinas, Elias (2009) "여전히 대결 중인가? 그리스 정당들의 정책 입장 검토", 비교 유럽 정치.
- ↑ 아트, 데이비드 (2011), 《급진 우익 내부: 서유럽 이민 반대 정당의 발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88쪽, ISBN 978-1-139-49883-8
- ↑ 타마돈파르, 메흐란 (2013). 《종교와 정권》. 렉싱턴 북스. 125쪽.
- ↑ 가 나 볼프람 노르지엑. “유럽의 정당 및 선거: 볼프람 노르지엑의 유럽 의회 선거 및 정당 데이터베이스”. Parties-and-elections.eu. 2020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티롤 FPÖ의 선거 운동에서 BürgerUnion” (독일어). 2018년 1월 27일에 확인함.
- ↑ “페더 씨, 페기다에서 무엇을 하십니까?” (독일어), 《Salto.bz》, 2015년 1월 13일, 2018년 1월 27일에 확인함
- ↑ “투표하지 않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다.” (독일어), 《Brennerbasisdemokratie.eu》, 2018년 2월 25일, 2018년 1월 27일에 확인함
- ↑ 헤닝센, 베른트; 에촐트, 토비아스; 한느, 크리스터 (2017년 9월 15일). 《발트해 지역: 종합 안내서》. BWV 페르락. 341쪽. ISBN 978-3-8305-1727-6.
- ↑ “라트비아”. 2024년 4월 23일.
- ↑ “고브젬 정당 – 집권 정치 계급에 대한 선물”. 《neatkariga.nra.lv》.
- ↑ 발체레, 일체 (2011), 《발트해 국가와 서유럽의 포퓰리즘 정당 비교》 (PDF), 유럽 정치 연구 컨소시엄, 5–6쪽
- ↑ 베렌드, 이반 T. (2010), 《1980년대 이후의 유럽》,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34쪽
- ↑ “볼프람 노르지엑, 유럽의 정당 및 선거”. 2013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보다크, 루스; 므랄, 브리짓 (2013). 《유럽의 우익 포퓰리즘: 정치와 담론》. A&C 블랙. 19쪽.
- ↑ “발칸 반도의 포퓰리즘. 세르비아의 경우” (PDF).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유럽의 우익 포퓰리스트 및 극단주의자들”. 《도이체 벨레》. 2018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 파사렐리, 잔루카 (2019). 〈서부 발칸 반도의 정당 대통령화〉 (영어). 파사렐리, 잔루카 (편집). 참: 스프링거 인터내셔널. 1–22쪽. doi:10.1007/978-3-319-97352-4_1. ISBN 978-3-319-97351-7. S2CID 158687714. 2022년 3월 19일에 확인함.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슬로바키아: 우익, 피코 저지 원해” (독일어). 《데어 슈탄다르트》. 2017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앨리카 레티오바. “영웅이 온다! 2013년 슬로바키아 지역 선거에서 마리안 코틀레바의 핵심 서사”. 마사리크 대학교. 2017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우익 극단주의자인가 인민의 수호자인가? 2013년 슬로바키아 지역 선거에서 극우 지도자 마리안 코틀레바에 대한 언론 보도 | 클루크나프스카 | Intersections. 동유럽 사회 및 정치 저널”. Intersections.tk.mta.hu. 2016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골더, M. (2003). 《서유럽 극우 정당 성공의 변동성 설명》. 《비교 정치학 연구》 36. 432쪽. doi:10.1177/0010414003251176. S2CID 55841713.
- ↑ 에반스, 조슬린 A.J. (2005년 4월). 《급진 우익 포퓰리즘 정당 지지의 사회 변화 역학》. 《비교 유럽 정치학》 3. 76–101쪽. CiteSeerX 10.1.1.199.7394. doi:10.1057/palgrave.cep.6110050. S2CID 7805751.
- ↑ “정당, 귀족 유형 및 성별에 따른 상원의원”. 영국 의회. 2013년 3월 8일. 201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시몽 랑글루아; 장폴 바이야르종; 게리 칼드웰; 기 프레셰; 마들렌 고티에; 장피에르 시마르 (1992). 《퀘벡의 최근 사회 동향, 1960–1990》. 맥길-퀸스 프레스 – MQUP. 369쪽. ISBN 978-0-7735-0879-8.
- ↑ 가스 스티븐슨 (2004). 《미완의 연합, 제5판: 캐나다 연방주의와 국가 통합》. 맥길-퀸스 프레스 – MQUP. 108쪽. ISBN 978-0-7735-3632-6.
- ↑ 시어도어 R. 마머; 리처드 프리먼; 키케 G. H. 오크마 (2009). 《비교 연구와 현대 의료의 정치》. 예일 대학교 출판부. 81쪽. ISBN 978-0-300-15595-2.
- ↑ 아미르 아베디 (2004). 《반정치 기득권 정당: 비교 분석》. 라우틀리지. 39쪽. ISBN 978-1-134-36369-8.
- ↑ 캐럴 굴드; 파스콸레 파퀴노 (2001). 《문화적 정체성과 국민국가》. 로먼 & 리틀필드. 39쪽. ISBN 978-0-8476-9677-2.
- ↑ 이언 버지; 데이비드 로버트슨; 데릭 헐 (1987). 《이념, 전략 및 정당 변화: 19개 민주주의 국가의 전후 선거 프로그램 공간 분석》.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90쪽. ISBN 978-0-521-30648-5.
- ↑ 데니스 필론 (2015). 〈브리티시컬럼비아: 우익 연합 정치와 신자유주의〉. 브라이언 M. 에반스; 찰스 W 스미스 (편집). 《지방 정치의 변화: 신자유주의 시대 캐나다 주 및 영토의 정치 경제》. 토론토 대학교 출판부. 288쪽. ISBN 978-1-4426-9593-1.
- ↑ 나탈리 토치 (2007). 〈그리스, 튀르키예, 키프로스〉. 《유럽 정치》.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125쪽.
- ↑ 스테판 엥게르트 (2010). 《EU 확대와 사회화: 튀르키예와 키프로스》. 라우틀리지. 146쪽.
- ↑ “크로아티아 보수주의자들, 새로운 지도자와 함께 우익 포퓰리즘 거부”. 《파이낸셜 타임스》. 2016년 7월 18일.
- ↑ 클라우스만, 알렉산드라 (2010년 5월 21일). “체코: 청년들, 좌파 정당에 맞서 단결” (독일어). 《비너 차이퉁》. 201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체코 선거: 분노한 유권자”, 《디 이코노미스트》, 2013년 10월 25일
- ↑ 폴 헤인즈워스 (2008). 《서유럽의 극우》. 라우틀리지. 49쪽. ISBN 978-1-134-15432-6.
- ↑ Alexander Häusler (Hrsg.): Rechtspopulismus als "Bürgerbewegung". Kampagnen gegen Islam und Moscheebau und kommunale Gegenstrategien.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Wiesbaden 2008, ISBN 978-3-531-15919-5.
- ↑ “노숙자 우익 포퓰리스트”, 《쥐트도이체 차이퉁》, 2011년 1월 11일, 2011년 8월 30일에 확인함
- ↑ “쾰른을 위한 프로, 법정에서 패소”, 《FOCUS》, 2009년 7월 10일, 2011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독일을 위한 프로, 노르웨이 대사관 앞에서 시위”, 《베를리너 모르겐포스트》, 2011년 7월 25일,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Kristian Frigelj: 우익 포퓰리스트, 반미나레트 캠페인 계획. In: 디 벨트, 2009년 12월 14일.
- ↑ 가 나 크리스티나 베르크비스트 편집 (1999). 《평등한 민주주의?: 북유럽 국가의 젠더와 정치》. 북유럽 이사회. 320쪽. ISBN 978-82-00-12799-4.
- ↑ 드 랑게, 사라 L. (2008), 《정부 내 급진 우익 포퓰리즘 정당: 연합 구성원 결정 요인》 (PDF), 9쪽
- ↑ 포스터, 맬컴 (2012년 12월 16일). “일본 선거 2012: 자민당, 의회 선거에서 다수 득표”. 《허프포스트》. 2012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소블, 조너선 (2012년 12월 17일). “일본 주요 정당의 초상”. 《파이낸셜 타임스》 (닛케이). 2020년 11월 6일에 확인함.
정치: 포퓰리스트 우익
- ↑ 윙필드-헤이스, 루퍼트 (2012년 12월 15일). “일본, 전통 정치에 대한 믿음 잃어가다”. 《BBC 뉴스》. 2012년 11월 6일에 확인함.
강력한 리더십과 과감한 답변을 약속하는 비전통 정당, 특히 우익 포퓰리스트 정당에 대한 지지가 커지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오사카 시장 하시모토 도루와 80세의 전 도쿄 도지사 이시하라 신타로 두 명의 정치적 이단아들이 이끄는 일본유신회이다.
- ↑ 가 나 데이비드 아트 (2011). 〈서유럽의 기억 정치〉. 우베 바케스; 파트리크 모로 (편집). 《유럽의 극우: 현재 동향 및 전망》. 반덴후크 & 루프레히트. 361쪽. ISBN 978-3-647-36922-8.
- ↑ 안데웨그, R. 및 어윈, G. 네덜란드의 정치 및 거버넌스, 베이싱스토크 (팔그레이브). p. 49.
- ↑ “세르비아: 부치치 그림자 속의 선거”. 2020년 6월 21일.
- ↑ 앙글라다: "포퓰리스트이자 정체성주의자라는 것은 진실로 민주적이라는 것입니다" 보관됨 2011-10-03 - 웨이백 머신 미누토 디지털 (스페인어)
참고 문헌
[편집]- Berlet, Chip and Matthew N. Lyons. 2000. Right-Wing Populism in America: Too Close for Comfort. New York: Guilford Press. ISBN 1-57230-568-1, ISBN 1-57230-562-2.
- Betz, Hans-Georg. Radical right-wing populism in Western Europe. New York: Palgrave Macmillan, 1994. ISBN 0-312-08390-4.
- Betz, Hans-Georg and Immerfall, Stefan. The New Politics of the Right: Neo-Populist Parties and Movements in Established Democracies. Houndsmill, Basingstoke, Hampshire, UK, Macmillan Press Ltd., 1998. ISBN 978-0-312-21338-1.
- Dolgert, Stefan (2016). 《Resentiment 칭찬: 또는, 도널드 트럼프를 사랑하는 법을 배웠다》. 《새로운 정치 과학》 38. 354–370쪽. doi:10.1080/07393148.2016.1189030. S2CID 147965459.
- Fielitz, Maik; Laloire, Laura Lotte (eds.) (2016). Trouble on the Far Right. Contemporary Right-Wing Strategies and Practices in Europe. Bielefeld: transcript. ISBN 978-3-8376-3720-5.
- Fritzsche, Peter. 1990. Rehearsals for Fascism: Populism and Political Mobilization in Weimar German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5780-5.
- Geden, Oliver (2006). 《Diskursstrategien im Rechtspopulismus: Freiheitliche Partei Österreichs und Schweizerische Volkspartei zwischen Opposition und Regierungsbeteiligung》 [우익 포퓰리즘의 담론 전략: 오스트리아 자유당과 스위스 인민당의 야당 및 정부 참여 사이] (독일어). 비즈바덴, 독일: VS 페르락. doi:10.1007/978-3-531-90430-6. ISBN 978-3-531-15127-4.
- Goodwin, Matthew; Milazzo, Caitlin (2015). 《UKIP: 영국 정치 지도를 다시 그리기 위한 캠페인 내부》. 옥스포드: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19-873611-0.
- Greven, Thomas (2016). 《유럽과 미국의 우익 포퓰리즘의 부상: 비교 관점》 (PDF). 베를린: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 2016년 8월 9일에 확인함.
- Heywood, Andrew (2015). 《영국 정치의 필수 요소》 3판. 런던: 팔그레이브 맥밀란. ISBN 978-1-137-53074-5.
- Ignazi, Piero (2002). 〈극우: 대상 정의 및 원인 평가〉. 셰인, 마틴; 졸버그, 아리스티드 R.; 호세이, 파트리크 (편집). 《유럽을 덮친 그림자: 서유럽 극우의 발전과 영향》. 뉴욕: 팔그레이브 맥밀란. ISBN 978-0-312-29593-6.
- ——— (2006). 《서유럽의 극우 정당》. 비교 정치학.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19-929159-5.
- Kaplan, Jeffrey; Weinberg, 레너드 (1998). 《유럽-미국 급진 우익의 등장》. 뉴브런즈윅, 뉴저지: 럿거스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8135-2564-8.
- Norris, Pippa (2005). 《급진 우익: 선거 시장의 유권자와 정당》. 케임브리지, 잉글랜드: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1-84914-2.
- Skenderovic, Damir (2009). 《스위스의 급진 우익: 지속성과 변화, 1945–2000》. 뉴욕: 베르그한 북스. doi:10.2307/j.ctt9qcntn. ISBN 978-1-84545-580-4. JSTOR j.ctt9qcntn. S2CID 152401505.
추가 자료
[편집]- 보다크, 루스. 공포의 정치: 우익 포퓰리즘 담론이 의미하는 것. 런던: 세이지, 2015. ISBN 978-1-4462-4700-6.
- 골드왜그, 아서. 새로운 증오: 포퓰리즘 우파의 공포와 증오의 역사. 판테온, 2012년 2월. ISBN 978-0-307-37969-6.
외부 링크
[편집]- "팩트 체크: 유럽 우익 포퓰리즘의 부상". 채널 4 뉴스 (영국). 2017년 9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