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
빌헬름 폰 율리히클레베베르크
| |
---|---|
![]() 미상 화가 (네덜란드 학파)의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의 초상화 (1554년경) | |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 |
재위 | 1539년 2월 6일~1592년 1월 5일 |
전임 | 요한 3세 |
후임 | 요한 빌헬름 |
신상정보 | |
출생일 | 1516년 7월 28일 베르크 공국 뒤셀도르프 |
사망일 | 1592년 1월 5일 베르크 공국 뒤셀도르프 | (75세)
가문 | 라 마르크가 |
부친 | 클레베 공작 요한 3세 |
모친 | 율리히베르크 공작부인 마리아 |
자녀 | 프로이센 공작부인 마리 엘레오노르 노이부르크 백작부인 안나 츠바이브뤼켄 백작부인 마그달레나 카를 프리드리히 부르가우 변경백부인 지빌레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요한 빌헬름 |
빌헬름 폰 율리히클레베베르크(독일어: Wilhelm, 또는 클레베의 빌헬름 1세, 빌헬름 5세 폰 율리히베르크)은 부유공 빌헬름(독일어: Wilhelm der Reiche, 1516년 7월 28일 – 1592년 1월 5일)이란 별명을 가진 16세기 신성 로마 제국의 귀족으로, 율리히클레베베르크의 공작 (1539년~1592년)이었다.
생애
[편집]1516년 뒤셀도르프에서 태어났다.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요한 3세와 율리히베르크 공작부인 마리아의 유일한 아들이었다.[1] 1539년 아버지의 사망 후 영지인 클레베 공국과 마르크 백국을 물려받았다. 어머니는 1543년까지 살아있었으나 베르크와 율리히 공작이자 라펜스베르크의 백작위도 함께 물려받았다.
그 전 해인 1538년부터 1543년까지는 먼 친척인 에흐몬트 공작의 후계자로서 이웃한 헬러 공국을 소유하고 있었다.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는 공작의 상속권 매각으로 헬러 공국이 자신의 것이라 주장하였고, 빌헬름은 그에 맞서 공국의 소유권을 지키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빌헬름은 프랑스 왕국이나 잉글랜드 왕국 등 주변 강국과의 관계개선에 나선다.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에게는 여동생 안나 폰 클레베를 시집보냈고, 프랑스 국왕과는 협정을 맺고 잔 달브레와 결혼하여 동맹관계를 취했다. 마침내 프랑스의 지원을 바탕으로 황제에게 도전하게 된 빌헬름이었으나, 정작 전장에서 프랑스군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지 않으면서 제국군에 패하고 말았다. 헬러 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벤로 조약 (1543년)에 따라 헬데를란트와 쥣펀 백국은 카를 5세에게 넘어가 합스부르크령 네덜란드의 일부로 편입됐다.
전쟁 이후 빌헬름은 상속받은 영토의 내실을 다지는 한편 주요 도시의 개발에 나서 인상적인 성과를 거뒀다. 옛 중세시대 때 지어진 요새가 제국군의 포병부대에 무력화된 모습을 본 빌헬름은 율리히, 클레베, 베르크의 세 공국의 중심도시인 율리히, 뒤셀도르프, 오르소이 시에 새로운 요새를 짓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네덜란드에서 실력을 입증해 명성을 얻고 있던 볼로냐 출신의 건축가 알레산드로 파스콸리니를 불러들여 요새와 궁전의 설계를 맡도록 하였으며, 율리히와 뒤셀도르프는 훌륭한 도시로 거듭나게 되었다. 오늘날 율리히에 남은 성채는 1548년~1580년에 건설된 것으로 도시의 상징이며 르네상스 시대의 궁중건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어렸을 적 콘라트 헤레스바흐 (Konrad Heresbach)로부터 인본주의 교육을 받았던 빌헬름은 1545년 뒤셀도르프에 인본주의를 전공하는 김나지움을 설립했다.[2] 재위 시절에는 에라스뮈스 교파를 지지하려 노력했지만, 루터교가 대중에 확산되는 것을 막지는 않았다.[2] 이에 1554년부터는 자녀 교육에 루터교 설교자를 임명하는 모습을 보였다.[2]
결혼과 자녀
[편집]1541년 6월 14일 나바라의 상속녀이자 앙리 2세 국왕과 왕비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앙굴렘의 딸인 잔 달브레 (1528년~1572년)와 정략결혼에 나섰다.[3] 당시 잔 달브레의 나이는 겨우 12살이었다. 1545년 10월 12일 교황의 특면으로 취소되었다.[2]
1546년 7월 18일에는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와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의 딸인 마리아 폰 오스트리아 (1531년~1581년)와 결혼했다.[2] 두 사람 사이에 둔 자녀는 다음과 같았다.
- 마리 엘레오노르 (1550년 6월 25일~1608년) -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공작과 결혼했다.[4]
- 아나 (1552년 3월 1일~1632년) - 팔츠노이부르크 백작 필리프 루트비히와 결혼했다.[4]
- 마그달레나 (1553년~1633년), 팔츠츠바이브뤼켄 백작 요한 1세 (필리프 루이의 형제)와 결혼했다.[4]
- 카를 프리드리히 (1555년~1575년) - 세습 공작이었으나 20세에 사망했다.
- 엘리자베트 (1556년~1561년)
- 지빌레 (1557년~1627년) -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2세와 필리핀 벨저의 귀천상혼으로 낳은 아들인 부르가우 변경백 카를과 결혼했다.[4]
- 요한 빌헬름 (1562년 5월 28일~1609년 3월 25일) - 뮌스터 주교,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마르크 백작, 라펜스베르크 백작, 라벤스테인 영주. 1585년 바덴바덴 변경백 필리베르트의 딸인 야코베아 폰 바덴 (1597년 사망)과 처음 결혼했다. 이후 로렌 공작 를 3세의 딸인 앙투아네트 드 로렌 (1610년 사망)와 재혼했다.
가계도
[편집]16. 클레베 공작 아돌프 1세 | ||||||||||||||||
8. 클레베 공작 요한 1세 | ||||||||||||||||
17. 마리 드 부르고뉴 | ||||||||||||||||
4. 클레베 공작 요한 2세 | ||||||||||||||||
18. 느베르 백작 요한 2세 | ||||||||||||||||
9. 엘리자베트 드 느베르 | ||||||||||||||||
19. 자클린 다이 | ||||||||||||||||
2. 클레베 공작 요한 3세 | ||||||||||||||||
20. 헤센 방백 루트비히 1세 | ||||||||||||||||
10. 헤센마르부르크 방백 하인리히 3세 | ||||||||||||||||
21. 아나 폰 작센 | ||||||||||||||||
5. 마틸데 폰 헤센 | ||||||||||||||||
22. 카체넬른보겐 백작 필리프 1세 | ||||||||||||||||
11. 아나 폰 카체넬른보겐 | ||||||||||||||||
23. 아나 폰 뷔르템베르크 | ||||||||||||||||
1.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 | ||||||||||||||||
24. 라펜스베르크 백작 빌헬름 8세 폰 율리히 | ||||||||||||||||
12. 율리히베르크 공작 게르하르트 7세 | ||||||||||||||||
25. 아델하이트 폰 테클렌부르크 | ||||||||||||||||
6. 율리히베르크 공작 빌헬름 4세 | ||||||||||||||||
26.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베른하르트 2세 | ||||||||||||||||
13. 조피 폰 작센라우엔부르크 | ||||||||||||||||
27. 아델하이트 폰 포메른 | ||||||||||||||||
3. 마리아 폰 율리히베르크 | ||||||||||||||||
28.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1세 | ||||||||||||||||
14.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알브레히트 3세 아킬레스 | ||||||||||||||||
29. 엘리자베트 폰 바이에른란츠후트 | ||||||||||||||||
7. 브란덴부르크의 지빌레 | ||||||||||||||||
30. 프리드리히 2세 폰 작센 선제후 | ||||||||||||||||
15. 작센의 안나 | ||||||||||||||||
31. 마르가레테 폰 오스트리아 | ||||||||||||||||
각주
[편집]- ↑ Ward, Prothero & Leathes 1934, table 38쪽.
- ↑ 가 나 다 라 마 Bietenholz & Deutscher 2003, 316쪽.
- ↑ “Letters and Papers, Foreign and Domestic, Henry VIII, Volume 16, 1540-1541.”. 《British History Online》. HMSO 1898. 2025년 5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Ward 1905, 716쪽.
출처
[편집]- Bietenholz, Peter G.; Deutscher, Thomas Brian 편집 (2003).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1–3. University of Toronto Press.
- Ward, A.W. (1905). 〈The Empire under Rudolf II〉. Ward, A.W.; Prothero, G.W.; Leathes, Stanley (편집).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III.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 Ward, A.W.; Prothero, G.W.; Leathes, Stanley 편집 (1934).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XIII.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관련 문헌
[편집]- Darsie, Heather R. (2023). 《Children of the House of Cleves: Anna and Her Siblings》. Amberley Publishing. ISBN 9781445699424.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 출생: 1516년 7월 28일 1592년 1월 5일
| ||
이전 카를 2세 |
헬데를란트 공작 쥣펀 백작 1538–1543 |
이후 카를 3세 |
이전 요한 3세 |
클레베·율리히·베르크 공작 마르크 백작·라펜스베르크 백작 1539년~1592년 |
이후 요한 빌헬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