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말레이 전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의 말라야 침공에서 넘어옴)
말레이 전역
태평양 전쟁의 일부

일본 제국 육군 병력이 말레이 전역 막바지에서 조호르바루의 거리를 경계하는 모습
날짜1941년 12월 8일~1942년 2월 15일
장소
결과 일본의 승리
영토 변화 일본의 말라야 점령
교전국

대영제국의 기 대영제국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중화민국 말라야 국민당[1]

말라야 공산당[1]

인도네시아 청년 말라야 연합
지휘관

영국 아치볼드 웨이벌
영국 로버트 브룩포팜
영국 아서 퍼시벌 항복
영국 루이스 헬스 항복
영국 데이비드 머레이리옹 항복
영국 아치볼드 파리스 
영국 아서 에드워드 배스토 
오스트레일리아 고든 베넷


영국 토머스 필립스 


영국 콘웨이 풀포드 


중화민국 양우고[1]

라이 텍

일본 제국 데라우치 히사이치
일본 제국 야마시타 도모유키
일본 제국 마쓰이 다쿠로
일본 제국 니시무라 다쿠마
일본 제국 무타구치 렌야
일본 제국 스가와라 미치오


일본 제국 곤도 노부타케
일본 제국 오자와 지사부로
일본 제국 하시모토 신타로


인도네시아 이브라힘 야콥
군대

영국 영국 극동사령부 (~1942년 1월 7일)
ABDA 사령부 (1942년 1월 7일~)


영국 말라야 사령부


영국 RAF 극동사령부

네덜란드 왕립 네덜란드 동인도 공군


영국 동인도 함대


중화민국 성화의용군[1]

말라야 인민항일군[1]

일본 제국 남방군


일본 제국 제25군


일본 제국 제2함대


태국 왕립 경찰


인도네시아 청년 말라야 연합
병력

병력 130,246명[2]
항공기 253기
포 810문
대전차포 및 대공포 208문 이상
요새포 54문[a][3]
장갑전투차량 250대 이상[b][3][4]

차량 15,400대 이상[5][c]

병력 125,408명[6]
항공기 799기[7]
포 440문 이상[8]
전차 265대s[9]

트럭 3,000대 이상[10]
피해 규모

총 사상자 130,246명(싱가포르 전투의 사상자 포함)
7,500~8,000명 사망[11]
11,000명 이상 부상

~120,000명 이상 포로 또는 실종[12]

총 사상자 14,768명(싱가포르 전투의 사상자 포함)
5,240명 사망
9,528명 부상[13]
전차 30대 파괴[14]

항공기 108~331기 파손 또는 격추[15]

말레이 전역(Malayan campaign) 혹은 일본에서의 명칭 말레이 작전(일본어: マレー作戦 마레사쿠센[*]), E 작전제2차 세계 대전태평양 전쟁 초기인 1941년 12월 8일부터 1942년 2월 15일까지 영국령 말라야(현 말레이반도)에서 연합국추축국이 맞붙은 군사 작전이다. 영연방 군대와 일본 제국군 사이 지상전이 주를 이루었으며 전역 초반에는 영연방과 태국 왕립 경찰 사이에도 소규모 교전이 있었다. 일본군은 전역 초기부터 해군과 공군에서 우위를 점했다. 말레이 식민지를 방어하던 영국,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 연합주 군대에게 이 작전은 총체적인 재앙 수준이었다.

말레이 전역에서 일본군은 더 많은 장비를 운반하고 험한 정글 지형을 신속하게 통과하기 위해 자전거 보병을 적극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폭파탄을 장비한 영국 왕립 공병대는 후퇴하는 동안 백여개가 넘는 다리를 파괴했지만 일본군의 진격을 지연시키는 데는 거의 도움을 주지 못했다. 일본군이 싱가포르 전투에서 싱가포르를 함락시키기까지 총 14,76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16] 연합국 측은 사망자 7,500~8,000명, 부상자 11,000명 이상, 실종자 및 포로 12만명 이상 등 총 130,24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7]

배경

[편집]

일본

[편집]

1937년부터 1941년까지 4년간 일본은 중국을 정복하러 시도했다. 일본은 군사 물자, 특히나 미국에서 들여오는 석유 등 물품 대부분을 해외 수입에 크게 의존했다.[18] 1940년에서 1941년 사이 일본이 프랑스 식민지를 점령하자 미국, 영국, 네덜란드는 일본을 향해 석유와 전쟁 물자 무역에 대한 금수 조치를 발효했다.[18] 금수 조치는 중국을 돕고 일본이 중국 본토 내 군사 행동 중단 촉구를 목표로 했다. 하지만 일본은 중국에서 철수하면 위신을 크게 잃는다고 판단해 대신 동남아시아의 미국, 영국, 네덜란드 영토를 향한 군사 행동을 취하기로 결정했다.[18] 침공을 준비하는 일본군은 1941년 하이난섬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집결했다. 이 병력 증강을 연합국이 발견하고 일본에게 질문하자 일본 측은 중국을 향한 작전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고 답했다.

일본군은 95식 경전차, 97식 중전차 치하, 89식 중전차 이고, 97식 경장갑차로 구성된 200여대의 전차를 집결시켰다.[19] 또한 800기에 가까운 항공 지원을 받았다. 이에 반해 영연방군은 랜체스터 6×4 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 유니버설 캐리어와 인도 제100경전차중대에 배치된 구형 Mk VI 경전차 23대만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장갑차 모두 기갑전에 대비한 충분한 무장을 확보하지 못했다.[4] 또한 전투기는 250대에 불과했고 이 중 절반이 전투 초기 며칠 안에 전부 손실되었다.

일본군이 말레이를 침공할 때 이와 동시에 진주만, 태평양의 여러 섬, 필리핀, 홍콩, 버마, 싱가포르, 보르네오, 태국까지 태평양과 동남아시아 전역에 대한 광범위한 동시다발적 공격을 시작했다.[20][21]

영연방

[편집]

두 번의 세계 대전 사이에 극동 지역에 대한 영국군의 전략은 관심과 자금 부족으로 약화되었다. 1937년, 소장 윌리엄 도비 말라야 사령관(1935~1939년)은 말라야의 방어를 검토하고 10월부터 3월까지 몬순 기간 동안 적군이 동해안에 상륙하여 태국에 기지를 세울 수 있다고 보고했다. 도비는 태국송클라파타니, 말라야의 코타바루에 상륙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즉시 대규모 증원군을 보낼 것을 권고했다. 그의 예측은 정확했지만 권고는 무시되었다. 영국 정부의 계획은 적대 행위 발생 시 싱가포르 해군 기지에 강력한 함대를 주둔시켜 영국의 극동 영토와 오스트레일리아로 가는 길을 모두 방어하는 데 주로 의존했다. 또한 강력한 해군력은 잠재적 침략자에 대한 억제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22]

그러나 1940년까지 말라야 육군 사령관 중장 라이오넬 본드는 싱가포르의 성공적인 방어를 위해서는 반도 전체의 방어가 필요하며, 해군 기지만으로는 일본의 침공을 막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인정했다.[23] 군사 계획자는 말라야의 목표 공군 전력이 300~500대에 이를 것으로 결론 내렸지만, 영국과 중동에 인력과 물자를 할당하는 데 우선순위가 더 높았기 때문에 이 목표는 결코 달성되지 못했다.

말라야 방어 전략은 두 가지 기본 가정에 기반을 두었다. 첫째, 영국군 증원을 허용할 만큼 충분한 조기 경보가 있을 것이라는 점, 둘째, 공격 시 미국이 도울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1941년 말, 아서 퍼시벌 중장이 말라야 사령관으로 부임한 후, 이 두 가지 가정이 실제로 근거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졌다.[23] 또한 처칠과 루스벨트는 동남아시아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유럽에서의 전쟁을 끝내는 데 우선순위를 두기로 합의했다. 그 전까지 동아시아는 이차적인 우선순위가 될 것이었다. 봉쇄는 동아시아에서의 주요 전략으로 간주되었다.

첩보 작전

[편집]

말레이 방면 공세에 대한 일본의 계획은 대만에 본부를 둔 일본 군사국 82부대가 수행했다. 말라야에 대한 정보는 일본 대사관 직원, 불만을 품은 말레이인(특히 일본이 설립한 거북이 협회 회원), 일본, 한국, 대만 사업가 및 관광객을 포함한 첩보망을 통해 수집되었다. 영국 정보 장교인 패트릭 스탠리 본 히난 대위를 포함한 일본 스파이도 정보와 지원을 제공했다.[24]

적대 행위 이전에 후지와라 이와이치와 같은 일본 정보 장교들은 크사투안 멜라유 무다인도 독립 연맹과 같은 말라야 및 인도 독립 운동 조직과 연결된 비밀 정보국을 설립했다. 일본은 이들 운동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그 대가로 회원은 침공 전에 연합군의 병력 이동, 전력 및 배치에 대한 정보와 나중에 지원을 제공했다.[25]

침공 전 이러한 네트워크의 운영을 통해 일본은 영연방군이 어디에 주둔하고 있는지, 그들의 부대 전력이 얼마나 되는지, 말라야의 상세한 지도를 가지고 있었고, 방향을 안내할 현지 가이드를 확보할 수 있었다.[26]

1941년 11월

[편집]

1941년 11월, 영국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일본군이 대규모로 증강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증강으로 인해 말라야뿐만 아니라 태국도 위협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영국 전략가는 일본이 크라 지협을 이용하여 말라야를 침공할 가능성을 예측했다. 이 잠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마타도르 작전이라는 이름의 태국 남부 선제 침공 계획이 수립되었다. 하지만 침공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을 때 영국은 정치적 이유로 이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27]

일본의 말라야 침공

[편집]
일본 제25군 사령관 야마시타 도모유키 중장

말라야 전역은 야마시타 도모유키 중장 지휘하의 제25군이 1941년 12월 8일 말라야를 침공하면서 시작되었다. 일본군은 코타바루의 말라야 북부 해안에 수륙양용 강습을 감행하고 말라야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진격하기 시작했다.[28] 일본 제5사단은 태국의 파타니와 송클라에도 상륙한 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말라야 서부로 진입했다.[28]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여전히 프랑스 행정하에 있었고, 일본과 협력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프랑스 당국은 일본군이 침공을 위해 영토의 항구를 해군 기지로 사용하고, 비행장을 건설하며, 병력을 집결시키는 것을 허용했다. 또한 일본은 태국을 압박하여 침공에 협력하도록 했지만, 태국군은 태국 영토에서의 상륙에 8시간 동안 저항했다.

새벽 4시, 일본 폭격기 17대가 싱가포르를 공습했는데 이는 식민지에 대한 최초의 공습이었다. 인도차이나에 기반을 둔 일본 폭격기가 싱가포르 사정권에 들어왔다는 것이 영국군에게 명백해졌다.[28]

일본군은 초기에 인도 제3군단영국 육군의 여러 대대에 저항을 받았다. 일본군은 해안을 방어하는 개별 인도 부대를 신속하게 고립시킨 후 병력을 집중하여 방어군을 포위하고 항복을 강요했다.[28] 일본군은 북부 말라야에서 병력 면에서 약간의 우위를 점했으며, 근접항공지원, 기갑, 협력, 전술, 중일 전쟁에서 싸운 경험 면에서 훨씬 우수했다. 연합군은 전차가 없어 심각한 불리함을 겪었다. 또한 일본군은 자전거 보병경전차를 사용하여 울창한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고 원주민 오솔길이 교차하는 지형을 통해 병력을 육상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켰다. 일본군은 (하선 과정을 빠르게 하기 위해) 자전거를 가져오지 않았지만, 첩보를 통해 말라야에 적합한 자전거가 풍부하다는 것을 알고 민간인과 소매업자로부터 필요한 자전거를 신속하게 압수했다.[28]

영국령 인도 육군이 크로콜 작전으로 명명한 마타도르 작전의 대체 작전은 12월 8일에 실행되었지만, 병력은 태국 왕립 경찰과 일본 제5사단에 쉽게 패배했다.[6] 왕립 해군Z 부대(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 순양전함 HMS 리펄스, 4척의 구축함토머스 필립스 제독의 지휘 하에)는 적대 행위 발발 직전에 도착했다. 인도차이나에 기반을 둔 일본 항공기는 12월 10일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리펄스를 침몰시켜 말라야 동해안을 노출시켰고, 일본군이 침공을 계속할 수 있게 했다.[28]

공중전

[편집]

배경

[편집]

연합군은 낮은 우선순위 전선이었기 때문에 일본군에 맞설 현대적인 항공기가 비교적 적었다. 게다가 연합군은 일본 항공기를 심각한 위협으로 여기지 않았다. 1941년 연합군은 일본이 몇백 대의 저품질 구식 항공기만을 보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존경받는 1941년 제인스 올 더 월드 에어크래프트(Janes All the World's Aircraft)는 일본이 구식 외국 및 국산 항공기 몇 대만 보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조종사도 과소평가되어 특별히 좋은 조종사가 될 것 같지 않다고 여겨졌다.[29]

12월 8일 침공 이전에 연합군은 북부 말라야에 75기, 싱가포르에 83기의 항공기를 배치했다. 북부 말라야의 유일한 전투기 비행대는 브루스터 버팔로 12대로 구성된 호주 왕립 공군 제21비행대였다.[30] 일본군은 최소 459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31]

일본 항공기 및 부대

[편집]
1942년 여름 페낭의 일본 항공기

마쓰나가 사다이치 부제독이 지휘하는 110기의 항공기로 구성된 일본 해군 제22항공전대사이공 근처의 3개 공군 기지에서 작전하며 말라야 초기 공습에 참여했다.[32][33][34]

제22항공전대는 겐잔 항공대, 비호로, 가노야 항공대(또는 고쿠타이)를 포함했다.[34] 이들은 33기의 96식 미쓰비시 G3M1 '넬' 폭격기를 장비했다. 또한 항공전대는 25대의 96식 미쓰비시 A5M4 '클로드'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었다.[35] 겐잔 항공대는 1941년 12월 10일 말라야 해안에서 영국 주력함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리펄스 침몰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전투 중 항공기 1대와 그 승무원을 잃었다. 1942년 1월 22일, 겐잔 항공대의 폭격기가 싱가포르칼랑 비행장을 공격했고, 이후 엔다우 해전을 포함한 말라야에서의 일본 공세에 공중 지원을 제공했다.

일본 제3비행집단제5비행집단의 3개 비행전대가 말라야 전역에 참여했다.[36] 총 354대의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 (IJAAS) 주력 항공기와 110대의 일본 제국 해군 항공대 (IJNAS) 항공기가 참여했다.[32] 육군 부대는 다양한 전투기(나카지마 Ki-27 네이트, 나카지마 Ki-43 오스카, 미쓰비시 Ki-51 소니아), 폭격기(가와사키 Ki-48 릴리, 미쓰비시 Ki-21 샐리, 미쓰비시 Ki-30 앤), 그리고 정찰기(미쓰비시 Ki-15 밥스, 미쓰비시 Ki-46 다이나)로 장비되었다.[35]

IJAAS 부대 대부분의 일본 조종사와 IJNAS 조종사의 최소 4분의 1은 중국군과 소련군에 맞서 전투 경험이 있었다. 그들은 모두 매우 잘 훈련되었다.[36]

연합군 항공기 및 부대

[편집]
1941년 2월 8일, 싱가포르 RAF 텡아에 일렬로 정렬된 제62비행대대브리스톨 블렌하임 폭격기

적대 행위 개시 전에 말라야와 싱가포르의 연합군은 4개 전투기 비행대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RAAF 21453, RAF 243, RNZAF 488 대대였다. 이들은 항공 역사가 댄 포드가 한심하다고 평가한 브루스터 F2A 버펄로로 장비되어 있었다.[37][38] 이 엔진은 연료 부족 문제와 높은 고도에서 과급기 성능이 좋지 않았다. 기동성이 좋지 않았고 엔진은 열대 기후에서 과열되는 경향이 있어 앞유리에 기름을 뿌렸다.[39] 운용 중에는 장갑판, 방탄 유리, 무전기, 건 카메라 및 기타 불필요한 장비를 제거하고 12.7 mm 기관총을 7.7 mm 기관총으로 교체하여 성능 향상을 시도했다.[40] 동체 연료탱크는 최소한의 연료만 채워졌고, 가능한 경우 고옥탄 항공 휘발유로 운행되었다.[37][38]

남은 공격용 항공기는 브리스톨 블렌하임 MkI 및 MKIV 경폭격기 4개 RAF 비행대대(27, 34, 60, 62 비행대대), 록히드 허드슨 2개 RAAF 비행대대(18), 비커스 빌데비스트 복엽 뇌격기 2개 RAF 비행대대(36100)로 구성되었다. 빌데비스트는 구식이었고 현대적인 브리스톨 보포트 뇌격기로 교체될 예정이었다. 36비행대대는 페어리 알바코어 복엽기를 일부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비행정 2대(205비행대대)와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 항공대 소속 카탈리나 3대가 싱가포르에 있었다.

비행대대는 부적절한 예비 부품과 지원 인력 부족, 임박한 공격에 대한 조기 경보 없이 항공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어려운 비행장, 명확하고 일관된 지휘 체계 부족, 육군 항공 연락 참모의 일본 스파이(히난), RAF와 RAAF 비행대대 및 요원 간의 적대감 등 수많은 문제에 시달렸다. 일본군은 정보원 네트워크를 통해 침공 전에 연합군 항공기의 전력과 배치를 알고 있었다.[39][41]

많은 조종사들이 충분한 훈련과 경험이 부족했다. 예를 들어, 1941년에 169대의 버팔로 중 20대가 훈련 사고로 손실되었다. 경험이 있는 전투기 조종사들은 독일과 이탈리아 전투기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훈련을 받았지만, 곡예 비행에 능한 일본 나카지마 Ki-43 "오스카" 및 미쓰비시 A6M "제로" 전투기에는 자살 행위였다. 클레어 셔놀트 중장이 이끄는 플라잉 타이거스가 '치고 빠지기' 공격으로 공중전을 피하는 반격 전술을 개발했지만, 이 전역에 참전한 연합군 조종사에게는 너무 늦었다.[42][43]

말라야 공격 이틀 전, RAAF 제1비행대대의 허드슨은 일본 침공 함대를 발견했지만 선박의 목적지가 불확실하고 우호적인 영토에 대한 공격이 시작될 때까지 공격 작전을 피하라는 지시가 있었기 때문에 로버트 브룩포팜 사령관은 호송선을 폭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44][45]

항공 작전

[편집]
제453비행대대 조종사들이 출격 명령에 응답하는 모습

첫날, 일본 공습의 초점은 연합군 비행장에 맞춰졌다. 제7히코단 소속 미쓰비시 Ki-21 샐리들이 알로르 스타르, 순가이 페타니, 버터워스 비행장을 폭격했다. 첫날 총 60대의 연합군 항공기가 손실되었으며, 주로 지상에서 파괴되었다.[30] 일본군과 교전한 연합군 전투기는 나카지마 Ki-27 "네이트"에 대해 적절한 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나카지마 Ki-43 "오스카"와 같이 현저히 우수한 기종을 포함하여 점점 더 많은 수의 일본 전투기가 나타나면서 버팔로 조종사는 공중과 지상 모두에서 압도당했다.

말라야에 상륙하는 일본군에 맞서 코타바루에 주둔한 RAAF 제1비행대대의 허드슨은 태평양 전쟁에서 최초로 공격을 감행하여 일본 수송선 아와지산마루를 침몰시키고, 코타바루 해안에서 아야토산마루와 사쿠라 마루를 손상시켰으며, 허드슨 2대를 잃었다 (현지 시간 01시 18분, 진주만 공격 한 시간 전). 이 비행대대는 다음날 쿠안탄으로 이전되었다.

12월 9일까지 일본 전투기는 태국의 싱고라와 파타니에서 작전하고 있었고, 코타바루 비행장은 일본군 수중에 있었다.[31] 연합군은 싱고라 비행장을 공격하려고 했다. 폭격기는 이륙 중에 일본군의 공습을 받아 한 대를 제외한 모든 폭격기가 파괴되거나 격추되었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폭격기인 아서 스카프가 조종하는 브리스톨 블렌하임은 싱고라를 폭격하는 데 성공했다.[46] 제62비행대대는 알로르 스타르에서 버터워스로 이동했고, 12월 10일에는 타이핑으로 이동했다.

12월 10일, RAAF 제21비행대대는 순가이 페타니에서 이포로 철수했으며, 12월 13일에는 RAAF 제453비행대대가 합류했다. 제453비행대대는 12월 10일 Z부대를 보호하기 위해 파견되었지만, 군함이 침몰한 후에야 도착했다. 12월 15일, 두 비행대대 모두 쿠알라룸푸르로 철수하여 격추되거나 파괴된 항공기를 대체할 항공기를 받았다. 전역 첫 주 이내에 일본군은 공중 우위를 확보했다. 12월 19일, 폭격기들은 싱가포르로 이동했으며, 제62비행대대는 허드슨으로 재장비되었다.

제453비행대대 소속 맬컴 네빌 리드 상사 한 명은 12월 22일 쿠알라룸푸르 상공에서 자신의 버팔로를 제64전대 소속 오스카에 충돌시켜 희생했다.[47][48]

계속되는 일본의 우세로 결국 두 비행대대는 12월 24일 싱가포르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고, 그곳에서 더 많은 교체 항공기를 확보할 때까지 부대가 한 데 합병되었다. 제64비행대대는 항공기가 바닥났고, 살아남은 지상 승무원과 항공병은 버마로 수송되었다. RAAF 제1비행대대와 제8비행대대는 항공기 손실로 인해 합병되었다. 이로 인해 연합 지상군과 선박은 공습에 완전히 노출되었고 방어 진지는 더욱 약화되었다.[49] 겐잔 항공대는 12월 10일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리펄스를 침몰시켜 일본의 해상 우위도 확립했다.[50] 이에 비해 일본 육군은 전역 초기부터 근접항공지원을 받았고, 항공 지원을 위한 기지 확보에 주력했다.[51]

12월 25일,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 항공대 제5비행대대 제2사단이 싱가포르에 배치되어 연합군을 지원했으며, 1월 18일 자와섬으로 소환되기 전까지 활동했다. 야코프 반 헬스딩겐아우구스트 데이벨을 포함한 여러 네덜란드 조종사는 칼랑 비행장에 주둔하는 동안 싱가포르 상공에서 여러 차례 공습에 대응했다. 이들은 말라야에서 제대로 활약하지 못한 나카지마 Ki-27 네이트를 포함하여 총 6대의 항공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1942년 1월 3일, 해체된 허리케인 Mk IIB 51대와 5개 비행대대의 핵심을 형성할 목적으로 그곳으로 전출된 조종사 24명(이들 중 다수는 영국 본토 항공전 참전 용사)이 싱가포르에 도착했다.[52] 제151정비대는 51대의 허리케인을 이틀 만에 조립했고, 이 중 21대가 사흘 만에 작전 준비를 마쳤다. 허리케인에는 동체 아래에 부피가 큰 '보케스' 먼지 필터가 장착되었고, 8개 대신 12개의 기관총으로 무장했다. 추가된 무게와 항력으로 인해 상승 속도가 느려지고 고도에서 기동성이 떨어졌지만, 폭격기 격추에는 더 효과적이었다.[53]

최근 도착한 조종사들은 제232비행대대를 편성했다. 또한 버팔로 비행대대인 제488 (뉴질랜드) 비행대대는 허리케인으로 기종을 변경했다. 1월 18일, 두 비행대대는 제226비행단의 기반을 형성했다. 다음날 제453비행대대는 5대의 위러웨이와 4대의 NEI 글렌 마틴 폭격기를 호위하여 무아르강에 있는 일본군을 공격했다. 모든 마틴기와 한 대의 위러웨이가 손실되었다.[54]

버팔로 전투기로 무장한 RAF 제243비행대대는 1월 21일에 해체되었고, 제232비행대대는 1월 22일, 겐잔 항공대가 칼랑 비행장을 공격한 같은 날 작전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제232비행대대는 그날 동남아시아에서 허리케인의 첫 손실과 승리를 기록했다.[55] 대부분의 폭격기는 1월 중순에 수마트라섬으로 이동했다.

1월 26일, 제36, 62, 100비행대대 소속 항공기들은 엔다우에 있는 일본 침공 함대를 공격했지만 실패했고, 큰 손실을 입었다. 살아남은 항공기들은 1월 31일 수마트라로 대피했다.[56]

1월 중순, 제5항공대 3개 전대는 버마 전역에 참여하기 위해 태국으로 돌아갔고, 제3항공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관심을 돌렸다.[36] 결국 60대 이상의 브루스터 항공기가 전투에서 격추되었고, 40대가 지상에서 파괴되었으며, 약 20대가 사고로 파괴되었다. 약 20대의 버팔로만이 인도나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도착할 수 있었다.[57] 싱가포르에서 마지막으로 비행 가능한 버팔로는 섬이 함락되기 5일 전인 2월 10일에 이륙했다.[58] RAAF와 RNZAF 전투기 비행대대는 2월 초에 수마트라와 자바로 떠났다.

버팔로 비행대대가 얼마나 많은 일본 항공기를 격추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RAAF 조종사들만 해도 최소 20대를 격추했다.[59] 총 80대가 격추되었다고 주장되었고, 격추 대 손실 비율은 1.3대 1에 불과했다. 또한 버팔로에 격추된 일본 항공기 대부분은 폭격기였다.[39] 1월 20일부터 싱가포르에서 버팔로와 함께 싸운 호커 허리케인도 지상 공격으로 심각한 손실을 입었으며, 대부분 파괴되었다.[60]

말레이반도 진격

[편집]
말라야 전역 지도

1941년 12월 11일 태국에서 남쪽으로 진격하는 전차의 지원을 받는 일본군에게 지트라 전투에서 연합군이 패배하고, 말라야 동북쪽 해안의 코타바루 교두보에서 일본군이 내륙으로 빠르게 진격하면서 북부 방어선은 밀려버렸다. 실질적인 해군력이 없었기 때문에 영국군은 말라야 해안에서 일본군의 해상 작전에 저항할 수 없었으며, 이는 침략자에게 귀중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남아있는 연합군 항공기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일본군은 하늘을 장악했고, 연합 지상군과 민간인은 공습에 노출되었다.[61]

말라야의 섬 페낭주는 12월 8일부터 일본군의 매일 폭격을 받았고, 12월 17일에 연합국이 포기했다. 무기, 보트, 보급품 및 작동하는 라디오 방송국은 일본군에게 서둘러 버려졌다. 페낭에서 유럽인이 대피하고 현지 주민이 일본군의 자비에 맡겨진 것은 영국에게 많은 굴욕을 안겨주었고, 현지 주민과의 관계를 소원하게 만들었다. 역사학계는 "동남아시아에서 영국 통치의 도덕적 붕괴는 싱가포르가 아니라 페낭에서 왔다"고 평가한다.[62] 그러나 대피 당시 현장에 있었던 많은 사람들은 이를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경험하지 않았다. 이는 당시 급변하는 군사 계획에서 페낭이 전술적 또는 전략적 가치가 없다고 결론 내린 영국 최고 사령부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63]

12월 23일, 인도 제11보병사단데이비드 머레이라이언 소장은 지휘관에서 해임되었으나 큰 효과는 없었다. 1월 첫째 주 말까지 말라야 북부 전역이 일본군에게 점령되었다. 동시에 태국은 일본 제국과 공식적으로 우호 조약을 체결하여 느슨한 군사 동맹을 완성했다. 태국은 일본군에게 북부 말라야의 여러 술탄국에 대한 주권을 재개할 수 있도록 허용받아 점령을 공고히 했다.

제11인도사단은 캄파르에서 일본군의 진격을 며칠 동안 지연시켰으며, 이 전투에서 일본군은 전차나 공중 우위를 사용하여 영국군을 물리칠 수 없는 지형에서 심각한 사상자를 냈다. 제11인도사단은 일본군이 캄파르 남쪽 해상으로 병력을 상륙시키자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영국군은 슬림강에 준비된 진지로 후퇴했다.[64]

슬림강 전투에서 인도 여단 두 개가 거의 전멸했는데, 일본군은 위험한 야간 공격에서 기습과 전차를 사용하여 엄청난 효과를 거두었다. 이 공격의 성공으로 퍼시벌은 제11인도사단을 제8오스트레일리아사단으로 교체해야 했고, 쿠알라룸푸르 시로 가는 길을 확보했다.

일본군이 다음 목표인 쿠알라룸푸르를 점령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일본군은 1942년 1월 11일 아무런 저항 없이 도시를 점령했다. 이제 침공하는 일본군은 싱가포르 섬에서 320 km도 채 안 되는 거리에 있었다.[65]

조호르 방어

[편집]
철수 중 쿠알라룸푸르 근처의 다리를 폭파할 준비를 하는 영국 육군 공병대

1월 중순까지 일본군은 남부 말라야의 조호르에 도달했으며, 1월 14일에는 캠페인에서 처음으로 고든 베넷 소장이 지휘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제8사단 병력과 조우했다. 호주군과의 교전에서 일본군은 게마스에서 호주군이 펼친 완강한 저항으로 인해 첫 번째 주요 전술적 실패를 겪었다. 게마스 전투게만체 교량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군에게 최대 600명의 사상자를 내면서 값비싼 대가를 치렀다. 그러나 (전투 중에 파괴되었던) 다리는 6시간 만에 복구되었다.[66]

일본군이 게마스 서쪽에서 호주군을 우회하려 시도하면서, 1월 15일 반도 서해안 무아르강 근처에서 말레이 전역 중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가 시작되었다. 베넷은 신설되어 훈련이 절반밖에 되지 않은 제45인도여단을 강 남쪽 제방 방어에 배치했지만, 이 부대는 일본군이 바다에서 상륙하면서 우회당했고, 준장 H. C. 던컨 여단장과 그의 3개 대대장이 모두 전사하면서 사실상 전멸했다.[66] 제45여단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었던 호주 보병 대대 두 개도 우회당하여 퇴각로가 차단되었고, 무아르 남동쪽 부킷 박리 마을 주변 전투에서 호주 대대장 중 한 명이 전사했다. 박리 전투 동안 호주 대전차포병들은 일본 전차 9대를 파괴하여[66] 일본군의 진격을 충분히 늦춰 다섯 대대 중 살아남은 병력이 무아르 지역에서 탈출을 시도할 수 있게 했다.[66]

찰스 앤더슨 호주 중령이 이끄는 살아남은 인도 및 호주 병력은 "무아르 부대"를 편성하여 필사적인 4일간의 철수 전투를 벌였고,[66] 북부 말라야에서 철수하는 영연방군 잔존병들이 차단당하는 것을 피하고 일본군을 뚫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무아르 부대가 파릿 술롱의 다리에 도달했을 때 다리가 적군 수중에 확고히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앤더슨은 늘어나는 사망자와 부상자를 보며 "각자 살길을 찾아라"라고 명령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용 펭에 있는 사단 본부를 찾아 정글, 늪, 고무 농장으로 도피했다. 부상자는 일본군의 자비에 맡겨졌고, 135명 중 두 명을 제외한 모두가 파릿 술롱 학살에서 고문당하고 살해당했다. 앤더슨은 전투 철수로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66] 무아르 전투로 연합군은 준장 1명과 대대장 4명을 포함하여 약 3,000명의 사상자를 냈다.[66]

1월 20일, 빌데비스트 폭격기의 공습에도 불구하고 엔다우에서 추가 일본군 상륙이 이루어졌다. 바투 파핫클루앙메르싱을 잇는 조호르의 최종 영연방 방어선은 이제 전면적으로 공격받고 있었다. 퍼시벌은 주임 공병인 아이번 심슨 준장의 반복적인 요청에도 불구하고 조호르와 싱가포르 북해안에 고정 방어 시설 건설을 거부했으며, "방어 시설은 사기 저하에 나쁘다"는 말로 일축했다. 1월 27일, 퍼시벌은 ABCD 사령부 사령관 아치볼드 웨이벌 장군으로부터 조호르 해협을 건너 싱가포르 섬으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릴 허가를 받았다.

싱가포르로의 철수

[편집]
연합군 철수 후 폭파된 제방의 모습. 중앙에 큰 틈이 보인다.

1월 31일, 마지막 조직적인 연합군이 말라야를 떠났고, 연합군 공병대는 조호르 제방과 싱가포르를 잇는 제방을 폭파시켜 20 m 너비의 구멍이 만들어졌다. 며칠 동안 몇몇 낙오자들이 걸어서 건너갔다. 싱가포르 민간인으로 위장한 일본군 습격자와 침투자는 곧바로 고무보트를 타고 조호르 해협을 건너기 시작했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말라야 전투는 영연방군에게 완패로 끝났고, 연합군은 말레이반도에서 싱가포르 요새로 철수했다. 이 전투 동안 거의 50,000명의 영연방군이 포로로 잡히거나 전사했다. 일본 육군은 2월 7일 싱가포르 섬을 침공하여 2월 15일 섬 정복을 완료하고 85,000명의 연합군 방어자 중 80,000명 이상을 포로로 잡았다. 항복 전 마지막 전투는 2월 14일 부킷 찬두에서 말레이 연대와 벌어졌다.

1월 말까지 히난은 일본군을 위해 스파이 활동을 한 혐의로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2월 13일, 싱가포르 섬 침공 닷새 후, 일본군이 도심에 접근하자 헌병대에 강가로 끌려가 급히 처형되었다. 그의 시신은 바다에 던져졌다.[67]

전역 기간의 전투 목록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참고주
  1. 싱가포르와 말레이 사이에서 일본군이 야전포 300문, 박격포 및 곡사포 180문, 대공포 100문, 요새포 54문, 1파운더 포 108문을 노획했으며 말레이 본토에서는 종류가 불분명한 포 330문을 추가로 노획했다. Kevin Blackburn, Karl Hack. "Did Singapore Have to Fall?: Churchill and the Impregnable Fortress". Routledge. 1 November 2003. Page 193 출처에서는 말레이 전역에서 25파운더 및 18파운더 포 225문을 노획했다고 기록했으나 이 수는 4.5인치3.7인치 곡사포와 75mm 야전포, 요새포는 제외한 수치이다. 74페이지에서는 싱가포르 전투에서 요새포를 포함한 영국군 포 226문이 노획되었다고 기록했다.
  2. 말라야에서 장갑차 50대가 노획되었고 싱가포르에서 200대가 노획당했으며 절대다수가 유니버설 캐리어 및 장갑차량이고 마크 VI 경전차 23대도 노획당했다.
  3. 싱가포르와 말레이반도에서 일본군이 트럭 1,800대와 자동차 및 기타 차량 13,600대를 노획했다.
출처주
  1. Kratoska 2018 pp 299
  2. Farrell, 2015
  3. Allen (2013) pp. 300-301.
  4. Sandhu 1987, p. 32.
  5. Allen (2013) pp. 300-301
  6. Farrell, 2015
  7. JM-54, "Malay Operations Record" p. 11. 612 Army and 187 Navy planes, of which 153 Army and 29 Navy planes were reserve. Retrieved 4/1/2022
  8. Allen, Louis. Singapore 1941–1942: Revised Edition, Routledge, 2013. p. 169
  9. Farrell, 2015
  10. Toland, John. The Rising Sun New York: The Modern Library, 2003. p. 272
  11. Farrell, 2015
  12. Farrell, 2015
  13. Akashi, Yoji (2010). 《General Yamashita Tomoyuki: Commander of the Twenty-Fifth Army》.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14. Smith, Colin (2006). 《Singapore Burning》. London: Penguin Books. ISBN 978-0141010366. 
  15. Roy, Kaushik (2019). 《Battle for Malaya: The Indian Army in Defeat, 1941-1942》. Open Road Integrated Media. 
  16. Akashi, Yoji (2010). 《General Yamashita Tomoyuki: Commander of the Twenty-Fifth Army in A Great Betrayal? The Fall of Singapore Revisited.》.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17. Farrell, 2015 pp 472–475
  18. Maechling, Charles. Pearl Harbor: The First Energy War. History Today. Dec. 2000
  19. Bayly/Harper, p. 110
  20. “Chapter 1: The Japanese Offensive in the Pacific”. 《www.history.army.mil》. 2012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21. “Japanese Invasion of Thailand Reported” (미국 영어). 《The New York Times》. 1941년 12월 8일. ISSN 0362-4331. 2023년 12월 3일에 확인함. 
  22. McIntyre, W. David (1979). 《The Rise and Fall of the Singapore Naval Base, 1919–1942》. Cambridge Commonwealth Series. London: MacMillan Press. 135–137쪽. ISBN 0-333-24867-8. OCLC 5860782. 
  23. Bayly/Harper, p. 107
  24. Elphick, Peter (2001년 11월 28일). “Cover-ups and the Singapore Traitor Affair”. 《Fall of Singapore 60th Anniversary Conference》. 201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Published online by Four Corner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2.
  25. Lebra, Joyce C. (1971), 《Japanese trained Armies in South-East Asia》, New York,Columbia University Press, 23–24쪽, ISBN 0-231-03995-6 
  26. New Perspectives on the Japanese Occupation in Malaya and Singapore 1941–1945, Yōji Akashi and Mako Yoshimura, NUS Press, 2008, page 30, ISBN 9971692996, 9789971692995
  27. “OPENING OF HOSTILITIES”. 2014년 12월 27일에 확인함. 
  28. L, Klemen (1999–2000). "Seventy minutes before Pearl Harbor" The landing at Kota Bharu, Malaya, on December 7th 1941”. 《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 2021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30일에 확인함. 
  29. The Imperial Japanese Navy Air Force in the Pacific War, Steve Lange, 1996, retrieved 1 May 2016
  30. C N Trueman, "The Attack on Malaya by Japan" historylearningsite.co.uk, 19 May 2015. 3 March 2016., retrieved 29 April 2016
  31. British and Japanese Military Leadership in the Far Eastern War - 1941-45 - Military History and Policy, Brian Bond, Routledge, 2012, page 141, ISBN 1136348832, 9781136348839
  32. The Fall of Malaya and Singapore: Rare Photographs from Wartime Archives Images of War, Jon Diamond, Pen and Sword, 2015, ISBN 1473854474, 9781473854475
  33. Japan's fatally flawed air forces in WW2, John W. Whitman, Aviation History, September 2006, retrieved 1 May 2016
  34. Kehn, Donald M. (2009). 《A Blue Sea of Blood: Deciphering the Mysterious Fate of the USS Edsall》. MBI Publishing Company. 90쪽. ISBN 978-1616732387. , 9781616732387
  35. Chant, Chris (1979). 《Japanese Air Service, Air Forces of WW1 and WW2》. Hamlyn Publishing Group. 179, 184쪽. 
  36. An introduction to the Japanese Army Air Force, Dan Ford, retrieved 3 May 2016
  37. Squadron Leader W.J. Harper, 1946, "REPORT ON NO. 21 AND NO. 453 RAAF SQUADRONS" (UK Air Ministry), p.1 (Source: UK Public Records Office, ref. AIR 20/5578; transcribed by Dan Ford for Warbird's Forum.) Access date: 8 September 2007
  38. “RAAF 21/453 Squadrons: the secret report”. 2007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27일에 확인함. 
  39. Rickard, J. "Brewster Buffalo in British Service." historyofwar.org, 27 June 2007. Retrieved: 6 September 2009.
  40. Gunston, Bill, The Illustrated Directory of Fighting Aircraft of World War II, Salamander Books, 1988. ISBN 0-86288-672-4.
  41. Harper 1946, pp. 1–2.
  42. Smith 2015, pp. 146–149.
  43. Spick 1997, p. 165.
  44. Gillison, Royal Australian Air Force, pp. 200–201
  45. Shores et al., Bloody Shambles Volume One, pp. 74–75
  46. “No. 37623” (Supplement). 《런던 가제트》. 1946년 6월 21일. 3211쪽. 
  47. “Notable Brewster Buffalo pilots in Southeast Asia, 1941–42”. 
  48. “Gallery”. 《Aeroprints: The Aviation Art of Jon Field》. 2010년 11월 23일에 확인함. 
  49. Milan Vego. Maritime Strategy and Sea Control: Theory and Practice. In Cass Series: Naval Policy and History. Routledge, 2016. page 229, ISBN 1317439848, 9781317439844
  50. Frank Owen. The Fall of Singapore. Penguin Books, 2001, ISBN 0-14-139133-2
  51. Thomas B. Buell, John H. Bradley, Jack W. Dice; Editor Thomas E. Griess. The Second World War: Asia and the Pacific. Volume 2 of The Second World War - West Point military history series.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 Department of History; Square One Publishers, Inc., 2002. ISBN 0757001629, 9780757001628. page 69
  52. Cull, Brian and Brian and Paul Sortehaug. Hurricanes Over Singapore: RAF, RNZAF and NEI Fighters in Action Against the Japanese Over the Island and the Netherlands East Indies, 1942 . London: Grub Street, 2004. ISBN 1-904010-80-6
  53. Shores 1992, p. 297.
  54. No. 453 Squadron (RAAF): Second World War, retrieved 6 May 2016
  55. "Your Planes and Your Work Defend Your Empire (Poster)." Imperial War Museum (Printer: Fosh and Cross Ltd, London). Retrieved: 17 November 2011.
  56. Clayton, Graham (2008). Last Stand in Singapore: The Story of 488 Squadron RNZAF. Auckland, New Zealand: Random House. ISBN 978-1-86979-033-2
  57. Huggins 2007, pp. 35–36.
  58. Stenman and Thomas 2010, p. 67.
  59. Dennis et al. 2008, p. 115.
  60. Wixey 2003, pp. 38–39.
  61. Griess, Thomas E.; Buell, Thomas B.; Bradley, John H.; Dice, Jack W. (2018년 10월 10일). 《The Second World War: Asia and the Pacific》. Square One Publishers, Inc. ISBN 9780757001628 – Google Books 경유. 
  62. Bayly/Harper, p. 119
  63. “Withdrawal from North Malaya”. 《fepow-community.org.uk》.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64. Rottman, Gordon L.; Takizawa, Akira (2011년 10월 20일). 《World War II Japanese Tank Tactics》. Elite 169. Osprey. ISBN 9781780961446. 2014년 12월 27일에 확인함. 
  65. Warren, Alan (January 2006). 《Britain's Greatest Defeat》. A&C Black. ISBN 9781852855970. 2014년 12월 27일에 확인함. 
  66. Wigmore, Lionel (1957). “The Japanese Thrust” (PDF). Australian War Memorial. 2009년 4월 17일에 확인함. 
  67. Elphick, Peter; Smith, Michael (1994). Odd Man Out, the Story of the Singapore Traitor (2nd ed.). Trafalgar Square. ISBN 9780340617014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