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잔치국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잔치국수
종류국물국수
원산지한국
음식 에너지
(서빙 기준)
[단위 변환: %s]%s

잔치국수, 국수장국, 온면(溫麵)은 밀가루로 만든 소면 종류의 국수를 멸치로 낸 국물에 말아서 만든 음식이다.[1]

재료

[편집]

잔치국수는 쇠고기다시마로 국물을 낼 수도 있다. 참기름, 간장, 마늘, , 고춧가루 등을 버무린 양념장과 함께 낸다. 국수 위에는 얇게 부친 달걀 지단과 , 호박 등을 고명으로 얹는다. 가정에서 간편히 만드는 음식이다.

이름

[편집]

잔치국수라는 이름은 잔치 때 먹는 음식이라는데서 나왔다.[2] 조선시대는 밀가루를 귀한 음식 재료로 여겨, 밀가루로 만드는 국수는 전통적으로 한국결혼식이나 생일잔치, 환갑잔치와 같은 행사에서 손님들에게 대접하던 음식이 되었다. 국수는 음식 가운데 긴 길이로 '장수'의 뜻을 담게 되었고, 결혼식 피로연에서도 신랑과 신부의 결혼 생활이 오래 이어지라고 기원하는 뜻도 담아 내놓았다. [3]

역사

[편집]

이름은 한국어 단어인 잔치(잔치, 문자적으로 "잔치" 또는 "연회")에서 유래하는데, 이 국수 요리가 한국 전역에서 결혼식 잔치, 생일 파티 또는 환갑 잔치와 같은 특별한 행사에서 먹었기 때문이다. 국수는 한국어로 "국수"를 의미하며, 국수는 삶과 결혼 생활의 장수를 상징한다.[4]

국수에 대한 기록은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동국이상국전집』 6권에는 시 구절에 국수가 언급되어 있고, 중국 송나라의 사신이 쓴 『고려도경』에는 고려에서는 밀이 귀하고 비쌌기 때문에 국수를 특별한 날에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국수의 가장 흔한 재료는 메밀이나 녹말이었다.[5]

대중문화

[편집]

국수는 전통적으로 결혼식에서 먹기 때문에, "언제 국수 먹여줄 거야?"라는 표현은 "언제 결혼할 거야?"라고 묻는 방식이며, 결혼식 날을 "국수 먹는 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5]

박근혜 탄핵 이후 많은 한국인들이 치킨과 잔치국수를 먹었고, 이는 한국 트위터에서 유행했다.[6][7]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쿠킹] 멸치·대파·양파로 우린 육수에 말아낸 추억의 잔치국수”. 《중앙일보》. 2021년 11월 12일. 2025년 9월 8일에 확인함. 
  2. “[윤덕노의 음식이야기]<29>잔치국수”. 《동아일보》. 2011년 4월 26일. 2025년 9월 8일에 확인함. 
  3. 이성희 (2008년 4월 21일). “장수를 기원하는 ‘잔치국수’”. 디트뉴스24. 2008년 7월 3일에 확인함. 
  4. 성희, 이 (2008년 4월 21일). 장수를 기원하는 '잔치국수'. 디트뉴스24. 2011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5. 장수의 의미 가진 '국수'. 《통일뉴스》. 2010년 5월 20일. 2011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6. 윤주, 정 (2017년 3월 10일). '잔치국수' 제공한 국회 식당에 평소 두 배 인원 몰려. 《YTN》. 2017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7. “South Koreans feel like chicken tonight after president's removal”. 《더 가디언》. 로이터. 2017년 3월 10일. 2017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잔치국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