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6년 8월) |
전기 동력 분산식 열차(電氣動力分散式列車, 영어: electric multiple unit, EMU)는 전기를 이용한 동력 분산식 열차이다. 줄여서 전동차(電動車, 주로 단거리 도시 통근형) 또는 전기 동차(電氣動車, 주로 중·장거리 여객 수송형)라고 부르기도 한다.
역사
[편집]다중 유닛 열차 제어는 1890년대에 처음 사용되었다. 리버풀 고가 철도는 1893년에 2량으로 구성된 전기 다중 유닛으로 개통되었으며, 양쪽 끝의 객차에 있는 제어기가 두 량의 전동기로 가는 견인 전류를 직접 제어하는 형식이었다.
다중 유닛 견인 제어 시스템은 프랭크 스프라그가 개발하여 1897년 사우스 사이드 고가 철도(현재 시카고 L 노선의 일부)에 처음 적용 및 시험되었다. 1895년, 프랭크 스프라그는 회사에서 직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발명하고 생산한 경험을 바탕으로 전기 열차 운행을 위한 다중 유닛 제어기를 발명하였는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전기 견인 철도와 트롤리 시스템의 구축을 가속화하였다. 열차의 각 객차에는 자체 견인 모터가 있다. 각 객차의 모터 제어 릴레이는 선두 객차의 열차선로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열차의 모든 견인 모터를 동시에 제어힐다.[1]
분류
[편집]동력장치와 운전대가 있는 차를 제어전동차(制御電動車, motor-car with controller, Mc), 동력장치만 있고 운전대는 없는 차를 중간전동차(中間電動車, intermediate motor-car, M), 운전대만 있고 동력장치는 없는 차를 제어차(制御車, control car, Tc), 운전대도 동력장치도 없는 차를 부수차(附隨車, trailer, T)라고 한다.[2] 그 밖에 집전장치가 설치된 동력차를 M', 보조전원장치(SIV)가 설치된 부수차를 T1 등으로 보다 상세히 나누기도 한다.[출처 필요]
세계의 전기 동차
[편집]대한민국
[편집]대한민국의 전기 동력 분산식 열차로 우등형 전기 동차·공항철도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등을 들 수 있다. 2009년 6월 1일에는 우등형 전기 동차 운행 중단 8년 만에 간선급 여객 전동차인 간선 전기 동차가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또한 최초의 국산화 틸팅열차인 한국형 틸팅열차가 개발되어 여러 간선구간에서 시운전을 진행하였다.
대한민국의 전기동차 운행 현황 편성기준으로 작성. (취소선 : 운행 중지), (기울임꼴 : 도입예정)
| 형태 | 종류 | 비고 | 사용 기간 | 생산량 | 잔존량 |
|---|---|---|---|---|---|
| 고속형 | KTX | 1997~2034 | 920 | 920 | |
| KTX-산천 | 2009~ | 710 | 709 | ||
| KTX-이음 | 2019.11~ | 198 | 114 | ||
| KTX-청룡 | 2024~ | 19 | 2 | ||
| 일반 간선형 | 1980~2001 | 20 | 0 | ||
| TEC | 200000호대 전동차
(누리로) |
2008~ | 32 | 28 | |
| 210000호대 전동차
(ITX-새마을) |
2013~ | 138 | 138 | ||
| 220000호대 전동차
(ITX-마음) |
2023~ | 128 | 128 | ||
| 368000호대 | ITX-청춘 | 2011~ | 64 | 64 | |
| 인천공항철도 직통열차 | 1000호대(AREX) | 2006~ | 6 | 6 | |
| A000호대 | 2023~ | 120 | 120 | ||
|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도시철도형 |
1974.4~2004 | 41 | 0 | ||
| 1987~2017 | 32 | 0 | |||
| 1994~2020 | 12 | 0 | |||
| 1985~2006 | 9 | 0 | |||
| 3000호대 | 1995~2024 | 27 | 0 | ||
| 2세대 | 2022~ | 8 | 8 | ||
| 3세대 | 2022~ | 8 | 8 | ||
| 311000호대 | 1세대 | 1996~2028 | 41 | 6 | |
| 2세대 | 2002~ | 24 | 24 | ||
| 3세대 | 2005~ | 29 | 28 | ||
| 4세대 | 2016~ | 9 | 9 | ||
| 5세대 | 2019~ | 12 | 12 | ||
| 6세대 | 2022~ | 41 | 41 | ||
| 319000호대 | 1997~2020 | 10 | 8 | ||
| 321000호대 | 2006~ | 21 | 20 | ||
| 331000호대 | 2009~ | 28 | 28 | ||
| 341000호대 | 1993~2023 | 25 | 0 | ||
| 1999~2024 | 5 | 0 | |||
| 3세대 | 2019~ | 7 | 7 | ||
| 4세대 | 2021~ | 23 | 23 | ||
| 351000호대 | 1993~2024 | 22 | 0 | ||
| 2세대 | 2003~2028 | 6 | 6 | ||
| 3세대 전기(前) | 2011~ | 27 | 27 | ||
| 3세대 후기(後) | 2017~ | 6 | 6 | ||
| 4세대 후기(後) | 2021~ | 22 | 22 | ||
| 361000호대 | 1세대 | 2010~ | 15 | 14 | |
| 2세대 | 2024 | 2 | 2 | ||
| 371000호대 | 2016~ | 12 | 12 | ||
| 381000호대 | 1세대 | 2016~ | 10 | 10 | |
| 2세대 | 2018~ | 7 | 7 | ||
| 391000호대 | 1세대 | 2017~ | 7 | 7 | |
| 2세대 | 2021~ | 10 | 10 | ||
| 392000호대 | 2023~ | 18 | 18 | ||
| 393000호대 | 2025~ | 16 | 16 | ||
|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형 |
1000호대 저항제어 | 1974.4~2002 | 16 | 0 | |
| 개조분 | 1989.4~2028 | 6 | 6 | ||
| 1000호대 VVVF | 1998.10~2029 | 10 | 10 | ||
| 1980~2007 | 14 | 0 | |||
| 1990~2022 | 5 | 0 | |||
| 1983~2008 | 25 | 0 | |||
| 1989~2020 | 14 | 0 | |||
| 1990~2020 | 8 | 0 | |||
| 1983~2009 | 15 | 0 | |||
| 1985~2020 | 17 | 0 | |||
| 1994~2020 | 3 | 0 | |||
| 1991~2020 | 5 | 0 | |||
| 2000호대 VVVF | 1세대 | 2005.2~ | 84 | 84 | |
| 1984~2010 | 42 | 0 | |||
| 1990~2022 | 6 | 0 | |||
| 1990~2022 | 9 | 0 | |||
| 3000호대 VVVF | 1세대 | 2009~ | 49 | 49 | |
| 2세대 | 2023~ | 15 | 15 | ||
| 4000호대 | 1세대 | 1993~2027 | 73 | 8 | |
| 2세대 | 2020~ | 52 | 34 | ||
| 5000호대 | 1세대 | 1994~ | 105 | 62 | |
| 2세대 | 2018~ | 80 | 29 | ||
| 6000호대 | 1999~ | 41 | 41 | ||
| 7000호대 | 1세대 | 1996~ | 89 | 2 | |
| 2세대 | 1999~2000 | 46 | 46 | ||
| 8000호대 | 1세대 | 1995~ | 29 | 29 | |
| 2세대 | 2023~ | 9 | 9 | ||
| SR000호대 | 2010~ | 7 | 7 | ||
| 서울시메트로 9호선
도시철도형 |
9000호대 | 2008~ | 45 | 45 | |
| 인천교통공사
도시철도형 |
1000호대 | 1세대 | 1998~ | 34 | 34 |
| 2세대 | 2025~ | 1 | 1 | ||
| 인천교통공사
경전철형 |
2000호대 | 1세대 | 2012~ | 37 | 37 |
| 2세대 | 2021~ | 6 | 6 | ||
| 공항철도 광역철도형 | 1000호대 | 2006~ | 6 | 6 | |
| 공항철도 광역철도형 | 2000호대 | 2005~ | 22 | 22 | |
| 신분당선
도시&광역철도형 |
D000호대 | 2010~ | 23 | 23 | |
| 우이신설
경전철형 |
UL000호대 | 2015~ | 18 | 18 | |
| 의정부
경전철형 |
U100호대 | 2012~ | 15 | 15 | |
| 용인
경전철형 |
Y100호대 | 2008~ | 30 | 30 | |
| 김포골드라인
경전철형 |
1000호대 | 2017~ | 26 | 26 | |
| 부산교통공사
도시철도형 |
1000호대 | 1세대 | 1984~2027 | 45 | 12 |
| 2세대 | 2015~ | 19 | 19 | ||
| 3세대 | 2024~ | 34 | 19 | ||
| 2000호대 | 1세대 | 1997~ | 56 | 51[3] | |
| 3000호대 | 2004~ | 20 | 20 | ||
| 부산교통공사
경전철형 |
4000호대 | 2008~ | 17 | 17 | |
| 부산-김해경전철형 | 1000호대 | 1세대 | 2009~ | 25 | 25 |
| 대구교통공사
도시철도형 |
1000호대 | 1세대 | 1996~ | 36 | 34 |
| 2000호대 | 2004~ | 30 | 30 | ||
| 대구교통공사
경전철형 |
3000호대 | 모노레일 방식 | 2015~ | 28 | 28 |
| 광주교통공사
도시철도형 |
1000호대 | 2002~ | 23 | 23 | |
| 대전교통공사
도시철도형 |
1000호대 | 2004~ | 21 | 21 | |
| 합계 | 1,803 | ||||
일본
[편집]일본은 거의 대부분의 철도 회사가 전동차 혹은 디젤 동차를 주로 사용한다. 객차형 열차는 거의 없다.
사진
[편집]-
1127호 차량 실내 1
-
1127호 차량 실내 2
-
349편성 차량 실내 1
-
349편성 차량 실내 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Frank Sprague (1902년 1월 18일). “Mr Sprague answers Mr Westinghouse”. 《The New York Times》. 2012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구보다 히로시 (2002). 《철도공학핸드북》. 서울: 골든벨. 186쪽. ISBN 9788979714074.
- ↑ 일부차량 휴차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