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상과: 긴꼬리원숭이상과
과: 긴꼬리원숭이과
아과: 콜로부스아과
속: 잎원숭이속
종: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
(P. melalophos)
학명
Presbytis melalophos
(Raffles, 1821)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의 분포

말레이반도/수마트라섬의 잎원숭이 분포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Presbytis melalophos)는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하나이다.[2] 수마트라잎원숭이 또는 수마트라수릴리로도 불린다. 인도네시아의 고유종이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건조 기후 지역의 숲이다.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1] 검은수마트라랑구르흑백랑구르, 사라왁잎원숭이, 띠잎원숭이, 남부볏랑구르는 예전에 수마트라잎원숭이의 아종으로 간주했다.[3][4]

분류학

[편집]

잎원숭이는 빙하기 동안 해수면 변동으로 인해 상당한 다양성을 보였다. 오늘날 수많은 종과 아종이 알려져 있어 정확한 체계적 분류가 어렵다.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는 1821년 영국 탐험가 토마스 스탬포드 래플스가 Simia melalophos로 기술했지만, 1970년대까지 띠잎원숭이와 별개의 종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가이스만(Geissmann, 2003) 등의 일부 분류학에서는 수마트라랑구르를 색상 형태에 따라 노랑과 갈색, 회색, 붉은 수마트라랑구르의 네 종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사용된 분류는 세계 포유류 핸드북(2013)을 따르며 검은볏랑구르(P. sumatrana), 흑백볏랑구르(P. bicolor), 남부볏랑구르(P. mitrata)를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와 다른 종으로 인정한다.[5][6]

특징

[편집]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는 모든 잎원숭이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작고 가느다란 영장류로 긴 뒷다리와 긴 꼬리를 가지고 있다.수컷은 5.9~9kg, 암컷은 5.2~8.9kg이다. 랑구르의 머리부터 몸통까지 몸길이는 수컷이 약 34~40cm, 암컷은 26~40cm이고 꼬리 길이는 68~86cm이다. 수마트라잎원숭이는 상당한 색상 변이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등과 팔과 다리의 바깥쪽, 꼬리의 윗부분은 붉은 주황색이고 팔과 다리의 아랫면과 안쪽은 흰색, 노란색 또는 밝은 주황색이다. 손과 발은 주황색이다. 머리의 털 뭉치 끝과 털이 없는 얼굴 피부는 검은색이다. "노빌리스(nobilis)로 알려진 모프는 여우색이고, "페루기네아(ferruginea)" 모프는 빨간색보다 갈색이 더 많다. 모프 "아우라타(aurata)"는 가슴에 검은 반점이 있고, 꼬리 끝은 흰색이며, 손과 발은 검은색이다. 팔렘방에서 발견된 또 다른 모프는 "플루비아틸리스(fluviatilis)"라고 불리며, 매우 옅은 색을 띤다.[5][6]

생활사

[편집]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는 주행성 동물이자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목형 동물이다. 네 발로 움직이거나 뛰어서 이동한다. 5~8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보통 수컷 한 마리, 암컷 여러 마리 그리고 그들의 새끼로 구성된다. 그러나 여러 마리의 수컷으로 이루어진 무리나, 모두 수컷으로만 이루어진 "독신 무리"도 있다. 수마트라랑구르는 초식 동물로, 주로 잎을 먹지만, 덜 익은 과일과 꽃, 씨앗도 먹는다. 다른 랑구르와 마찬가지로 소화를 돕기 위해 여러 개의 방이 있는 를 가지고 있다.[5][6]

먹이

[편집]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는 과실과 잎을 먹는 과식성 동무이다. 섭취량의 50~60%는 과일이며, 나머지는 잎과 때때로 씨앗, 꽃으로 구성된다. 앞창자가 비대해져 미생물 발효 능력을 갖추고 있다.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는 최대 197종의 나무를 먹으며, 다 자란 잎보다 새 잎을 더 선호한다.[7]

포식자

[편집]

검은볏수마트라랑구르의 주요 포식자로는 비단뱀속 뱀과 관수리를 포함한 맹금류다.[7]

각주

[편집]
  1. Nijman, V.; Setiawan, A.; Traeholt, C.; Manullang, B (2020). Presbytis melalophos.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e.T39811A17954271. doi:10.2305/IUCN.UK.2020-2.RLTS.T39811A17954271.en. 2025년 7월 16일에 확인함. 
  2.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3판 (영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71-172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3. “Presbytis mitrata”. 미국 포유류학회(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20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8일에 확인함. 
  4. Meyer, Dirk; Rinaldi, Ir. Dones; Ramlee, Hatta; Perwitasari-Farajallah, Dyah; Hodges, Keith; Roos, Christian (2011). “분류학 및 보존에 대한 의미를 지닌 잎원숭이(Presbytis, Eschscholtz, 1821)의 미토콘드리아 계통학”. 《분자 계통학 및 진화(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9 (2): 311–319. Bibcode:2011MolPE..59..311M. doi:10.1016/j.ympev.2011.02.015. PMID 21333742. 202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5. Thomas Geissmann (2003). 《비교 영장류학(Vergleichende Primatologie)》 (독일어). 베를린: 스프링거 출판사. ISBN 3-540-43645-6. 
  6. Don E. Wilson, DeeAnn M. Reeder (2005).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대학교 출판부. ISBN 0-8018-8221-4. 
  7. Presbytis melalophos (mitred leaf monkey). 동물 다양성 웹. https://animaldiversity.org/accounts/Presbytis_melaloph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