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
보이기
![]() | |
---|---|
![]() 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상과: | 긴꼬리원숭이상과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아과: | 콜로부스아과 |
속: | 잎원숭이속 |
종: | 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 (P. robinsoni) |
학명 | |
Presbytis robinsoni | |
Thomas, 1910 | |
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의 분포 지역 | |
![]() 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Presbytis robinsoni)는 로빈슨띠랑구르 또는 로빈슨띠수릴리라고도 불리며,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원숭이 종이다. 이전에는 띠잎원숭이의 아종으로 간주했지만, 유전자 분석 결과 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는 띠잎원숭이와 다른 몇몇 잎원숭이속 종과 마찬가지로 서로 더 가깝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2][3][4][5] 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는 버마 남부와 태국을 포함한 말레이 반도 북부에 서식한다.[6] IUCN은 로빈슨줄무늬잎원숭이를 준위협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각주
[편집]- ↑ 가 나 Ang, A.; Boonratana, R.; Nijman, V. (2021). “Presbytis robinsoni”. 《IUCN 적색 목록》 (IUCN): e.T39806A205875703. doi:10.2305/IUCN.UK.2021-3.RLTS.T39806A205875703.en.
- ↑ Ang, A.; Roesma, D.I.; Nijman, V.; Meier, R.; Srivathsan, A.; Rizaldi (2020). “Faecal DNA to the rescue: Shotgun sequencing of non-invasive samples reveals two subspecies of Southeast Asian primates to be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Scientific Reports》 10 (1): 9396. Bibcode:2020NatSR..10.9396A. doi:10.1038/s41598-020-66007-8. PMC 7287133. PMID 32523128.
- ↑ Abdul-Latiff MAB; Baharuddin H; Abdul-Patah P; Md-Zain BM (2019). “Is Malaysia's banded langur, Presbytis femoralis femoralis, actually Presbytis neglectus neglectus? Taxonomic revision with new insights on the radiation history of the Presbytis species group in Southeast Asia.” (PDF). 《Primates》 60 (1): 63–79. doi:10.1007/s10329-018-0699-y. PMID 30471014. S2CID 53712933. 2021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9일에 확인함.
- ↑ Nuwer, Rachel (2020년 6월 22일). “New monkey species found hiding in plain sight”. National Geographic. 2020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Presbytis”. ITIS.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 Ang, A.; Boonratana, R.; Nijman, V. (2022). “Presbytis femoralis”. 《IUCN 적색 목록》 (IUCN): e.T39801A215090780. doi:10.2305/IUCN.UK.2022-1.RLTS.T39801A215090780.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