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마트라잎원숭이
보이기
![]() | |
---|---|
![]() 수마트라잎원숭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상과: | 긴꼬리원숭이상과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아과: | 콜로부스아과 |
속: | 잎원숭이속 |
종: | 수마트라잎원숭이 (P. melalophos) |
학명 | |
Presbytis melalophos | |
(Raffles, 1821) | |
수마트라잎원숭이의 분포 지역 | |
![]() 수마트라잎원숭이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수마트라잎원숭이 또는 수마트라수릴리(Presbytis melalophos)는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하나이다.[2] 인도네시아가 원산지이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건조 기후 지역의 숲이다.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1]
검은수마트라랑구르와 흑백랑구르, 사라왁잎원숭이, 띠잎원숭이, 남부볏랑구르는 예전에 수마트라잎원숭이의 아종으로 간주했다.[3][4]
각주
[편집]- ↑ 가 나 Nijman, V.; Setiawan, A.; Traeholt, C.; Manullang, B (2020). “Presbytis melalophos”.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e.T39811A17954271. doi:10.2305/IUCN.UK.2020-2.RLTS.T39811A17954271.en. 2025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3판 (영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71-172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Presbytis mitrata”.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20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8일에 확인함.
- ↑ Meyer, Dirk; Rinaldi, Ir. Dones; Ramlee, Hatta; Perwitasari-Farajallah, Dyah; Hodges, Keith; Roos, Christian (2011). “Mitochondrial phylogeny of leaf monkeys (genus Presbytis, Eschscholtz, 1821) with implications for taxonomy and conservation”.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9 (2): 311–319. Bibcode:2011MolPE..59..311M. doi:10.1016/j.ympev.2011.02.015. PMID 21333742. 2020년 10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