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러랑구르
![]() | |
---|---|
![]() 밀러랑구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상과: | 긴꼬리원숭이상과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아과: | 콜로부스아과 |
속: | 잎원숭이속 |
종: | 밀러랑구르 (P. canicrus) |
학명 | |
Presbytis canicrus | |
Miller, 1934 | |
밀러랑구르의 분포 지역 | |
![]() 밀러랑구르의 분포 지역(연두색) | |
보전상태 | |
|
밀러랑구르(Presbytis canicrus)는 밀러회색랑구르 또는 쿠타이회색랑구르라고도 불리는 잎원숭이의 일종이다.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 동칼리만탄 고유종이다.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 중 하나이며,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2012년에 재발견되었다.
분류
[편집]밀러랑구르는 긴꼬리원숭이과 콜로부스아과에 속하는 잎원숭이이다.[2] 이전에는 호세랑구르의 아종으로 간주되었다.[3][2][4][5] 영장류학자 콜린 그로브스와 크리스찬 루스에 의해 형태적 차이를 근거로 밀러랑구르와 호세랑구르를 분리했다.[3][6]
분포 및 서식지
[편집]밀러랑구르는 인도네시아 동칼리만탄주 보르네오 섬의 고유종이다.[1] 해발 약 1,000미터까지의 딥테로카르프스 열대우림에 서식한다.[6]
특징
[편집]밀러랑구르는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가 48cm부터 56cm 사이이며, 꼬리 길이는 65cm에서 84cm 사이이다.[4] 수컷 몸무게는 6kg부터 7kg, 암컷 몸무게는 5.5kg에서 6kg 사이이다.[4] 등털은 회색이며 회색빛을 띠고, 배털은 희끄무레하다.[4] 얼굴 윗부분은 검은색이고 아랫부분은 희끄무레하며, 희끄무레한 부분은 코 아래에서 U자 모양을 이룬다. 머리 꼭대기에는 갈색 왕관이 있다.[4][7] 새끼는 흰색이며 등에 검은색 십자가가 있다.[6]
서식지
[편집]밀러랑구르의 먹이 대부분은 어린 잎과 잎싹에서 나오며, 그 다음으로 중요한 식량은 익지 않은 과일이다.[4] 또한 알과 씨앗, 꽃과 같은 다른 품목도 섭취한다.[4] 일반적으로 성체 수컷 한 마리를 포함하여 5~12마리의 동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생활하며, 평균 그룹 크기는 8마리이다.[4][6] 비그룹 수컷은 단독으로 생활한다.[4] 마룬잎원숭이와 흰이마수릴리라는 잎원숭이속 다른 두 잎원숭이와 동소적 종분화를 보인다.[6]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마룬잎원숭이와 함께 소금 핥기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주행성 동물로, 숲의 임관층 중간층부터 상층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4]
보존 상태
[편집]밀러랑구르는 서식지 감소와 파편화, 사냥으로 인해 IUCN에 의해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 보르네오에서 가장 희귀한 영장류 중 하나이다. 정보가 부족하여 여러 차례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8] 2012년, 국제 과학자팀이 보르네오 동칼리만탄의 웨헤아 숲에서 밀러랑구르를 재발견하여 멸종설을 반박했다.[8][9] 웨헤아 숲은 이전에 밀러랑구르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던 곳(주로 웨헤아 남쪽의 쿠타이 국립공원) 밖에 있다.[9][7] 과학자들은 광물 표본과 카메라를 이용하여 밀러랑구르가 아직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이전에는 사진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사진만으로는 식별에 어려움을 겪었다.[9] 동칼리만탄 중부 해안에서 쿠타이 국립공원에 이르는 지리적 분포 범위에 국한된 이 종은 고유종이자 매우 취약한 영장류로 여겨진다. 전문가들은 삼림 벌채와 위석 채취를 위한 과도한 사냥, 그리고 식량원 확보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이 종이 가까운 미래에 멸종될 것으로 추정한다.[10] 일부 동물의 소화관에서 발견되는 매끄럽고 단단한 광물 침전물인 위석은 행운의 부적으로 사용되며 일부 독을 중화하는 능력으로 알려져 있지만 소수의 원숭이에서만 발생한다.[7] 밀러랑구르는 인도네시아 법에 따라 보호를 받고 있지만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학명인 P. aygula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법적 보호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4]
각주
[편집]- ↑ 가 나 다 Cheyne, S.; Setiawan, A.; Traeholt, C. (2021). “Presbytis canicrus”. 《IUCN 적색 목록》 (IUCN) 2021: e.T39808A200247353. doi:10.2305/IUCN.UK.2021-2.RLTS.T39808A200247353.en. 2025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Presbytis canicrus Miller, 1934”. ITIS. 2025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Presbytis canicru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20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Nijman, Vincent (2016). Rowe, Noel; Myers, Marc (편집). 《All the World's Primates》. Pogonias Press. 556–557쪽. ISBN 9781940496061.
- ↑ Groves, C.P. (2005). 〈Order Primates〉 [영장목]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7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다 라 마 Groves, Colin; Roos, Christian (2013). Mittermeier Russell A.; Rylands, Anthony B.; Wilson, Don E. (편집). 《Handbook of Mammals of the World: Volume 3》. Lynx Edicions. 716–717쪽. ISBN 978-8496553897.
- ↑ 가 나 다 라 Phillipps, Quentin; Phillipps, Karen (2016). 《Phillipps'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Borneo》.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4–165쪽. ISBN 9780691169415.
- ↑ 가 나 “"Rare Miller's Grizzled Langur Rediscovered in Borneo"”. ScienceDaily. 2012년 1월 23일. 2025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Extinct' monkey still lives in Borneo" 2012년 1월 20일 CBC.ca
- ↑ Lhota, S.; Loken, B.; Spehar, S.; Fell, E.; Pospěch, A.; Kasyanto, N. (2012). “Discovery of Miller's Grizzled Langur (Presbytis hosei canicrus) in Wehea Forest Confirms the Continued Existence and Extends Known Geographical Range of an Endangered Primate”.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74 (3): 193–198. doi:10.1002/ajp.21983. PMID 24006537. S2CID 199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