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빠랑구르
보이기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속: | 루뚱원숭이속 |
종: | 뽀빠랑구르 (T. popa) |
학명 | |
Trachypithecus popa | |
Roos et al., 2020 | |
뽀빠랑구르의 분포 지역 | |
![]() 뽀빠랑구르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뽀빠랑구르(Trachypithecus popa)는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루뚱원숭이의 일종이다. 미얀마에만 서식하며, 100마리의 원숭이가 서식하는 뽀빠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2] 야생 개체군이 200~250마리로 추정되어 IUCN 적색목록에 절멸위급종으로 등재되어 있다.[1]
분류학
[편집]뽀빠랑구르는 2020년 야생이 아닌 실험실 환경에서 발견되었다. 뽀빠랑구르와 같은 속의 다른 종들의 분류학적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계통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과학자들은 야생 랑구르의 배설물 샘플과 박물관 표본의 조직 샘플을 사용했다.[3]
유전자 분석과 더불어, 이번 발견은 뽀빠랑구르와 런던 자연사박물관이 소장한 페이어랑구르 표본을 비교하는 작업도 포함했다. 조사 결과, 뽀빠랑구르와 페이어잎원숭이의 피부, 두개골, 그리고 색깔에 미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특징
[편집]뽀빠랑구르는 짙은 갈색 또는 회갈색 등, 흰색 배, 검은색 손과 발을 가지고 있다. 눈 주위와 주둥이에는 뚜렷한 흰색 고리가 있다. 몸무게는 약 8kg이다.[2]
분포 및 서식지
[편집]뽀빠랑구르는 미얀마 중부와 주로 뽀빠산 주변에 서식한다.[4]
보전상태
[편집]뽀빠랑구르는 사냥과 서식지 파괴, 서식지 파편화로 위협받고 있다.[2][1]
각주
[편집]- ↑ 가 나 다 Matauschek, C.; Meyer, D.; Lwin, N.; Ko Lin, A.; Lin, A.; Momberg, F.; Roos, C. (2022). “Trachypithecus popa”. 《IUCN 적색 목록》 (IUCN): e.T196344474A196344962. doi:10.2305/IUCN.UK.2022-1.RLTS.T196344474A196344962.en. 2025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Roos, Christian; Helgen, Kristofer M.; 외. (2020). “Mitogenomic phylogeny of the Asian colobine genus Trachypithecus with special focus on Trachypithecus phayrei (Blyth, 1847) and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Zoological Research》 41 (6): 656–669. doi:10.24272/j.issn.2095-8137.2020.254. ISSN 2095-8137. PMC 7671912. PMID 33171548.
- ↑ Roos, Christian; Liedigk, Rasmus; Thinh, Van Ngoc; Nadler, Tilo; Zinner, Dietmar (2019). “The hybrid origin of the Indochinese Gray Langur Trachypithecus crepusculus”.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tology》 40 (1): 9–27. doi:10.1007/s10764-017-0008-4. S2CID 11460634.
- ↑ 가 나 “New species of monkey is already critically endangered”. 《www.nhm.ac.uk》 (영어). 2028년 8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