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방부 장관
국방부 로고
국방부 장관의 기
현직
안규백
2025년 7월 25일 취임
임명자대통령
초대 재임자이범석
형성1948년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대한민국 국방부의 수장으로 국무위원으로 보한다. 국방부 장관은 국무위원 서열 7위에 해당한다.

역사

[편집]

국방부 장관의 역사는 국방부의 역사에 따른다.

국방부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설립되면서 발족하였다. 이에 건국 직후 당시부터 국방부 장관이 임명되었으며 국방부의 수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일반적으로 국방부 장관은 육해공군 대장 출신의 예비역 군인으로 보했다. 대한민국 제2공화국 당시 현석호, 권중돈 장관이 민간인으로서 국방부 장관에 올랐으나 5.16 군사정변 이후에는 예비역 군인이 국방부 장관을 맡았다. 하지만 2025년, 안규백이 64년만에 민간인 출신으로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면서 이러한 흐름이 깨지게 되었다.[1]

임명

[편집]

국방부장관을 포함한 대한민국의 장관은 헌법 상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정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2]

국무위원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3] 임명 이전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치게 된다.[4]

국회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으며 이 때 해임건의는 국회의원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에 의하여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필요로 한다.[5] 또한 국무총리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6]

역할

[편집]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1.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에 따라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2. 정부조직법 제33조제1항에 따라 국방부장관은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3. 국군조직법 제8조에 따라 국방부장관은 대통령의 명을 받아 군사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고 합동참모의장과 각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역대 국방부 장관(1948~)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이범석 1948년 8월 15일 1949년 3월 20일 제1공화국
제2대 신성모 1949년 3월 21일 1951년 5월 5일
제3대 이기붕 1951년 5월 7일 1952년 3월 29일
제4대 신태영 1952년 3월 29일 1953년 6월 30일
제5대 손원일 1953년 6월 30일 1956년 5월 26일
제6대 김용우 1956년 5월 26일 1957년 7월 6일
제7대 김정렬 1957년 7월 16일 1960년 2월 6일
제8대 이종찬 1960년 2월 6일 1960년 8월 23일
제9대 현석호 1960년 8월 23일 1960년 9월 12일 제2공화국
제10대 권중돈 1960년 9월 12일 1961년 1월 30일
제11대 현석호 1961년 1월 30일 1961년 5월 18일
제12대 장도영 1961년 5월 20일 1961년 6월 6일
제13대 송요찬 1961년 6월 12일 1961년 7월 10일
제14대 박병권 1961년 7월 10일 1963년 3월 16일
제15대 김성은 1963년 3월 16일 1968년 2월 27일 제3공화국
제16대 최영희 1968년 2월 28일 1968년 8월 5일
제17대 임충식 1968년 8월 5일 1970년 3월 10일
제18대 정래혁 1970년 3월 10일 1971년 8월 25일
제19대 유재흥 1971년 8월 25일 1973년 12월 3일 제4공화국
제20대 서종철 1973년 12월 3일 1977년 12월 20일
제21대 노재현 1977년 12월 20일 1979년 12월 14일
제22대 주영복 1979년 12월 14일 1982년 5월 21일
제23대 윤성민 1982년 5월 21일 1986년 1월 8일 제5공화국
제24대 이기백 1986년 1월 8일 1987년 7월 14일
제25대 정호용 1987년 7월 14일 1988년 2월 25일
제26대 오자복 1988년 2월 25일 1988년 12월 4일 노태우 정부
제27대 이상훈 1988년 12월 4일 1990년 10월 8일
제28대 이종구 1990년 10월 8일 1991년 12월 20일
제29대 최세창 1991년 12월 20일 1993년 2월 26일
제30대 권영해 1993년 2월 26일 1993년 12월 22일 김영삼 정부
제31대 이병태 1993년 12월 22일 1994년 12월 24일
제32대 이양호 1994년 12월 24일 1996년 10월 18일
제33대 김동진 1996년 10월 18일 1998년 3월 3일
제34대 천용택 1998년 3월 3일 1999년 5월 24일 김대중 정부
제35대 조성태 1999년 5월 24일 2001년 3월 26일
제36대 김동신 2001년 3월 26일 2002년 7월 12일
제37대 이준 2002년 7월 12일 2003년 2월 27일
제38대 조영길 2003년 2월 27일 2004년 7월 29일 노무현 정부
제39대 윤광웅 2004년 7월 29일 2006년 11월 24일
제40대 김장수 2006년 11월 24일 2008년 2월 29일
제41대 이상희 2008년 2월 29일 2009년 9월 22일 이명박 정부
제42대 김태영 2009년 9월 23일 2010년 12월 4일
제43대 김관진 2010년 12월 4일 2014년 6월 29일
(유임) 박근혜 정부
제44대 한민구 2014년 6월 30일 2017년 7월 13일
제45대 송영무 2017년 7월 13일 2018년 9월 21일 문재인 정부
제46대 정경두 2018년 9월 21일 2020년 9월 18일
제47대 서욱 2020년 9월 18일 2022년 5월 11일
제48대 이종섭 2022년 5월 11일 2023년 10월 7일 윤석열 정부
제49대 신원식 2023년 10월 7일 2024년 9월 6일
제50대 김용현 2024년 9월 6일 2024년 12월 5일
제51대 안규백 2025년 7월 25일 현직 이재명 정부

각주

[편집]
  1. 안규백, 5·16 쿠데타 이후 첫 민간인 출신 국방장관 후보자
  2.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94조
  3.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87조
  4. 대한민국 국가공무원법 제31조의2
  5.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63조
  6.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87조 3항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