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장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장관
현직
전재수

 2025년 7월 24일 취임
초대윤진숙
설치일2013년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장관대한민국 해양수산부의 수장으로 국무위원으로 보한다.

역사

[편집]

해양수산부 장관의 역사는 해양수산부의 역사에 따른다.

1955년, 상공부에 있던 수산국과 교통국에 있던 해운국이 통합되어 해무청이 설립되었다. 이에 해무청장이 관련된 업무를 수행했다. 하지만 1961년에 해무청은 폐지되었으며 농림부로 소관이 넘어가게 되었다.

1966년, 농림부에서 수산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조직이 수산청으로 분리되었다. 한편 1976년에는 건설부의 항만건설업무를 담당하는 조직과 교통부의 항만운영 및 해운업무에 대한 사무를 관할하는 조직이 항만청으로 분리되었다. 항만청은 이듬해인 1977년에 해운항만청으로 개편되었다.

1996년, 해운항만청과 수산청이 통합되어 해양수산부가 설치되었다. 2008년, 해양수산부 중 수산파트는 농림부와 통합되어 농림수산식품부를 이루고 해양파트는 국토해양부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지만 2013년에 다시 분리되면서 부활했다.

임명

[편집]

해양수산부장관을 포함한 대한민국의 장관은 헌법 상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정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1]

국무위원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2] 임명 이전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치게 된다.[3]

국회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으며 이 때 해임건의는 국회의원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에 의하여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필요로 한다.[4] 또한 국무총리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5]

역할

[편집]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장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1.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에 따라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2. 정부조직법 제44조제1항에 따라 해양수산부장관은 해양정책, 수산, 어촌개발 및 수산물 유통, 해운·항만, 해양환경, 해양조사, 해양자원개발, 해양과학기술연구·개발 및 해양안전심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역대 해무청장(1955~1961)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민복기 1955년 2월 21일 1955년 9월 30일 제1공화국
제2대 홍진기 1955년 10월 5일 1958년 2월 20일
제3대 권성기 1958년 2월 25일 1960년 5월 10일
제4대 황부길 1960년 5월 19일 1960년 10월 22일 제2공화국
제5대 최서일 1960년 10월 22일 1961년 5월 21일
제6대 이각순 1960년 5월 22일 1961년 10월 3일

역대 수산청·해운항만청장(1966~1996)

[편집]

역대 수산청장(1966~1996)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오정근 1966년 2월 28일 1968년 1월 9일 제3공화국
제2대 김재식 1968년 1월 10일 1969년 10월 24일
제3대 구자춘 1969년 10월 25일 1971년 6월 11일
제4대 김동수 1971년 6월 12일 1975년 3월 3일 제4공화국
제5대 강용순 1975년 3월 4일 1976년 5월 17일
제6대 신태영 1976년 5월 18일 1979년 9월 25일
제7대 김종수 1979년 9월 26일 1983년 7월 12일
제8대 강영식 1983년 7월 13일 1988년 3월 4일 제5공화국
제9대 이동배 1988년 3월 5일 1990년 3월 19일 노태우 정부
제10대 윤옥영 1990년 3월 20일 1993년 3월 3일
제11대 이희수 1993년 3월 4일 1994년 12월 25일 김영삼 정부
제12대 박광훈 1994년 12월 26일 1995년 12월 23일
제13대 전윤철 1995년 12월 25일 1996년 8월 7일

역대 항만청장(1976~1977)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강창성 1976년 3월 13일 1977년 12월 15일 제4공화국

역대 해운항만청장(1977~1996)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강창성 1977년 12월 16일 1980년 2월 22일 제4공화국
제2대 이범준 1980년 2월 22일 1980년 12월 2일
제3대 문명린 1980년 12월 2일 1983년 7월 13일 제5공화국
제4대 한준석 1983년 7월 13일 1984년 2월 3일
제5대 정연세 1984년 2월 3일 1987년 5월 19일
제6대 조경식 1987년 5월 19일 1988년 3월 3일
제7대 진념 1988년 3월 4일 1990년 1월 31일 노태우 정부
제8대 안공혁 1990년 1월 31일 1990년 12월 28일
제9대 안상영 1990년 12월 28일 1992년 4월 20일
제10대 강동석 1992년 4월 20일 1993년 3월 4일
제11대 염태섭 1993년 3월 5일 1993년 10월 18일 김영삼 정부
제12대 김철용 1993년 10월 18일 1995년 12월 23일
제13대 이부식 1995년 12월 23일 1996년 8월 7일

역대 해양수산부 장관(1996~2008)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신상우 1996년 8월 8일 1997년 8월 6일 김영삼 정부
제2대 조정제 1997년 8월 7일 1998년 3월 2일
제3대 김선길 1998년 3월 3일 1999년 3월 22일 김대중 정부
제4대 정상천 1999년 3월 23일 2000년 1월 13일
제5대 이항규 2000년 1월 14일 2000년 8월 6일
제6대 노무현 2000년 8월 7일 2001년 3월 25일
제7대 정우택 2001년 3월 26일 2001년 9월 6일
제8대 유삼남 2001년 9월 7일 2002년 7월 11일
제9대 김호식 2002년 7월 12일 2003년 2월 26일
제10대 허성관 2003년 2월 27일 2003년 9월 18일 노무현 정부
제11대 최낙정 2003년 9월 18일 2003년 10월 2일
제12대 장승우 2003년 10월 14일 2005년 1월 4일
제13대 오거돈 2005년 1월 5일 2006년 3월 26일
제14대 김성진 2006년 3월 27일 2007년 5월 10일
제15대 강무현 2007년 5월 11일 2008년 2월 29일

역대 농림수산식품부·국토해양부 장관(2008~2013)

[편집]

역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2008~2013)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57대 정운천 2008년 2월 29일 2008년 8월 5일 이명박 정부
제58대 장태평 2008년 8월 6일 2010년 8월 30일
제59대 유정복 2010년 8월 31일 2011년 6월 1일
제60대 서규용 2011년 6월 2일 2013년 3월 11일

역대 국토해양부 장관(2008~2013)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정종환 2008년 2월 29일 2011년 6월 1일 이명박 정부
제2대 권도엽 2011년 6월 2일 2013년 3월 11일

역대 해양수산부 장관(2013~)

[편집]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6대 윤진식 2013년 4월 17일 2014년 2월 12일 박근혜 정부
제17대 이주영 2014년 3월 5일 2014년 12월 24일
제18대 유기준 2015년 3월 16일 2015년 11월 10일
제19대 김영석 2015년 11월 11일 2017년 6월 15일
제20대 김영춘 2017년 6월 16일 2019년 4월 2일 문재인 정부
제21대 문성혁 2019년 4월 3일 2022년 5월 10일
제22대 조승환 2022년 5월 10일 2023년 12월 28일 윤석열 정부
제23대 강도형 2023년 12월 29일 2025년 7월 24일
제24대 전재수 2025년 7월 24일 현직 이재명 정부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94조
  2.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87조
  3. 대한민국 국가공무원법 제31조의2
  4.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63조
  5.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87조 3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