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장관 관저 행정안전부장관공관 초대 김부겸 설치일 2017년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장관 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의 수장으로 국무위원 으로 보한다.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무위원 서열 8위에 해당한다.
행정안전부 장관의 역사는 행정안전부 의 역사에 따른다.
1948년 정부가 수립될 당시 내무부와 총무처가 설치되었다. 이에 내무부 장관과 총무처장이 관련 역할을 수행했다. 총무처는 시간이 지나면서 국무원 사무처, 내각 사무처로 개편되었다가 제3공화국 때 다시 총무처라는 이름으로 환원되었다.
1998년 내무부와 총무처가 통합되면서 행정자치부가 신설되었다. 이에 행정자치부 장관이 관련된 역할을 수행했다. 이때 정무장관(제1)실의 역할이 통합되었다. 행정자치부는 이명박 정부 때 행정안전부로 개편되었다가 박근혜 정부에 안전행정부로 개편되었다.
2014년 11월, 안전행정부가 행정자치부와 국민안전처로 분할되었다. 이후 2017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두 부처가 다시 통합해 행정안전부를 다시 구성하게 됨에 따라 행정안전부 장관이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행정안전부장관을 포함한 대한민국의 장관은 헌법 상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정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1]
국무위원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2] 임명 이전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치게 된다.[ 3]
국회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으며 이 때 해임건의는 국회의원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에 의하여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필요로 한다.[ 4] 또한 국무총리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 5]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장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에 따라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정부조직법 제34조제1항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은 국무회의의 서무, 법령 및 조약의 공포, 정부조직과 정원, 상훈, 정부혁신, 행정능률, 전자정부, 개인정보보호, 정부청사의 관리, 지방자치제도,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지원·재정·세제, 낙후지역 등 지원, 지방자치단체간 분쟁조정, 선거·국민투표의 지원, 안전 및 재난에 관한 정책의 수립·총괄·조정, 비상대비, 민방위 및 방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정부조직법 제34조제2항에 따라 국가의 행정사무로서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무는 행정안전부장관이 이를 처리한다.
역대 내무부 장관·총무처 장관(1948~1998)[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윤치영
1948년 7월 27일
1948년 12월 24일
제1공화국
제2대
신성모
1948년 12월 24일
1949년 3월 21일
제3대
김효석
1949년 3월 21일
1950년 2월 7일
제4대
백성욱
1950년 2월 7일
1950년 7월 16일
제5대
조병옥
1950년 7월 17일
1951년 4월 24일
제6대
이순용
1951년 5월 14일
1952년 1월 12일
제7대
장석윤
1952년 1월 12일
1952년 5월 24일
제8대
이범석
1952년 5월 24일
1952년 7월 22일
제9대
김태선
1952년 7월 24일
1952년 8월 29일
제10대
진헌식
1952년 8월 29일
1953년 9월 19일
제11대
백한성
1953년 9월 20일
1955년 4월 23일
제12대
김형근
1955년 4월 23일
1956년 5월 21일
제13대
이익흥
1956년 5월 21일
1957년 2월 4일
제14대
장경근
1957년 2월 4일
1957년 9월 26일
제15대
이근직
1957년 9월 26일
1958년 6월 17일
제16대
민병기
1968년 6월 17일
1958년 8월 27일
제17대
김일환
1958년 8월 27일
1959년 3월 20일
제18대
최인규
1959년 3월 20일
1960년 3월 23일
제19대
홍진기
1960년 3월 23일
1960년 4월 24일
제20대
이호
1960년 4월 25일
1960년 8월 19일
제21대
홍익표
1960년 8월 23일
1960년 9월 12일
제2공화국
제22대
이상철
1960년 9월 12일
1960년 10월 13일
제23대
현석호
1960년 10월 13일
1960년 11월 20일
제24대
신현돈
1960년 11월 20일
1961년 5월 3일
제25대
조재천
1961년 5월 3일
1961년 5월 18일
제26대
한신
1961년 5월 20일
1962년 10월 14일
제27대
박경원
1962년 10월 15일
1963년 11월 23일
제28대
엄민영
1963년 12월 17일
1964년 5월 11일
제3공화국
제29대
양찬우
1964년 5월 11일
1966년 4월 15일
제30대
엄민영
1966년 4월 15일
1967년 6월 29일
제31대
이호
1967년 6월 30일
1968년 5월 20일
제32대
박경원
1968년 5월 21일
1971년 6월 3일
제33대
오치성
1971년 6월 4일
1971년 10월 6일
제34대
김현옥
1971년 10월 7일
1973년 12월 2일
제4공화국
제35대
홍성철
1973년 12월 3일
1974년 8월 20일
제36대
박경원
1974년 8월 21일
1975년 12월 18일
제37대
김치열
1975년 12월 19일
1978년 12월 21일
제38대
구자춘
1978년 12월 22일
1979년 12월 14일
제39대
김종환
1979년 12월 15일
1980년 9월 2일
제40대
서정화
1980년 9월 3일
1982년 4월 27일
제41대
노태우
1982년 4월 28일
1983년 7월 6일
제5공화국
제42대
주영복
1983년 7월 7일
1985년 2월 18일
제43대
정석모
1985년 2월 18일
1986년 8월 26일
제44대
김종호
1986년 8월 27일
1987년 1월 20일
제45대
정호용
1987년 1월 21일
1987년 5월 25일
제46대
고건
1987년 5월 26일
1987년 7월 13일
제47대
정관용
1987년 7월 14일
1987년 9월 13일
제48대
이상희
1987년 9월 14일
1988년 2월 24일
제49대
1988년 2월 25일
1988년 5월 6일
노태우 정부
제50대
이춘구
1988년 5월 7일
1988년 12월 4일
제51대
이한동
1988년 12월 5일
1989년 7월 18일
제52대
김태호
1989년 7월 19일
1990년 3월 18일
제53대
안응모
1990년 3월 19일
1991년 4월 28일
제54대
이상연
1991년 4월 29일
1992년 3월 30일
제55대
이동호
1992년 3월 31일
1992년 10월 8일
제56대
백광현
1992년 10월 9일
1993년 2월 26일
제57대
이해구
1993년 2월 26일
1993년 12월 21일
김영삼 정부
제58대
최형우
1993년 12월 22일
1994년 12월 23일
제59대
김용태
1994년 12월 24일
1995년 12월 20일
제60대
김우석
1995년 12월 21일
1997년 2월 12일
제61대
서정화
1997년 2월 13일
1997년 3월 5일
제62대
강운태
1997년 3월 6일
1997년 8월 5일
제63대
조해녕
1997년 8월 6일
1998년 3월 2일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허정
1948년 7월 27일
1948년 8월 25일
제1공화국
제2대
김병연
1948년 8월 26일
1948년 11월 29일
제3대
전규홍
1948년 11월 30일
1951년 4월 27일
제4대
한동석
1951년 5월 7일
1953년 11월 1일
제5대
정운갑
1953년 11월 2일
1955년 2월 16일
역대 국무원 사무국장(1955~1960)[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6대
문봉제
1955년 2월 17일
1957년 6월 11일
제1공화국
제7대
신두영
1957년 6월 28일
1960년 6월 30일
역대 국무원 사무처장(1960~1961)[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8대
이호
1960년 7월 4일
1960년 8월 19일
제2공화국
제9대
오위영
1960년 8월 20일
1960년 9월 11일
제10대
정헌주
1960년 9월 12일
1961년 5월 18일
역대 내각 사무처장(1961~1963)[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1대
김병삼
1961년 5월 20일
1963년 2월 1일
제2공화국
제12대
이석제
1963년 2월 2일
1963년 12월 16일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3대
이석제
1963년 12월 17일
1969년 10월 20일
제3공화국
제14대
서일교
1969년 10월 21일
1973년 12월 2일
제15대
심흥선
1973년 12월 3일
1977년 12월 19일
제4공화국
제16대
심의환
1977년 12월 20일
1979년 10월 22일
제17대
김용휴
1979년 12월 14일
1982년 5월 20일
제18대
박찬긍
1982년 5월 21일
1985년 2월 18일
제5공화국
제19대
박세직
1985년 2월 19일
1986년 1월 7일
제20대
정관용
1986년 1월 8일
1987년 7월 13일
제21대
장기오
1987년 7월 14일
1988년 2월 24일
제22대
김용갑
1988년 2월 25일
1989년 3월 8일
노태우 정부
제23대
김용래
1989년 3월 17일
1990년 3월 18일
제24대
이연택
1990년 3월 19일
1991년 12월 19일
제25대
이상배
1991년 12월 20일
1992년 6월 25일
제26대
이문석
1992년 6월 26일
1993년 2월 25일
제27대
최창윤
1993년 2월 26일
1993년 12월 21일
김영삼 정부
제28대
황영하
1993년 12월 22일
1994년 12월 23일
제29대
서석재
1994년 12월 24일
1995년 8월 3일
제30대
김기재
1995년 8월 7일
1996년 1월 30일
제31대
조해녕
1996년 1월 31일
1996년 12월 19일
제32대
김한규
1996년 12월 20일
1997년 8월 5일
제33대
심우영
1997년 8월 6일
1998년 3월 3일
역대 행정자치부·행정안전부·안전행정부(1998~2014)[ 편집 ]
역대 행정자치부 장관(1998~2008)[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김정길
1998년 3월 3일
1999년 2월 5일
김대중 정부
제2대
김기재
1999년 2월 6일
2000년 1월 13일
제3대
최인기
2000년 1월 14일
2001년 3월 25일
제4대
이근식
2001년 3월 26일
2003년 2월 26일
제5대
김두관
2003년 2월 27일
2003년 9월 18일
노무현 정부
제6대
허성관
2003년 9월 19일
2005년 1월 4일
제7대
오영교
2005년 1월 5일
2006년 3월 21일
제8대
이용섭
2006년 3월 27일
2006년 12월 4일
제9대
박명재
2006년 12월 13일
2008년 2월 28일
역대 행정안전부 장관(2008~2013)[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원세훈
2008년 2월 29일
2009년 2월 11일
이명박 정부
제2대
이달곤
2009년 2월 20일
2010년 3월 4일
제3대
맹형규
2010년 4월 15일
2013년 3월 11일
제4대
유정복
2013년 3월 11일
2013년 3월 22일
박근혜 정부
역대 안전행정부 장관(2013~2014)[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유정복
2013년 3월 23일
2014년 3월 5일
박근혜 정부
제2대
강병규
2014년 4월 2일
2014년 7월 15일
제3대
정종섭
2014년 7월 16일
2014년 11월 18일
역대 행정자치부·국민안전처 장관(2014~2017)[ 편집 ]
역대 행정자치부 장관(2014~2017)[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정종섭
2014년 11월 19일
2016년 1월 12일
박근혜 정부
제2대
홍윤식
2016년 1월 13일
2017년 6월 15일
제3대
김부겸
2017년 6월 16일
2017년 7월 25일
문재인 정부
역대 국민안전처 장관(2014~2017)[ 편집 ]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박인용
2014년 11월 19일
2017년 7월 25일
박근혜 정부
대수
이름
취임일
퇴임일
정부
제1대
김부겸
2017년 7월 26일
2019년 4월 5일
문재인 정부
제2대
진영
2019년 4월 8일
2020년 12월 23일
제3대
전해철
2020년 12월 24일
2022년 5월 11일
제4대
이상민
2022년 5월 12일
2024년 12월 8일[ 6]
윤석열 정부
제5대
윤호중
2025년 7월 18일
현직
이재명 정부
↑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94조
↑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87조
↑ 대한민국 국가공무원법 제31조의2
↑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63조
↑ 대한민국 헌법 제10호 제87조 3항
↑ 직무정지: 2023년 2월 8일~2023년 7월 24일
내무부 장관
제1대 제6대 제11대 제16대 제21대 제26대 제31대 제36대 제41대 제46대 제51대 제56대 제61대
제2대 제7대 제12대 제17대 제22대 제27대 제32대 제37대 제42대 제47대 제52대 제57대 제62대
제3대 제8대 제13대 제18대 제23대 제28대 제33대 제38대 제43대 제48대 제53대 제58대 제63대
제4대 제9대 제14대 제19대 제24대 제29대 제34대 제39대 제44대 제49대 제54대 제59대
제5대 제10대 제15대 제20대 제25대 제30대 제35대 제40대 제45대 제50대 제55대 제60대
원장 장관 실장 위원장 처장 외청장
감사원장, 기획재정부 장관 및 교육부 장관은 부총리급 대우를 받는다.
국무총리비서실장,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처장 및 외청장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단, 검찰총장은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그 외의 직책은 모두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