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
|
| |
|---|---|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 수컷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직비원아목 |
| 하목: | 원숭이하목 |
| 소목: | 광비원소목 |
| 과: | 사키원숭이과 |
| 아과: | 사키원숭이아과 |
| 속: | 사키원숭이속 |
| 종: |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 (P. mittermeieri) |
| 학명 | |
| Pithecia mittermeieri | |
| Marsh, 2014 | |
|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의 분포 | |
사키원숭이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Pithecia mittermeieri)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사키원숭이의 일종이다. 마데이라강과 타파조스강 사이의 아마존 분지 남부에서 서식한다. 대부분의 표본은 브라질 마투그로수주 아리푸아나 북부에서 발견되지만 볼리비아 남서부의 마모레강과 구아포레강에서도 발견된다.[2]
분류
[편집]이전에는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 개체군을 타파조스강사키로 분류했지만, 2014년 연구에서는 이 개체군들을 독특한 털을 근거로 P. mittermeiri라는 별개의 종으로 기술했다.[3][4] 그러나 2019년 연구에서는 타파조스강사키 종 복합체의 분포 범위에 걸친 털색 변이를 분석하여 타파조스강사키와 반졸리니흰반점얼굴사키라는 두 개의 뚜렷한 그룹만을 구분했으며,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 독특한 털은 타파조스강사키의 변이 범위 내에 속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 연구는 모식 분포지가 불분명하여 타파조스강사키의 정기준표본이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의 분포 범위 내에서 수집되었을 가능성을 발견했으며, 이는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를 타파조스강사키와 즉시 동의어로 간주하게 한다.[5] 이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 포유류학회(추가 계통학 연구가 진행 중인 경우 임시로)는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를 타파조스강사키와 동의어로 간주했지만[6] IUCN 적색목록과 ITIS는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를 별개의 종으로 유지한다.[1][7]
미터마이어타파조스사키는 유명한 미국 영장류학자 러셀 미터마이어(Russell Mittermeier)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3]
분포
[편집]미터마이어타파조스강사키는 브라질 고유종으로, 아마존강 남쪽과 마데이라강과 타파조스강 사이에서 서식한다. 인간의 영향으로 서식지가 이전보다 크게 줄어들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개체군은 마투그로수주의 아리푸아낭강 남쪽에서 서식한다. 2015년에는 판타날 북부에서 미터마이어타파조스강사키의 개체군이 발견되었다.[3][1][8]
특징
[편집]미터마이어타파조스강사키는 털 색깔이 가장 다양한 사키 종 중 하나다. 수컷은 대체로 검은색 털에 길고 흰 회색 줄무늬가 있으며, 앞팔은 짧고 무성한 흰색 털로 덮여 있다. 목덜미가 밝은 주황색이다. 암컷은 털 색깔이 비슷하지만 회색이 덜하다.[3][9]
보전 상태
[편집]남부 지역(혼도니아주)에서는 사냥과 서식지 감소로 위협받고 있으며, 북부 지역에서는 삼림 벌채와 서식지 파편화로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한다.[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Marsh, L.K.; Mittermeier, R.A. (2021). “Pithecia mittermeieri”. 《IUCN 적색 목록》 (IUCN): e.T70610693A192447666. doi:10.2305/IUCN.UK.2021-1.RLTS.T70610693A192447666.en. 2025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Laura K. Marsh. 2014.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aki Monkeys, Pithecia Desmarest, 1804. Neotropical Primates. 21 (1); 1-163, pages 105 to 112.
- ↑ 가 나 다 라 Marsh, Laura K. (2014년 8월 1일).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aki Monkeys, Pithecia Desmarest, 1804”. 《Neotropical Primates》 21 (1): 1–165. doi:10.1896/044.021.0101. ISSN 1413-4705. S2CID 86516301.
- ↑ “Scientists uncover five new species of 'toupee' monkeys in the Amazon” (미국 영어). 《Mongabay Environmental News》. 2014년 9월 2일. 2025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Serrano-Villavicencio, José Eduardo; Hurtado, Cindy M; Vendramel, Rafaela L; Nascimento, Fabio Oliveira do (2019년 1월 3일). “Reconsidering the taxonomy of thePithecia irrorataspecies group (Primates: Pitheciidae)”. 《Journal of Mammalogy》 100 (1): 130–141. doi:10.1093/jmammal/gyy167. ISSN 0022-2372.
- ↑ “Pithecia irrorata J. E. Gray, 1842”. 《ASM 포유류 다양성 데이터베이스》. 미국포유류학회. 2021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ITIS
- ↑ Nunes, André; Orsini, Vinicius; Marsh, Laura (2017년 5월 20일). “New distribution records of Pithecia rylandsi and Pithecia mittermeieri (Primates, Pitheciidae) and an updated distribution map” (영어). 《Check List》 13 (3): 2123. doi:10.15560/13.3.2123. ISSN 1809-127X.
- ↑ “Five New Species of Saki Monkeys Discovered” (미국 영어). 《Sci-News.com》. 2014년 9월 30일. 2025년 8월 1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