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랄라형제티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직비원아목 |
| 하목: | 원숭이하목 |
| 소목: | 광비원소목 |
| 과: | 사키원숭이과 |
| 아과: | 티티원숭이아과 |
| 속: | 플렉투로케부스속 |
| 종: | 올랄라형제티티 (C. olallae) |
| 학명 | |
| Callicebus olallae | |
| Lönnberg, 1939 | |
| 올랄라형제티티의 분포 | |
![]() 올랄라형제티티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올랄라형제티티 또는 베니티티원숭이(Callicebus olallae)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티티원숭이의 일종이다.[2] 볼리비아에서 발견된다. 야생에는 110~150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분류학
[편집]학명의 종소명은 에콰도르의 동물 수집가 올라라 형제(Alfonso, Manuel Olalla)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특징
[편집]모든 티티원숭이처럼 올랄라티티는 비교적 작은 영장류로 털이 솜털처럼 푹신하다. 등과 바깥다리는 주황빛 갈색이고, 배와 안쪽 다리는 더 밝다. 꼬리는 짙은 회색으로 몸의 다른 부분과 대조를 이룬다. 꼬리는 길고 털이 무성하지만, 잡는꼬리로 사용할 수는 없다. 머리는 작고 둥글며, 회색 얼굴은 검은색 털로 둘러싸여 있다. 귀 뭉치는 흰색이다. 뒷다리는 건너뛰기에 적합하도록 길게 길쭉하다.[3]
분포 및 서식지
[편집]베니티티원숭이는 볼리비아 베니주 남서쪽 약 400km² 지역에 서식하며, 야쿠마강과 마니케강을 따라 서식한다. 서식지는 숲이며, 해발 400m 이하의 고도에 서식한다.[1]
생활 방식
[편집]베니티티원숭이의 생활 방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모든 티티 원숭이와 마찬가지로, 베니티티원숭이는 나무에서 생활하는 주행성 동물로 추정되며, 네 발로 기어다니거나 나뭇가지를 뛰어넘는다. 티티원숭이는 엄격한 일부일처제 가족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다. 베니티티원숭이 집단은 고정된 영역을 차지하며, 아침에 암수 한 쌍의 울음소리로 같은 종들을 유인한다. 베니티티원숭이의 먹이는 과일이며, 그보다 적지만 잎과 다른 식물성 재료, 그리고 곤충을 먹기도 한다.[4][5]
보전 상태
[편집]베니티티원숭이에게 가장 큰 위협은 삼림 벌채와 사냥이다. 이러한 요인들과 좁은 분포 지역으로 인해 IUCN은 베니티티원숭이를 절멸위급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각주
[편집]- ↑ 가 나 다 2021; Wallace, R. (2021). “Plecturocebus olallae”. 《IUCN 적색 목록》 (IUCN): e.T3554A17975516. doi:10.2305/IUCN.UK.2021-1.RLTS.T3554A17975516.en. 2025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3판 (영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45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Beolens, Watkins & Grayson (2009).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JHU Press. 297쪽.
- ↑ Thomas Geissmann: Vergleichende Primatologie. Springer-Verlag, Berlin u. a. 2003, ISBN 3-540-43645-6.
- ↑ Marc G. M. van Roosmalen, Tomas van Roosmalen und Russell A. Mittermeier: A Taxonomic Review of the Titi Monkeys, Genus "Callicebus" Thomas 1903,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Callicebus bernhardi" and "Callicebus stepehnnashi", from Brazilian Amazonia. In: Neotropical Primates. 10, ISSN 1413-4703, 2002, S. 1–52, 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