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플로레스타티티
보이기
![]() | |
---|---|
알타플로레스타티티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아목: | 직비원아목 |
하목: | 원숭이하목 |
소목: | 광비원소목 |
과: | 사키원숭이과 |
아과: | 티티원숭이아과 |
속: | 플렉투로케부스속 |
종: | 알타플로레스타티티 (C. grovesi) |
학명 | |
Plecturocebus grovesi | |
Boubli et al., 2019 | |
알타플로레스타티티의 분포 지역 | |
![]() 알타플로레스타티티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알타플로레스타티티(Plecturocebus grovesi)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티티원숭이의 일종이다. 브라질의 고유종이다. 그로브스티티원숭이로도 알려져 있다. 알타플로레스타티티는 브라질 마투그로수주 알타플로레스타 시에서 보고되었다.[2]
알타플로레스타티티는 붉은배티티원숭이 그룹의 동부 아마존 분기군에 속하며, 붉은배티티원숭이와 비에이라티티원숭이를 포함하는 분기군의 자매 분류군이다. 알타플로레스타티티가 붉은배티티원숭이 그룹의 다른 종과 구별되는 점은 등 부분의 아구티 털(각 털에 두 개 이상의 색소 띠가 나타나는 털 색깔 유형)과 밝은 적갈색 복부, 흰색 끝이 있는 완전히 검은 꼬리, 그리고 뺨에 있는 밝은 노란색 털이 합쳐진 모습이다.[2]
일반적인 삼림 벌채율 때문에 알타플로레스타티티의 삼림 서식지가 최대 86%까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기 떄문에 IUCN 적색 목록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하고 있다.[2]
각주
[편집]- ↑ Boubli, J.; de Melo, F.R..; Rylands, A.B. (2020). “Plecturocebus grovesi”.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e.T172272064A172272430. doi:10.2305/IUCN.UK.2020-3.RLTS.T172272064A172272430.en. 2025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Boubli, Jean P.; Byrne, Hazel; Da Silva, Maria N.F.; Silva-Júnior, José; Costa Araújo, Rodrigo; Bertuol, Fabrício; Gonçalves, Jonas; De Melo, Fabiano R.; Rylands, Anthony B.; Mittermeier, Russell A.; Silva, Felipe E.; Nash, Stephen D.; Canale, Gustavo; Alencar, Raony de M.; Rossi, Rogerio V.; Carneiro, Jeferson; Sampaio, Iracilda; Farias, Izeni P.; Schneider, Horácio; Hrbek, Tomas (2019년 3월 1일). “On a new species of titi monkey (Primates: Plecturocebus Byrne et al., 2016), from Alta Floresta, southern Amazon, Brazil” (영어).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32: 117–137. doi:10.1016/j.ympev.2018.11.012. ISSN 1055-7903. PMID 30496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