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턴티티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아목: | 직비원아목 |
하목: | 원숭이하목 |
소목: | 광비원소목 |
과: | 사키원숭이과 |
아과: | 티티원숭이아과 |
속: | 플렉투로케부스속 |
종: | 밀턴티티 (C. miltoni) |
학명 | |
Callicebus miltoni | |
Dalponte, Silva, Silva Júnior, 2014[1] | |
학명이명 | |
Callicebus miltoni | |
보전상태 | |
|
밀턴티티(Plecturocebus miltoni)는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 남부에 서식하는 신대륙 원숭이 티티원숭이의 일종이다. 브라질 영장류학자 밀턴 티아고 데 멜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밀턴티티원숭이는 2011년 훌리오 세사르 달폰테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2014년에 신종으로 인정되었다.[3]
특징
[편집]밀턴티티는 이마의 밝은 회색 띠와 짙은 황토색 옆수염과 목, 짙은 회색 몸통과 옆구리, 균일하게 주황색인 꼬리, 밝은 황토색 배를 가지고 있다.[4]
분포 및 자연사
[편집]밀턴티티는 브라질의 마투그로수주와 아마조나스주에서 발견된다.[4] 지리적 분포는 아리푸아낭강과 루즈벨트강, 구아리바강을 중심으로 한다. 밀턴티티의 완모식표본은 구아리바-루즈벨트 추출 보호구역(남위 8°59'45.21", 서경 60°43'42.72")의 루즈벨트 강 우안에서 채집되었다.[4] 서식지 분포는 루즈벨트강과 아리푸아낭강 사이의 하천 간 지역으로 간주된다. 밀턴티티의 남쪽 분포 한계는 육상 장벽을 형성하는 가파른 언덕으로 표시된다.[4] 밀턴티티는 루즈벨트강 서안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신 베른하르트공티티로 대체되었다.[4] 티티원숭이의 아마존 분포는 수영을 할 수 없고 숲 서식지의 특수성 때문에 강에 의해 제한된다.[5] 따라서 밀턴티티는 두 강과 남쪽 언덕 사이의 지역에만 분포하며 그 지역에서만 서식한다.[4]
밀턴티티는 일반적으로 열대우림이라고 불리는 산림 생물군로 설명되는 혼합 옴브로필러스 충적림에서 발견되며[6] 이곳에서는 인위적인 활동으로 인해 천이가 교란되고 개척종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4] 이 생물군계는 강수량이 많고 아라우카리아 소나무가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7] 기후는 여름에는 덥고 습하며 겨울에는 시원하다.[6] 밀턴티티는 옴브로필리아숲의 상층(임관층) 및 중층(하층)에서 발견된다.[4] 숲의 임관층 높이는 최대 30m이다.[4] 이 서식지 생물군계는 더 정확하게는 열대 습윤 지대의 테라 피르메(terra firme) 또는 아마존 저지대 숲으로 알려져 있다.[8] 이 지역은 홍수 수위보다 높은 완만한 구릉 지대이다.[8] 이 지역은 고유종의 잠재적 서식지이기 때문에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8]
행동 생태학 및 영양
[편집]티티원숭이는 메타 개체군으로서 발성을 통해 영역성과 의사소통을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 밀턴티티는 다른 티티원숭이들과 같은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큰 소리로 울부짖는 소리는 아침에 더 흔하고 건기에는 덜 흔하다. 다른 티티원숭이들처럼 밀턴티티는 계절에 따라 소리를 낸다.[4] 집단 의사소통은 경우에 따라 과일 공급량(우기) 및 영역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최대 다섯 마리의 개체로 무리를 이루는 것이 관찰되었다.[4] 다른 티티원숭이처럼 무리는 일부일처제인 한 쌍과 그 새끼로 제한된다.[4] 가족 구성원들은 잠을 잘 때 종종 꼬리를 맞대고 잔다.[4] 밀턴티티는 주행성 동물로 낮에 간헐적으로 낮잠을 자는 것으로 밝혀졌다.[4] 티티원숭이는 독일어 이름(Springaffen)[9]에서 알 수 있듯이 나무와 가지 사이를 쉽게 뛰어다닌다.[4] 다른 티티원숭이 종과 마찬가지로 이들의 영양은 주로 과일을 먹어 채운다는 것이 밝혀졌다.[10] 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은 잉가와 카카오, 세크로피아인 것으로 보인다.[4]
분류학 및 계통발생
[편집]밀턴티티는 지역에서 "붉은꼬리조그조그"로 불린다.[4] 지정된 완모식표본은 지역 사냥꾼이 처음 회수한 후 달폰테(Dalponte)로 보내졌다.[4] 밀턴티티는 붉은배티티 종군에 속한다. 밀턴티티는 이전에 발견 당시 명명된 칼리케부스 밀토니(Callicebus miltoni)로 인식되었다.[4] 티티원숭이아과는 종이 가장 풍부한 영장류 분류군이지만[11] 이전에는 칼리케부스속만을 단일속으로 간주했다.[11][12] 놀라운 다양성을 고려하여 2002년에 세 개의 새로운 속, 칼리케부스속(브라질 동부 티티), 케라케부스속(목도리티티), 플렉투로케부스속(아마존 및 차코 지역 티티)이 제안되었다.[11][12] 종 수준의 다양화는 붉은배티티 군이 아마존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플라이스토세 동안 발생했다.[13] 이는 이소지역적 종 분화의 형태를 유발하는 생식 장벽을 만든 강 때문이며 티티원숭이아과의 엄청난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13]
보존
[편집]IUCN은 밀턴티티의 위험을 평가할 충분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2] 마지막 평가는 2021년에 이루어졌다.[2] 밀턴티티를 발견한 연구자들은 삼림 벌채가 이 종에게 가장 큰 위협이라고 언급했다.[4] 밀턴티티의 서식지에서 벌채된 총 면적은 이 종이 기재되었을 당시 232만 헥타르였으며, 이는 이 종의 전체 분포 범위의 4.7%에 해당한다.[4] 사냥은 이 종에게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4]
밀턴티티의 자연 분포 범위의 약 25%(1,246,382헥타르)가 보호 구역에 있다.[4] 밀턴티티는 다음 보호 구역에서 서식하거나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2][4]
- 구아리바-루즈벨트 추출업자 보호구역
- 아리푸낭 삼림 주립공원
- 마니코레 산림 주립공원
- 아리푸아나 지속 가능한 개발 보호구역
- 캄포스 아마조니코스 국립공원
- 플로르 두 프라도강 생태 관측소
각주
[편집]- ↑ Dalponte, Julio César; Silva, Felipe Ennes; Silva Júnior, José de Sousa e (2014). “New species of titi monkey, genus Callicebus Thomas, 1903 (Primates, Pitheciidae), from Southern Amazonia, Brazil”. 《Papéis Avulsos de Zoologia》 54. doi:10.1590/0031-1049.2014.54.32.
- ↑ 가 나 다 라 Boubli, J.P.; Silva, F.E. (2021). “Plecturocebus miltoni”. 《IUCN 적색 목록》 (IUCN) 2021: e.T127530569A206549250. doi:10.2305/IUCN.UK.2021-3.RLTS.T127530569A206549250.en. 2025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Rakowski, Sarah (2015년 3월 4일). “New monkey species discovered in the Amazon Rainforest”. 《Fauna & Flora International》.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Dalponte, Julio César; Silva, Felipe Ennes; Silva Júnior, José de Sousa e (2014). “New species of titi monkey, genus Callicebus Thomas, 1903 (Primates, Pitheciidae), from Southern Amazonia, Brazil”. 《Papéis Avulsos de Zoologia》. doi:10.1590/0031-1049.2014.54.32. ISSN 0031-1049.
- ↑ van., Roosmalen, Marc G. M. (2002). 《A taxonomic review of the titi monkeys, genus Callicebus Thomas, 1903,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Callicebus bernhardi and Callicebus Stephennashi, from Brazilian Amazonia》. Conservation International. OCLC 50555838.
- ↑ 가 나 “Floresta Ombrófila Mista na região de São Luiz do Purunã”. 《Instituto Purunã | Desenvolvimento do turismo sustentável》 (브라질 포르투갈어). 2020년 5월 6일. 2025년 8월 1일에 확인함.
- ↑ Ruggiero, Alyne Regina; Schorn, Lauri Amândio; Santos, Kristiana Fiorentin dos; Fenilli, Tatiele Anete Bergamo (2021년 5월 17일). “Dynamics of natural regeneration after disturbance in a remnant of Mixed Ombrophilous Forest in southern Brazil”. 《Ambiente e Agua》 16 (3): 1. doi:10.4136/ambi-agua.2679. ISSN 1980-993X. S2CID 236603421.
- ↑ 가 나 다 Soares, J. C. R.; Amaral, A. O.; Moura, R. S.; Ribeiro, R. P.; Junior, L. K. (2017). “EFEITO DO MANEJO FLORESTAL SOBRE A AVIFAUNA EM UMA FLORESTA DE TERRA FIRME NA AMAZÔNIA CENTRAL”. 《Revista Univap》 22 (40): 881. doi:10.18066/revistaunivap.v22i40.943.
- ↑ Krieg, Hans (1930). “Biologische reisestudien in Südamerika. XVI. Die affen des gran chaco und seiner grenzgebiete”. 《Zeitschrift für Morphologie und Ökologie der Tiere》 18 (4): 760–785. doi:10.1007/bf00418159. ISSN 0720-213X. S2CID 40581018.
- ↑ Krieg, Hans (1930). “Biologische reisestudien in Südamerika. XVI. Die affen des gran chaco und seiner grenzgebiete”. 《Zeitschrift für Morphologie und Ökologie der Tiere》 18 (4): 760–785. doi:10.1007/bf00418159. ISSN 0720-213X. S2CID 40581018.
- ↑ 가 나 다 Byrne, Hazel; Rylands, Anthony B.; Carneiro, Jeferson C.; Alfaro, Jessica W. Lynch; Bertuol, Fabricio; da Silva, Maria N. F.; Messias, Mariluce; Groves, Colin P.; Mittermeier, Russell A.; Farias, Izeni; Hrbek, Tomas (2016년 3월 1일).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New World titi monkeys (Callicebus): first appraisal of taxonomy based on molecular evidence”. 《Frontiers in Zoology》 13 (1): 10. doi:10.1186/s12983-016-0142-4. ISSN 1742-9994. PMC 4774130. PMID 26937245.
- ↑ 가 나 Oliveira, Marlene de (2009년), “Grupos de pesquisa em Ciência da Informação no Brasil”, 《A ciência da informação criadora do conhecimento Vol. II》 (Imprensa da Universidade de Coimbra), 119–133쪽, doi:10.14195/978-989-26-0869-3_9, ISBN 9789892608693, 2025년 8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Byrne, Hazel; Lynch Alfaro, Jessica W.; Sampaio, Iracilda; Farias, Izeni; Schneider, Horacio; Hrbek, Tomas; Boubli, Jean P. (September 2018). “Titi monkey biogeography: Parallel Pleistocene spread by Plecturocebus and Cheracebus into a post-Pebas Western Amazon”. 《Zoologica Scripta》 (영어) 47 (5): 499–517. doi:10.1111/zsc.12300. S2CID 917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