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돌프 히틀러의 재력과 수입
시리즈의 일부 |
아돌프 히틀러 |
---|
![]() |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의 독재자였던 아돌프 히틀러는 주로 자신의 저서인 《나의 투쟁》의 판매 수익과 총리 및 대통령의 봉급을 합한 수입을 통해 정치 경력 전반에 걸쳐 수백만 라이히스마르크(ℛℳ)를 벌었다. 집권 후 히틀러는 스스로를 세금 면제 대상으로 만들었다.[1]
생애 초기
[편집]히틀러는 1889년 4월 20일에 태어나 독일 제국 국경 근처의 작은 오스트리아-헝가리 마을인 브라우나우암인의 가난한 가정에서 자랐다.[2] 그의 형제 중 구스타프, 이다, 오토 세 명은 흔한 어린이 질병으로 유아기에 사망했다.[3] 히틀러의 어머니 클라라 히틀러는 전업주부였고, 아버지 알로이스 히틀러는 농장을 세우려 했으나 실패했다.[4] 린츠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후 그는 빈으로 이주하여 처음에는 어머니와 고아 연금의 지원을 받았다.
예술적 야망
[편집]
빈에 도착한 히틀러는 어린 시절 친구인 아우구스트 쿠비제크와 함께 보헤미안 생활을 했다.[5] 둘은 지역 재단사로부터 빌린 방을 함께 사용했다. 히틀러는 그림과 수채화를 그렸고, 엽서를 베껴 관광객에게 소액의 이윤을 남기고 팔았다.[5] 1907년 그는 빈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 지원을 했으나 "재능 부족"으로 거절당했다.[6] 1908년 히틀러는 다시 시도했지만 또다시 거절당했다.[6] 얼마 후 히틀러는 돈이 떨어져 노숙자 보호소와 남자 기숙사에서 살아야 했다.[7] 매달 25 오스트리아-헝가리 크로네의 고아 연금을 받았지만 이것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에 부족했고, 눈을 치우고 철도 승객의 짐을 나르며 약간의 수입을 얻었다. 1909년 히틀러는 라인홀트 하니쉬를 알게 되었는데, 하니쉬는 히틀러에게 친척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라고 제안했고, 고모 요한나로부터 50크로네의 선물이 도착하여 새 코트를 살 수 있게 되었다. 하니쉬의 제안으로 그는 하니쉬가 대신 팔아줄 빈의 풍경을 그리기 시작했다. 이 사업에서 얻은 수입으로 히틀러는 빈 북부의 더 괜찮은 남자 기숙사로 이사할 수 있었다.[8]
1913년 히틀러는 24세가 되었고, 사망한 아버지로부터 820크로네에 달하는 유산을 받을 자격이 있었다. 히틀러는 오랫동안 뮌헨으로 이사할 계획을 세웠는데, 이곳은 문화 중심지이자 히틀러가 입학하기를 희망했던 뮌헨 미술원이 있는 곳이었다. 오스트리아를 떠난 또 다른 이유는 아마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징집을 피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그는 1913년 5월 24일 빈을 떠났다.[9]
뮌헨에서 히틀러는 상점 위의 작은 방을 빌려 빈에서와 마찬가지로 지역 관광 명소의 수채화를 그리기 시작했고, 이를 카페와 맥주 홀에서 팔았다. 그는 이런 방식으로 검소하게 생활할 수 있었고, 나중에 당국에 이 기간 동안 매달 약 1,200 금 마르크를 벌었다고 보고했다.[10]
제1차 세계 대전
[편집]히틀러는 나중에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자신이 여전히 오스트리아 시민이었기 때문에 바이에른 국왕에게 바이에른 육군에서 복무할 허가를 청원했다고 주장했지만, 전후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으로서의 그의 신분은 처음 징집의 열광적인 시기에는 눈에 띄지 않았다고 밝혀졌다.[11] 짧은 훈련 후 히틀러는 제1차 이프르 전투에서 보병 연대와 함께 전투에 참여했다. 얼마 후 그는 상등병으로 진급하여 연대 본부에 전령으로 배정되어 전방 부대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았고, 이 역할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다.[12]
히틀러는 1918년 11월 11일 휴전 협정 이후에도 군에 남아 1920년 3월까지 급여를 받았다.[13] 수용소와 병영에서 잠시 휴식한 후 그는 억류 수용소를 경비했다. 당시 히틀러의 임금은 월 40 파피어마르크와 구형 가스 마스크 테스트 보너스 4마르크였다.[14] 1919년 6월, 그는 뮌헨 대학교에서 반볼셰비키 교육 과정을 수강했고, 그 후 독일 국가방위군의 군사 요원이 되었다.[15]
당원 가입
[편집]히틀러는 요원으로서 독일 노동자당(DAP)에 잠입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1919년 9월 말에 이 당에 가입했다.[16] 1920년 3월 군에서 제대 후 히틀러는 당(지금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으로 이름이 변경됨)을 위해 전념하여 일했다. 히틀러가 당으로부터 수입을 받지 않고 외부 행사에서의 대중 연설료로 생활했다고 주장되었지만, 실제로는 여러 부유한 후원자와 당 지지자들의 재정 지원을 받았다.[17]
《나의 투쟁》 판매
[편집]히틀러는 1923년 실패한 뮌헨 폭동 동안 저지른 반역죄로 란츠베르크암레흐 교도소에서 복역하면서 자신의 정치적 선언문이자 자서전인 나의 투쟁("Mein Kampf")을 썼다.[7] 나의 투쟁은 프란츠 에허 나흐폴거 출판사에서 인쇄되었고 처음에는 거의 무시되었으나, 경제 불황과 사회 불안이 독일을 괴롭히던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반에 판매가 급증했는데, 이러한 요소들이 히틀러의 인기를 크게 높였다.[18] 히틀러가 1933년에 집권한 후, 나치 국가에서 결혼한 부부들은 결혼 선물로 이 책을 받았다.[18] 이 책은 결국 독일 내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어 전쟁이 끝날 무렵 거의 1200만 부가 팔렸다.[19]
나치당 자금
[편집]
바이마르 공화국의 초인플레이션이 독일 경제를 마비시키고 수백만 명의 독일 노동자들을 실업 상태로 몰아넣었을 때, 히틀러와 그의 당은 국내외의 부유한 후원자들로부터 호화로운 기부금을 받았다.[18] 상징적인 미국 자동차 제조업자이자 반유대주의자인 헨리 포드가 해외 후원자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18] 피아노를 판매하는 부유한 귀족 가문의 일원인 에드윈 벡슈타인과 헬레네 벡슈타인은 히틀러를 재정적으로 지원했다.[18] 루르의 철강 거물인 프리츠 티센과 구스타프 크루프 폰 볼렌 운트 할바흐는 전쟁 기간 동안 나치당에 거의 500만 라이히스마르크를 기부했다.[18]
당의 기부금 수입 중 상당 부분은 베르그호프와 수리둥지와 같은 히틀러의 개인 프로젝트에 사용되었다.[18] 1925년에 그가 고급 메르세데스-벤츠와 운전기사를 고용하는 데 총 틀:Reichsmark을 지출하자 당 내 주요 인사들 사이에서 사소한 논란이 일었다.[18] 뮌헨 바이에른 주립 기록 보관소에서 히틀러의 세금 기록을 검토한 경제 저널리스트 볼프강 츠드랄은 "그는 당시 엄청난 돈이 들었던 메르세데스를 몰고 있었고, 여행을 다니며 선전 활동에 필요한 돈도 충분히 있었다. 이 모든 것은 기본적으로 크고 작은 후원자들의 기부금인 비자금 시스템을 통해 재정 지원되었다"고 말했다.[18]
탈세
[편집]권력 장악 과정 내내 히틀러는 수입과 수당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지 않았다.[20] 총리가 된 지 1년 후인 1934년, 뮌헨 세무서는 히틀러에게 소득을 신고하지 않고 세금 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아 틀:라이히스마르크의 벌금을 부과했다.[18] 그는 이 부채를 갚는 데 단 8일의 시간이 주어졌다.[18] 히틀러는 재무부의 국무장관에게 개입을 지시했고, 세금 면제 대상이 되었다. 뮌헨 세무서장은 "지도자의 세금 의무에 대한 모든 세금 보고서는 처음부터 무효화된다. 따라서 지도자는 세금 면제 대상이다"라고 선언했다.[18]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 사망 후 히틀러는 그의 직위를 이어받아 봉급도 요구했다.[18]
히틀러의 유언장에서 그는 자신의 모든 재산을 독일 정부에 남겼다. "내가 소유한 것 중 가치 있는 것은 모두 당의 소유이다. 만약 당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면, 독일 국가의 소유가 된다. 국가마저 파괴된다면, 내 입장에서 더 이상의 결정은 필요 없다."[18]
각주
[편집]- ↑ “A Rich Hitler Evaded Taxes, Magazine Says”. 《Los Angeles Times》. 1987년 1월 3일. 2023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House of Responsibility.
- ↑ Shirer 1960, 6–9쪽.
- ↑ Shirer 1960, 10–11쪽.
- ↑ 가 나 Bullock 1952, 30–31쪽.
- ↑ 가 나 Bullock 1952, 30쪽.
- ↑ 가 나 Bullock 1952, 30–33쪽.
- ↑ Kershaw 1999, 53–54쪽.
- ↑ Kershaw 1999, 68쪽.
- ↑ Kershaw 1999, 83–84쪽.
- ↑ Kershaw 1999, 89–90쪽.
- ↑ Kershaw 1999, 89–91쪽.
- ↑ Kershaw 1999, 105쪽.
- ↑ Kershaw 1999, 117쪽.
- ↑ Kershaw 1999, 122–126쪽.
- ↑ Kershaw 1999, 126–127쪽.
- ↑ Kershaw 1999, 159–160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Nazi Underworld: Hitler's Money.
- ↑ Wells & Wells 2011, 84쪽.
- ↑ Markus 1997, 99쪽.
참고 문헌
[편집]- Bullock, Alan (1952). 《Hitler: A Study in Tyranny》. Konecky & Konecky. OCLC 33389757.
- Kershaw, Ian (1999) [1998]. 《Hitler: 1889–1936: Hubris》. New York: W.W. Norton & Company. ISBN 978-0-393-04671-7.
- Kershaw, Ian (2008). 《Hitler: A Biography》. W. W. Norton & Company. ISBN 978-0-393-06757-6.
- Markus, Hugh (1997). 《The History of the German Public Accounting Profession》. Taylor & Francis. ISBN 978-0815330103.
- Shirer, William (1960).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Simon & Schuster. LCCN 60-6729.
- Wells, Michael; Wells, Mike (2011). 《History for the IB Diploma: Causes, Practices and Effects of Wars》. Cambridge University. ISBN 978-0521189316.
온라인
[편집]- Cesarani, David. “Nazi Underworld: Hitler's Money”. National Geographic Channel. 2012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9일에 확인함.
- Kotanko, Florian. “House of Responsibility - Braunau, Austria”. 책임의 집. 2013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