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군참모총장에서 넘어옴)
육군참모총장
대한민국 육군기
현직
육군 대장
관저계룡대 공관
한남동 공관
초대 재임자이응준 소장
형성1948년

육군참모총장(영문 : Chief of Staff, R.O.K Army/한문 : 陸軍參謀總長)은 대한민국 육군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한민국 육군의 4성 장군(대장)이 역임한다(군 창설 당시에는 군의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3성 장군(중장)이 역임하였음). 대한민국 국군 중에서 합동참모본부 의장에 이어 의전 서열 2위이다.

역할

[편집]
  • (국군조직법 제10조 제2항) 각군 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각각 해당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감독은 제외한다.

역대 참모총장

[편집]

남조선국방경비대 육군 사령관

[편집]
정부 대수 사진 이름 계급 재임 비고
미군정 초대 원용덕(元容德) 참령 1946.1.15~12.13
(332일·10개월 28일)
2대 송호성(宋虎聲) 국방경비대 중령 1946.12.13~1948.8.15
(611일·1년 8개월 2일)
제1공화국 3대 준장(☆) 1948.8.15~11.20
(97일·3개월 5일)
초대 이응준(李應俊) 소장 1948.11.20~12.15
(25일)
강태무, 표무원 대대 월북 사건 스캔들로 자진 사임.
일본육사 26기
일본군 대좌 출신

육군참모총장

[편집]
정부 대수 사진 이름
(계급)
기수 재임 비고
제1공화국 초대 이응준(李應俊)
(☆☆)
1948.12.15~1949.5.8
(144일·4개월 23일)
강태무, 표무원 대대 월북 사건 스캔들로 자진 사임
일본육사 26기
일본군 대좌 출신
2 채병덕(蔡秉德)
(☆☆)
1949.5.9~9.30
(144일·4개월 21일)
김석원 수도사단장과의 알력 다툼으로 해임
일본육사 49기
일본군 소좌 출신
3 신태영(申泰英)
(☆☆)
1949.10.1~1950.4.9
(190일·6개월 9일)
4대 국방부 장관 역임
일본육사 26기
일본군 중좌출신
4 채병덕(蔡秉德)
(☆☆)
1950.4.10~6.29
(80일·2개월 19일)
김석원 수도사단장과의 알력 다툼으로 해임
일본육사 49기
일본군 소좌 출신
5 정일권(丁一權)
(☆☆)
1950.6.30~1951.6.22
(357일·11개월 23일)
1940년 일본육사 졸
만주군 상위 출신
6 이종찬(李鐘贊) 1951.6.23~1952.7.22
(395일·1년 29일)
임기 중 중장으로 진급
합동참모의장
8대 국방부 장관 임명
일본육사 49기 졸
일본군 소좌출신
7 백선엽(白善燁)
(☆☆☆)
1952.7.23~1954.2.13
(570일·1년 6개월 21일)
임기 중 대장으로 진급
4대 합참의장 임명
봉천 군관학교 졸
만주군 중위 출신
8 정일권(丁一權)
(☆☆☆☆)
1954.2.14~1956.6.26
(863일·2년 4개월 12일)
1940년 일본육사 졸
만주군 상위 출신
9 이형근(李亨根)
(☆☆☆☆)
1956.6.27~1957.5.17
(324일·10개월 20일)
초대 합참의장 임명
1942년 일본육사 졸
일본군 대위 출신
10 백선엽(白善燁)
(☆☆☆☆)
1957.5.18~1959.2.22
(645일·1년 9개월 4일)
4대 합참의장 역임
봉천 군관학교 졸
만주군 중위 출신
- 이형근(李亨根)
(☆☆☆☆)
1959.2.23~8.6
(164일·5개월 14일)
직무대행
11 송요찬(宋堯讚)
(☆☆☆)
1959.8.7~1960.5.22
(289일·9개월 15일)
13대 국방부 장관 임명
일본 육군 군조로 임관
12 최영희(崔榮喜)
(☆☆☆)
1960.5.23~8.28
(97일·3개월 5일)
16대 국방부 장관 역임
일본군 소위 출신
제2공화국 13 최경록(崔慶祿)
(☆☆☆)
1960.8.29~1961.2.16
(171일·5개월 18일)
일본 도요하시 예비사관학교 졸
일본군 소위 출신
14 장도영(張都映)
(☆☆☆)
1961.2.17~1961.6.5
(108일·3개월 19일)
12대 국방부 장관 역임
일본군 소위 출신
15 김종오(金鍾五)
(☆☆☆☆)
1961.6.6~1963.5.31
(724일·1년 11개월 24일)
8대 합참의장 임명
일본군 소위 출신
16 민기식(閔耭植)
(☆☆☆☆)
1963.6.1~1965.3.31
(669일·1년 9개월 27일)
일본군 소위 출신
제3공화국
17 김용배(金容培)
(☆☆☆☆)
1965.4.1~1966.9.1
(518일·1년 5개월)
18 김계원(金桂元)
(☆☆☆☆)
1966.9.2~1969.8.31
(1,094일·2년 11개월 29일)
19 서종철(徐鐘喆)
(☆☆☆☆)
1969.9.1~1972.6.1
(1,004일·2년 9개월)
20대 국방부 장관 임명
일본군 소위 출신
20 노재현(盧載鉉)
(☆☆☆☆)
3(1947) 1972.6.2~1975.2.28
(1,001일·2년 8개월 26일)
14대 합참의장
21대 국방부 장관 역임
일본군 소위 출신
제4공화국
21 이세호(李世鎬)
(☆☆☆☆)
2(1946) 1975.3.1~1979.1.31
(1,432일·3년 11개월 2일)
일본군 소위 출신
22 정승화(鄭昇和)
(☆☆☆☆)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5기 1979.2.1~12.12
(314일·10개월 10일)
12·12 스캔들로 강제 해임
23 이희성(李熺性)
(☆☆☆☆)
8(1949) 1979.12.13~1981.12.15
(733일·2년 2일)
제5공화국
24 황영시(黃永時)
(☆☆☆☆)
10(1951) 1981.12.16~1983.12.15
(729일·1년 11개월 29일)
25 정호용(鄭鎬溶)
(☆☆☆☆)
11(1952) 1983.12.16~1985.12.15
(730일·1년 11개월 29일)
25대 국방부 장관 역임
26 박희도(朴熙道)
(☆☆☆☆)
12(1956) 1985.12.16~1988.6.11
(908일·2년 5개월 26일)
노태우 정부 27 이종구(李鍾九)
(☆☆☆☆)
14(1958) 1988.6.12~1990.6.10
(728일·1년 11개월 29일)
28대 국방부 장관 역임
28 이진삼(李鎭三)
(☆☆☆☆)
15(1959) 1990.6.11~1991.12.5
(542일·1년 5개월 24일)
29 김진영(金振永)
(☆☆☆☆)
1991.12.6~1993.3.8
(458일·1년 3개월 2일)
하나회 숙청 작업의 와중에 해임
김영삼 정부 30 김동신(金東信)
(☆☆☆☆)
21(1965) 1993.3.9~1994.12.26
(657일·1년 9개월 17일)
26대 합참의장 역임
31 윤용남(尹龍男)
(☆☆☆☆)
19(1963) 1994.12.27~1996.10.18
(661일·1년 9개월 21일)
27대 합참의장 역임
32 도일규(都日圭)
(☆☆☆☆)
20(1964) 1996.10.19~1998.3.27
(524일·1년 5개월 8일)
김대중 정부 33 김동신(金東信)
(☆☆☆☆)
21(1965) 1998.3.28~1999.10.2
(553일·1년 6개월 4일)
36대 국방부 장관 역임
34 길형보(吉亨寶)
(☆☆☆☆)
22(1966) 1999.10.3~2001.10.12
(740일·2년 9일)
35 김판규(金判圭)
(☆☆☆☆)
24(1968) 2001.10.13~2003.4.6
(540일·1년 5개월 24일)
재임 중 연평해전 발발
노무현 정부 36 남재준(南在俊)
(☆☆☆☆)
25(1969) 2003.4.7~2005.4.7
(731일·2년)
국가정보원장 역임
37 김장수(金章洙)
(☆☆☆☆)
27(1971) 2005.4.7~2006.11.7
(579일·1년 7개월)
40대 국방부 장관 역임
초대 국가안보실장 역임
38 박흥렬(朴興烈)
(☆☆☆☆)
28(1972) 2006.11.17~2008.3.21
(500일·1년 4개월 14일)
전역 후 대통령경호실장 역임
이명박 정부 39 임충빈(任忠彬)
(☆☆☆☆)
29(1973) 2008.3.21~2009.9.21
(549일·1년 6개월)
40 한민구(韓民求)
(☆☆☆☆)
31(1975) 2009.9.21~2010.6.18
(270일·8개월 28일)
36대 합참의장
44대 국방부 장관 역임
41 황의돈(黃義敦)
(☆☆☆☆)
2010.6.18~12.14
(179일·5개월 26일)
부동산 투기 스캔들로 불명예 전역
42 김상기(金相基)
(☆☆☆☆)
32(1976) 2010.12.16~2012.10.11
(665일·1년 9개월 25일)
43 조정환(曺晶煥)
(☆☆☆☆)
33(1977) 2012.10.11~2013.9.28
(352일·11개월 17일)
박근혜 정부
44 권오성(權五晟)
(☆☆☆☆)
34(1978) 2013.9.28~2014.8.11
(317일·10개월 14일)
제3대 육군협회장 취임(2019.2.)
45 김요환 (金曜煥)
(☆☆☆☆)
2014.8.11~2015.9.17
(402일·1년 1개월 6일)
46 장준규 (張駿圭)
(☆☆☆☆)
36(1980) 2015.9.17~2017.8.11
(694일·1년 10개월 25일)
문재인 정부 47 김용우(金勇佑)
(☆☆☆☆)
39(1983) 2017.8.11~2019.4.16
(613일·1년 8개월 8일)
48 서욱(徐旭)
(☆☆☆☆)
41(1985) 2019.4.16~2020.9.18
(521일·1년 5개월 2일)
제47대 국방부 장관 역임
49 남영신(南泳臣)
(☆☆☆☆)
- 2020.9.23~2022.5.27
(611일·1년 8개월 4일)
최초의 학군장교(비육사) 출신
윤석열 정부 50 박정환(朴正煥)
(☆☆☆☆)
44(1988) 2022.5.27~2023.10.31
(522일·1년 5개월 4일)
51 박안수(朴安洙)
(☆☆☆☆)
46(1990) 2023.10.31~ [1][2]
직무대리 고창준(高昌俊)
(☆☆☆☆)
육군 3사관학교 출신 2024.12.12~2025.9.3
이재명 정부 직무대리 김규하(金圭河)
(☆☆☆☆)
47(1991) 2025.9.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직무정지
  2. 기소휴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