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돌프 히틀러의 성생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돌프 히틀러에바 브라운이 1942년 베르그호프에서 개들과 함께 있다.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의 독재자였던 아돌프 히틀러의 성생활은 오랫동안 역사적, 학술적 논쟁의 대상이자 추측과 소문의 대상이었다. 그가 평생 동안 여러 여성들과 관계를 맺었다는 증거와 동성애에 대한 반감을 가졌다는 증거가 있으며, 동성애적 만남에 대한 증거는 없다. 그의 이름은 여러 여성 애인들과 연관되어 왔는데, 그중 두 명은 자살했다. 세 번째는 자살 시도 8년 후 합병증으로 사망했고, 네 번째도 자살을 시도했다.[1][2][3][4]

히틀러는 자신의 정치적 사명과 나치 독일의 통치에 전적으로 헌신하는 국내 생활이 없는 금욕주의자라는 대중적 이미지를 만들었다. 거의 14년 동안 지속된 에바 브라운과의 관계는 대중에게는 비밀이었고 측근을 제외한 모두에게는 알려지지 않았다. 브라운의 전기 작가 하이케 괴르테마커는 두 사람이 정상적인 성생활을 즐겼다고 기록한다. 히틀러와 브라운은 1945년 4월 말, 함께 자살하기 불과 40시간 전에 결혼했다.

연합국의 두 차례 전시 보고서는 히틀러를 심리적으로 분석하려고 시도했다. 1943년 월터 C. 랭거가 미국 전략사무국(OSS)을 위해 작성한 보고서에는 히틀러가 억압된 동성애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발기부전에 걸린 분변기호증 환자라고 진술되어 있다. 심리학자 헨리 머리는 1943년 OSS를 위해 별도의 정신분석 보고서를 작성하여 유사한 결론을 내렸다. 히틀러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내 반대자 중 한 명인 오토 슈트라서도 전후 심문관들에게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영국 역사학자 이언 커쇼는 슈트라서의 진술을 "반히틀러 선전"이라고 묘사했다.[5]

히틀러 사망 후의 연구에서 히틀러의 성적 지향에 대해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가 동성애자였다거나, 양성애자였다거나, 무성애자였다는 주장이다. 결정적인 증거는 부족하지만,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그가 이성애자였다고 믿는다. 히틀러가 애인 중 한 명과 혼외 자녀(장마리 로레)를 가졌다는 주장이 적어도 한 가지 있다. 커쇼와 같은 주류 역사학자들은 이를 가능성이 없거나 불가능하다고 일축한다.[6]

역사적 기록

[편집]

히틀러의 성생활은 오랫동안 추측과 소문의 대상이었는데, 그 중 많은 부분이 그의 정치적 적들에 의해 조작되거나 "과장"되었다.[7] 히틀러 측근의 많은 구성원들의 성적 취향은 알려져 있지만, 히틀러의 성생활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부족하다. 히틀러의 사생활에 대한 현존하는 증거는 주로 그의 부관, 비서, 알베르트 슈페어, 바그너가, 그리고 다른 사람들처럼 그의 측근에 있던 사람들에게서 나온다. 그가 여러 여성들에게 반했다는 증거와 동성애에 대한 반감을 가졌다는 증거가 있으며, 그가 동성애 행위에 가담했다는 증거는 없다.[8][9][10] 커쇼는 그가 특히 에 있던 젊은 시절 개인적인 접촉과 성적 활동, 즉 동성애와 매춘에 혐오감을 느꼈다고 묘사한다. 그는 성병에 걸리는 것을 두려워했다.[11]

커쇼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군인으로서 히틀러가 전우들과 성에 대한 토론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언급한다. 이 시기에 그의 금욕에 대해 놀림을 받자 히틀러는 "프랑스 여자와 섹스를 찾다가 수치심으로 죽을 것"이며, "너희는 독일인의 명예심이 전혀 남아있지 않은가?"라고 답했다.[12] 한 전우가 여자친구를 사랑한 적이 있냐고 묻자 히틀러는 "나는 그런 것에 시간을 할애할 틈이 없었고, 앞으로도 그럴 틈이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13]

여성과의 관계

[편집]

히틀러는 자신의 정치적 사명에 전념하는 국내 생활이 없는 금욕적인 사람이라는 대중적 이미지를 만들었다.[14][15] 그는 자신의 권력적 지위 때문에 여성들에게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 슈페어는 그가 자신의 일에 대해 도전하거나 여가 시간에 휴식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어리석은 여성을 선호한다고 말했던 것을 회상했다.[16] 커쇼는 히틀러가 지배하고 조형하기 쉬운 어린 여성을 선호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는 히틀러의 가까운 여성 측근 중 적어도 세 명(에바 브라운, 겔리 라우발, 마리아 라이터)이 자신보다 훨씬 어렸다고 지적한다. 브라운은 23살, 라우발은 19살, 라이터는 21살 어렸다.[17]

초창기 뮌헨에서 히틀러 측근 중 한 명이었던 에른스트 한프슈탱글은 "나는 히틀러가 이도 저도 아닌, 완전히 동성애자도 완전히 이성애자도 아닌 남자라고 느꼈다... 나는 그가 억압된 자위하는 타입의 발기부전이라는 확고한 확신을 가졌다"고 썼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프슈탱글은 히틀러의 이성애에 충분히 확신을 가지고 히틀러와 미국 대사의 딸 마사 도드 사이의 낭만적인 관계를 장려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19] 한프슈탱글에 따르면, 영화 제작자 레니 리펜슈탈은 초기에 히틀러와 관계를 시작하려고 했지만, 그는 그녀를 거절했다.[20] 마그다 괴벨스는 히틀러가 여성들을 만나도록 격려하기 위해 파티에 초대했지만, 그는 관심이 없었다. 유니티 미트포드와 같은 친나치 외국 여성들이 방문했을 때, 히틀러는 보통 그들에게 정치에 대해 강의했다.[21]

겔리 라우발

[편집]

히틀러는 자신보다 19살 어린 이복 조카 겔리 라우발에게 깊이 애착을 가졌다. 그녀는 1925년 어머니 앙겔라 히틀러가 히틀러의 가정부가 된 후 그의 거처에서 살기 시작했다. 그들의 관계의 정확한 성격과 범위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커쇼는 이를 잠재적인 "성적 의존"이라고 묘사한다.[22] 동시대인들 사이에서는 그들이 낭만적인 관계에 있었다는 소문이 돌았다. 겔리는 1931년 9월 히틀러의 뮌헨 아파트에서 히틀러의 총으로 자살했다. 그녀의 죽음은 히틀러에게 깊고 지속적인 고통의 원인이었다.[23]

에바 브라운

[편집]

거의 14년 동안 지속된 히틀러와 에바 브라운의 관계는 대중에게는 비밀이었고 그의 측근을 제외한 모두에게는 알려지지 않았다.[24] 그 측근 내에서는 그는 브라운에 대해 공개적이었고, 그들은 베르히테스가덴에서 부부로서 함께 살았다. 히틀러의 하인 하인츠 링에는 그의 회고록에서 히틀러와 브라운이 베르그호프에 연결된 문이 있는 침실 두 개와 욕실 두 개를 가지고 있었으며, 히틀러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대부분의 저녁을 서재에서 그녀와 단둘이 보냈다고 진술했다. 그녀는 "드레싱 가운이나 집에서 입는 옷"을 입고 와인을 마셨으며, 히틀러는 차를 마셨다.[25] 브라운의 전기 작가 하이케 괴르테마커는 두 사람이 정상적인 성생활을 즐겼다고 기록한다.[26] 브라운의 친구들과 친척들은 그녀가 1938년 히틀러의 뮌헨 아파트 소파에 앉아 있는 네빌 체임벌린의 사진을 보고 "그가 이 소파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알았다면 좋았을 텐데"라고 말하며 웃었다고 묘사했다.[27]

히틀러의 편지는 그가 그녀를 좋아했으며, 그녀가 스포츠에 참여하거나 차 마시러 늦게 돌아올 때 걱정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28] 그의 비서 트라우들 융에는 전쟁 중에 히틀러가 매일 브라운에게 전화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그가 그녀에게 사준 뮌헨 집에서 지내는 동안 그녀의 안전을 걱정했다. 융에는 히틀러에게 왜 결혼하지 않았냐고 한 번 물었다. 히틀러는 "...나는 아내에게 충분한 시간을 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답했다.[29] 히틀러는 아이들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는데, 그들은 "...유명한 부모와 같은 재능을 가질 것이 기대되고 평범함은 용서받을 수 없기 때문에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29] 결국 히틀러와 브라운은 1945년 4월 말 베를린 퓌러엄폐호에서 함께 자살하기 불과 40시간 전에 결혼했다.[30]

동성애에 대한 견해

[편집]

에른스트 룀은 히틀러의 가장 가까운 친구였다. 그를 "아돌프"라고 부르는 몇 안 되는 사람 중 한 명이었다.[31] 히틀러는 1931~1932년 뮌헨 포스트가 룀의 동성애를 폭로한 룀 스캔들 동안 그를 계속 지지했지만, 역사학자 로리 마호퍼는 이것이 히틀러의 동성애 증거가 아니라고 주장한다.[32] 역사학자 앤드루 워커푸스는 《돌격대 가족들(Stormtrooper Families)》에서 히틀러가 동성애에 대해 개인적인 불편함은 없었지만, 1934년 장검의 밤을 정당화하기 위해 동성애 혐오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했다고 주장한다.[33]

히틀러가 이전에 룀과 다른 SA 지도자들의 동성애를 용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도덕성 혐의는 1934년의 정치적 살인에 대한 독일 국민의 지지를 얻는 데 효과적이었다.[34] 1941년 8월, 히틀러는 "동성애는 사실상 전염병만큼 전염성이 강하고 위험하다"고 선언했고,[35] 하인리히 힘러SS 지도자로서 군과 SS 모두에서 동성애자들을 제거하려는 노력을 지지했다.[36] 동성애는 유대인 문제에 비하면 히틀러의 우선순위가 아니었다.[37]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은 반동성애적 견해를 가졌으며, 1928년에는 "동성애적 사랑을 생각하는 자는 모두 우리의 적이다"라고 선언했다.[38] 히틀러 정권은 동성애자들을 박해했으며, 약 5,000명에서 15,000명을 나치 강제 수용소로 보냈고, 이들 중 약 2,500명에서 7,500명이 사망했다.[39]

헤르만 라우슈닝은 히틀러의 제1차 세계 대전 군 기록에서 히틀러가 한 장교와 소년애적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은 군사법원 관련 항목을 보았다고 주장했다. 라우슈닝은 또한 뮌헨에서 히틀러가 소년애를 다루는 175조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 두 혐의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40]

전시 보고서

[편집]

1943년, 미국 전략사무국(OSS)은 연합국이 독재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의뢰된 월터 C. 랭거의 《아돌프 히틀러의 심리 분석: 그의 삶과 전설 (A Psychological Analysis of Adolf Hitler: His Life and Legend)》을 받았다.[41] 이 보고서는 나중에 《아돌프 히틀러의 정신: 비밀 전시 보고서》(1972)로 책으로 확장되었는데,[42] 히틀러가 억압된 동성애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하고[43] 그가 발기부전 분변기호증 환자라고 진술한다.[44] 심리학자 헨리 머리도 1943년에 OSS를 위해 《아돌프 히틀러의 성격 분석: 그의 미래 행동에 대한 예측과 지금 그리고 독일 항복 후 그를 다루는 방법에 대한 제안 (Analysis of the Personality of Adolph Hitler: With Predictions of His Future Behavior and Suggestions for Dealing with Him Now and After Germany's Surrender)》이라는 별도의 정신분석 보고서를 작성했다.[45] 그는 히틀러의 주된 분변기호증에 대해서도 다루었지만, 전반적으로 히틀러를 조현병 환자로 진단했다.[46]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내 히틀러의 반대자 중 한 명인 오토 슈트라서는 OSS 심문관들에게 나치 독재자가 겔리 라우발에게 자신에게 소변과 대변을 보게 강요했다고 말했다.[47] 커쇼는 슈트라서가 유포한 소위 "성적 일탈 행위"에 대한 이야기는 "...반히틀러 선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5]

최근 주장

[편집]

그의 사망 후 연구에서 히틀러의 성생활에 대해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가 동성애자, 양성애자 또는 무성애자였거나, 겔리 라우발과 성행위를 했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22] 매사추세츠 로웰 대학교잭 누산 포터는 1998년에 "히틀러는 동성애자들을 경멸했는가? 그는 자신의 동성애적 정체성을 부끄러워했는가? 이것들은 알려진 지식을 넘어선 역사심리학의 영역이다. 나의 개인적인 느낌은 히틀러가 전통적인 의미에서 무성애자였으며 기이한 성적 페티시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라고 썼다.[48]

역사학자 로타르 마흐탄은 2001년 저서 《숨겨진 히틀러》에서 히틀러가 동성애자였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히틀러가 빈에서 젊은 친구들과의 경험, 룀, 한프슈탱글, 에밀 마우리스 등과의 성인 관계에 대해 추측하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히틀러와 함께 복무했던 한스 멘트가 1920년대 초 뮌헨 경찰에 제기한 일련의 주장을 담은 멘트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미국 언론인 론 로젠바움은 마흐탄의 연구를 매우 비판하며, 그의 "증거는 결정적이지 못하고 종종 아예 증거가 되지 못한다"고 말한다.[49] 대부분의 학술 연구는 마흐탄의 주장을 일축한다.[8][9][10] 2004년, HBO는 마흐탄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숨겨진 퓌러: 히틀러의 성생활의 수수께끼를 논하다 (Hidden Führer: Debating the Enigma of Hitler's Sexuality)》를 제작했다.

폴커 울리히는 히틀러가 이따금 여성들과 성관계를 가졌지만, 연인으로서 서툴렀고 침대에서 여성 연인들의 경험에 대해 대부분 관심이 없거나 공감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로맨틱하게 특히 다작하지 못했다고 제안한다.[50] 그는 몇 가지 발언을 언급한다. 1920년대 초 히틀러의 후원자 중 한 명의 15세 딸 샬럿 베흐슈타인은 "그는 키스할 줄 몰랐다"고 말했다.[51] 마리아 라이터는 "그는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몰랐다"고 말했다.[52]

실제 관계와 가능성 있는 관계

[편집]

히틀러의 이름은 여러 여성들과 낭만적으로 연관되어 왔다.

이름 생애 사망 원인 히틀러와의 접촉 정보
슈테파니 라바치 1887–1975 자연사 1905–09 라바치는 오스트리아 여성으로, 히틀러의 어린 시절 친구인 아우구스트 쿠비제크에 따르면, 십대 히틀러의 짝사랑 상대였다.[53] 쿠비제크의 회고록은 이 이야기의 유일한 출처이다.[54]
샬럿 로브조이 1898–1951 불명 1916–17 주장된 연인; 그녀의 아들 장마리 로레는 히틀러가 자신의 아버지라고 주장했다.[55] 안톤 요아힘스탈러와 같은 역사학자,[56] 이언 커쇼,[6] 그리고 벨기에 언론인 장폴 멀더스[57]가 표명한 지배적인 견해는 히틀러가 로레의 친부가 아닐 가능성이 높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에르나 한프슈탱글 1885–1981 자연사 1922–23 에르나는 에른스트 한프슈탱글의 누나이자 히틀러의 지인이었다. 실패한 뮌헨 폭동 이후, 그들이 우핑의 한 시골집에서 성관계를 가졌고 약혼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이러한 주장은 나중에 거짓으로 판명되었다.[58]
겔리 라우발 1908–1931 자살 1925–31 히틀러의 이복 조카인 라우발은 1925년부터 1931년 자살할 때까지 그의 아파트에 살았다. 그들이 연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59][2]
마리아 라이터 1911–1992 자연사; 1928년 교수형으로 자살 시도 1925–38 라이터는 1920년대 후반에 히틀러와 낭만적으로 얽혔을 수 있다.[3][60] 그의 누나 파울라 히틀러는 나중에 라이터가 그의 파괴적인 충동을 억제할 수 있었던 유일한 여성이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61]
유니티 미트포드 1914–1948 1939년 자살 시도 관련 합병증[62] 1934–39 미트포드는 영국의 사교계 명사이자 미트포드 가의 일원이었다. 그녀는 나치즘, 파시즘, 반유대주의의 저명한 지지자였으며 히틀러 측근의 일원이었다.[63]
비니프레트 바그너 1897–1980 자연사 1923–45 바그너는 히틀러의 친구이자 지지자였으며, 둘은 정기적으로 서신을 주고받았다. 1933년경 그녀와 히틀러가 결혼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64]
에바 브라운 1912–1945 히틀러와 함께 동반 자살 1929–45 브라운은 히틀러의 오랜 동반자이자 잠시 그의 아내였다. 그들은 뮌헨에서 그녀가 히틀러의 개인 사진작가 하인리히 포프만의 17세 조수이자 모델이었을 때 만났다. 그녀는 약 2년 후부터 히틀러를 자주 만나기 시작했다.[6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ershaw 2008, 218–222, 378, 947, 955쪽.
  2. Görtemaker 2011, 43쪽.
  3. Rosenbaum 1998, 111–116쪽.
  4. Hamilton 1984, 194, 213쪽.
  5. Kershaw 2008, 219쪽.
  6. Kershaw 2001, 635쪽.
  7. Kershaw 2008, 23–24, 219쪽.
  8. Nagorski 2012, 81쪽.
  9. Kershaw 2008, 22–23, 219쪽.
  10. Joachimsthaler 1999, 264쪽.
  11. Kershaw 2008, 23–24쪽.
  12. Kershaw 2001, 92쪽.
  13. Kershaw 2001, 93쪽.
  14. Shirer 1960, 130쪽.
  15. Bullock 1999, 563쪽.
  16. Speer 1971, 138쪽.
  17. Kershaw 2001, 284쪽.
  18. Hanfstaengl 1957, 123쪽.
  19. Larson 2011, 160–162쪽.
  20. Bach 2007, 92쪽.
  21. Gunther 1940, 8쪽.
  22. Kershaw 2008, 218–219쪽.
  23. Bullock 1999, 393–394쪽.
  24. Kershaw 2008, 219, 378, 947쪽.
  25. Linge 2009, 39쪽.
  26. Görtemaker 2011, 168–171쪽.
  27. Connolly 2010.
  28. Speer 1971, 139쪽.
  29. Galante & Silianoff 1989, 96쪽.
  30. Beevor 2002, 342–344, 359쪽.
  31. Gunther 1940, 6쪽.
  32. Marhoefer 2015, 154–155쪽.
  33. Wackerfuss 2015, 307쪽.
  34. Wackerfuss 2015, 305쪽.
  35. Evans 2008, 535쪽.
  36. Evans 2008, 535–536쪽.
  37. Giles 2010, 385쪽.
  38. Marhoefer 2015, 151–152쪽.
  39. Evans 2005, 534쪽.
  40. Langer 1972, 137–138쪽.
  41. Langer 1943, 2쪽.
  42. Langer 1972.
  43. Langer 1943, 196쪽.
  44. Langer 1943, 138쪽.
  45. Murray 1943.
  46. Vernon 1942.
  47. Rosenbaum 1998, 134쪽.
  48. Porter 1998.
  49. Rosenbaum 2001.
  50. Ullrich 2016, 267–290쪽.
  51. Ullrich 2016, 271쪽.
  52. Ullrich 2016, 275쪽.
  53. Kubizek 2011, 67쪽.
  54. Kershaw 2008, 12–13쪽.
  55. Allen 2012.
  56. Joachimsthaler 1989, 162–164쪽.
  57. Het Laatste Nieuws 2008.
  58. Large 1997, 191쪽.
  59. Kershaw 2008, 218–222쪽.
  60. Hamilton 1984, 213쪽.
  61. TIME 1959.
  62. Hamilton 1984, 194쪽.
  63. Bright 2002.
  64. Hamann 2005, 49, 99쪽.
  65. Kershaw 2008, 219, 378, 947, 955쪽.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