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후포리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후포리층
층서 범위: 선캄브리아기
후포리 갓바위 지역의 후포리층
유형퇴적암
하층평해화강편마암 (부정합)
상층불명
지역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평해읍 거일리, 직산리
두께불명
암질
점판암, 사암, 석회암
나머지천매암
위치
이름 유래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명명자평해 지질도폭(1963)
좌표북위 36° 40′ 46.5″ 동경 129° 27′ 57.5″ / 북위 36.679583° 동경 129.465972°  / 36.679583; 129.465972
지방경상 분지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범위육상 부분 약 7 km2

경상 분지 북동부 울진군의 지질, 봉화군의 지질, 영양군의 지질, 영덕군의 지질

후포리층(厚浦里層, Hupori Formation)은 대한민국 영남 지괴/영남 육괴 북동부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와 평해읍 거일리, 직산리 지역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퇴적암 지층이다.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를 표식지로 하며 후포등기산공원과 후포리 갓바위 지역에서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다.

암상

[편집]

평해 지질도폭(1963)에 의하면, 후포리층은 분포지 서쪽에서는 후포리 단층에 의해 선캄브리아기 원남층군평해화강편마암과 접하며 동쪽에서는 선캄브리아기 평해화강편마암부정합으로 덮는다. 후포리층은 회색~회녹색 점판암, (암)회색 사암, 백색~회색 석회암과 여기에 협재된 천매암으로 구성되며 암상만 놓고 보면 삼척탄전 지역의 조선 누층군과 유사하다. 후포리층은 많은 단층습곡으로 지층이 교란되어 있는데, 평해읍 학곡리 동부에서는 주향 북서 20~45°, 경사 북동 36~45°이나 후포리 지역에서는 주향 북서 65~80°, 경사 남서 25~40° 이다. 습곡의 축은 북서 방향이며 소규모 단층들은 북동 방향이 우세하다.[1]

한국공항 평해광업소

[편집]

한국공항 평해광업소(韓國空港平海鑛業所, Pyeonghae Mining Station of Korea Airport Service, 도로명주소: 동해대로 720-107)는 울진군 평해읍 거일리·직산리의 등기산 지역에 존재했던 한국공항석회암 광산이다. 과거 후포리층의 석회암을 채굴하던 광산으로 이곳에서 생산된 석회석은 포스코한국전력공사에 제공되었으나 폐광 이후 방치되어 있다.[2]

사진

[편집]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동부의 후포등기산공원(지번: 후포리 산 141-1)과 갓바위(지번: 후포리 산 141-19) 일대에 후포리층이 대규모로 드러나 있다.

후포등기산공원

[편집]

후포리 갓바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