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리라라팍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라라팍스속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제3절

두 종의 전방부속지 비교
두 종의 전방부속지 비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공하강
목: 방사치목
과: 암플렉토벨루아과
속: 리라라팍스속
Cong et al., 2014[1]
모식종
Lyrarapax unguispinus
Cong et al., 2014[1]
  • L. unguispinus Cong et al., 2014[1]
  • L. trilobus Cong et al., 2016[2]

리라라팍스(학명 Lyrarapax)는 5억 1800만 년 전 캄브리아기 초기에 출현한 암플렉토벨루아과 방사치류의 한 이다. 중국의 마오텐산 셰일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2014년에 기재된 첫 번째 종, Lyrarapax unguispinus와 2016년에 기재된 Lyrarapax trilobus는 주로 전방부속지의 형태에서 차이가 난다.[2]

특징

[편집]

웅구이스피누스 종

[편집]

웅구이스피누스는 몸길이가 대략 8cm이다.[3] 전방부속지는 짧으며 커다란 첫째 안돌기는 몇 개의 가시를 가지고 있고 그 앞으로 다른 안돌기들이 마주보고 있다. 목 부위는 눈에 잘 띄며 네 개의 마디로 되어있다. 첫째 지느러미는 매우 크게 발달해 있고 노 모양이며, 그 뒤로 연달아 난 다른 마디들의 지느러미들은 뒤로 갈수록 크기가 급격히 줄어들고 꼬리부채는 세 개의 칼날 모양 지느러미들로 이루어져 있다. 주목할 점은, 웅구이스피누스의 화석에 신경계가 세세하게 보존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는 이 방사치류의 전방부속지가 발톱벌레더듬이처럼 전대뇌와 이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덧붙여서, 윗입술 또한 전대뇌와 이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조에서 기원했을 가능성도 있어 절지동물 머리 문제(arthropod head problem)에 대한 그럴듯한 답을 제공해준다.[1]

트릴로부스 종

[편집]

트릴로부스는 크기가 꽤 작으며 H 요소는 크기가 다소 작은 편이지만 가장자리에 테를 두르고 있다. 전방부속지는 웅구이스피누스와 달리 마주보고 있는 안돌기의 존재(셋째 및 다섯째 비 자루가락마디에 안돌기가 없다)와 두 번째 안돌기가 특히 크기가 큰 점 때문에 형태가 매우 다르다. 리라라팍스는 입 주변에 특이한 주름 구조물을 보고한 초기의 기재 논문과는 반대로 네 개의 큰 치판과 그 사이에 낀 더 작은 치판들이 있는 전형적인 방사치류 구주를 지니고 있다.[4] 이 종의 첫 번째 지느러미는 웅구이스피누스와 달리 나머지 지느러미보다 훨씬 넓지 않으며 지느러미에는 또 다른 특징인 보강살(strengthening ray)로 해석되는 가로선을 가지고 있다. 몸통은 양 옆보다 좀 더 솟아오른 가운데 부위에 있는 튀어나와 있는 주름으로 인해(이 종의 종소명이 기원인) 세 개의 엽으로 나뉘어진다.[2]

학명의 어원

[편집]

속명 "Lyrarapax"는 라틴어 리라(lyra, 리라)와 라팍스(rapax, 포식자)의 합성어로 리라와 닮은 이 속의 몸의 윤곽과 포식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점 때문에 명명된 것이다.[1] 종소명 웅구이스피누스(unguispinus)는 발톱을 닮은 가시투성이의 전방부속지에서 유래한 한편, 종소명 트릴로부스(trilobus)의 경우 세 개의 엽으로 나뉘는 몸통에서 유래하였다.[1][2]

각주

[편집]
  1. Peiyun Cong; Xiaoya Ma; Xianguang Hou; Gregory D. Edgecombe; Nicholas J. Strausfeld (2014). “Brain structure resolves the segmental affinity of anomalocaridid appendages”. 《Nature》 513 (7519): 538–42. Bibcode:2014Natur.513..538C. doi:10.1038/nature13486. PMID 25043032. S2CID 4451239. 
  2. Cong, Peiyun; Daley, Allison C.; Edgecombe, Gregory D.; Hou, Xianguang; Chen, Ailin (2016). “Morphology of the radiodontan Lyrarapax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biota”. 《Journal of Paleontology》 90 (4): 663–671. Bibcode:2016JPal...90..663C. doi:10.1017/jpa.2016.67. S2CID 88742430. 
  3. Lerosey-Aubril R, Pates S (September 2018). “New suspension-feeding radiodont suggests evolution of microplanktivory in Cambrian macronekton”. 《Nature Communications》 9 (1): 3774. Bibcode:2018NatCo...9.3774L. doi:10.1038/s41467-018-06229-7. PMC 6138677. PMID 30218075.  Dryad Data
  4. Liu, Jianni; Lerosey-Aubril, Rudy; Steiner, Michael; Dunlop, Jason A; Shu, Degan; Paterson, John R (2018년 11월 1일). “Origin of raptorial feeding in juvenile euarthropods revealed by a Cambrian radiodontan”. 《National Science Review》 5 (6): 863–869. doi:10.1093/nsr/nwy057. ISSN 2095-5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