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쿠메리크루스
![]()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먀오링세 | |
![]() 몸통 부속지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속: | †쿠쿠메리크루스속 Hou, Bergstrom & Ahlberg, 1995 |
모식종 | |
†Cucumericrus decoratus | |
Hou, Bergstrom & Ahlberg, 1995 |
쿠쿠메리크루스 (학명: Cucumericrus, →오이 다리)는 절지동물 줄기군에 속하는 멸종한 동물로 쿠쿠메리쿠스속의 모식종이자 유일한 종이다. 중국 윈난성의 마오텐산 셰일에서 발견되었다.[1]
특징
[편집]쿠쿠메리크루스는 몇 점의 보존의 거의 안된 화석표본들만이 발견되었다.[1][2] 몸통 큐티클 파편들과 거기에 연결되어 있는 부속지들만이 노출되어 있는 한편, 분류를 확인하는 데 준요한 머리 구조물 등의 특징들은 발견되지 않았다.[2][3] 몸통 큐티클에는 불규칙한 주름이 있어[1] 살아있을 적에 몸이 부드러웠을 것으로 보인다.[4] 각각의 몸통 부속지는 새엽족류 (등지느러미 및 엽족)와 진절지동물의 이분지(지느러미 모양의 겉다리와 걷는다리 모양의 속다리)의 몸통 부속지와 구조상 비교해 볼 때[3][5] 등지느러미 같은 요소와 알 수 없는 원위부가 달린 배면의 통통한 다리들로 구성되어 있다.[1] 지느러미의 앞 가장자리에는 일부 방사치류의 몸통지느러미에 있는 것과 유사한 빛살 형태의 구조물로 선이 그어져 있다. 다리는 환형의 엽족과 마디 진 절지동물 다리 사이의 어떤 형태로 해석된다.[4][5]
분류적 연관성
[편집]쿠쿠메리크루스는 처음에 다소 비슷한 몸통 부속지를 가진 파라페이토이아와 함께 방사치류로 기재되었으나, 이후에 그 당시 다리를 가진 방사치류로 오해받은[1] 대협강으로 공개했다.[6][7][8][9] 다리의 존재가 다른 방사치류에서는 밝혀지지 않았을 뿐더러 주요 특징(예: 전방부속지, 구주, 머리경판)이 발견되지 않아 쿠쿠메리크루스의 방사치류 연관성은 의문으로 남아 있다. 쿠쿠메리크루스를 비롯한 근소한 계통 분석에서는 (카리오신트립스와 함께) 진절지동물과 기타 방사치류 사이의 다분할인지[10][11] 또는 방사치류보다는 진절지동물(초기 중지동물로서)에 더 가까운지 이를 해결할 것이다.[12]
같이 보기
[편집]- 카리오신트립스: 비슷하게 분류가 불명확한 절지동물 줄기군
- 파라페이토이아: 한때 다리를 가진 방시치류로 여겨졌던 대협류의 일종
- 에라투스: 비슷하게 생긴 몸통 부속지를 가진 초기 중지동물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Xian-Guang, Hou; Bergström, Jan; Ahlberg, Per (1995년 9월 1일). “Anomalocaris and other large animals in the lower Cambrian Chengjiang fauna of southwest China”. 《GFF》 117 (3): 163–183. Bibcode:1995GFF...117..163X. doi:10.1080/11035899509546213. ISSN 1103-5897.
- ↑ 가 나 Allison C. Daley & Graham E. Budd (2010). “New anomalocaridid appendages from the Burgess Shale, Canada”. 《Palaeontology》 53 (4): 721–738. Bibcode:2010Palgy..53..721D. doi:10.1111/j.1475-4983.2010.00955.x.
- ↑ 가 나 Xian-Guang, Hou; Siveter, David J.; Siveter, Derek J.; Aldridge, Richard J.; Pei-Yun, Cong; Gabbott, Sarah E.; Xiao-Ya, Ma; Purnell, Mark A.; Williams, Mark (2017년 4월 24일). 《The Cambrian Fossils of Chengjiang, China: The Flowering of Early Animal Life》 (영어). John Wiley & Sons. ISBN 978-1-118-89638-9.
- ↑ 가 나 Jan Bergström & Hou Xian-Guang (2003). “Arthropod origins” (PDF). 《Bulletin of Geosciences》 78 (4): 323–334.
- ↑ 가 나 Van Roy, Peter; Daley, Allison C.; Briggs, Derek E. G. (2015). “Anomalocaridid trunk limb homology revealed by a giant filter-feeder with paired flaps” (영어). 《Nature》 522 (7554): 77–80. Bibcode:2015Natur.522...77V. doi:10.1038/nature14256. ISSN 1476-4687. PMID 25762145. S2CID 205242881.
- ↑ Stein, Martin (2010). “A new arthropod from the Early Cambrian of North Greenland, with a 'great appendage'-like antennula: A NEW CAMBRIAN ARTHROPOD FROM GREENLAND” (영어).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58 (3): 477–500. doi:10.1111/j.1096-3642.2009.00562.x.
- ↑ Legg, David A.; Sutton, Mark D.; Edgecombe, Gregory D.; Caron, Jean-Bernard (2012년 12월 7일). “Cambrian bivalved arthropod reveals origin of arthrodization” (영어).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9 (1748): 4699–4704. doi:10.1098/rspb.2012.1958. ISSN 0962-8452. PMC 3497099. PMID 23055069.
- ↑ Legg, David A.; Sutton, Mark D.; Edgecombe, Gregory D. (2013년 9월 30일). “Arthropod fossil data increase congruence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ies” (영어). 《Nature Communications》 4 (1): 2485. Bibcode:2013NatCo...4.2485L. doi:10.1038/ncomms3485. ISSN 2041-1723. PMID 24077329.
- ↑ Aria, Cédric; Zhao, Fangchen; Zeng, Han; Guo, Jin; Zhu, Maoyan (2020년 1월 8일). “Fossils from South China redefine the ancestral euarthropod body plan”. 《BMC Evolutionary Biology》 20 (1): 4. Bibcode:2020BMCEE..20....4A. doi:10.1186/s12862-019-1560-7. ISSN 1471-2148. PMC 6950928. PMID 31914921.
- ↑ Van Roy, Peter; Daley, Allison C.; Briggs, Derek E. G. (2015). “Anomalocaridid trunk limb homology revealed by a giant filter-feeder with paired flaps” (영어). 《Nature》 522 (7554): 77–80. Bibcode:2015Natur.522...77V. doi:10.1038/nature14256. ISSN 1476-4687. PMID 25762145. S2CID 205242881.
- ↑ Liu, Jianni; Lerosey-Aubril, Rudy; Steiner, Michael; Dunlop, Jason A; Shu, Degan; Paterson, John R (2018년 11월 1일). “Origin of raptorial feeding in juvenile euarthropods revealed by a Cambrian radiodontan” (영어). 《National Science Review》 5 (6): 863–869. doi:10.1093/nsr/nwy057. ISSN 2095-5138.
- ↑ McCall, Christian R. A. (2023년 12월 13일). “A large pelagic lobopodian from the Cambrian Pioche Shale of Nevada” (영어). 《Journal of Paleontology》 97 (5): 1009–1024. Bibcode:2023JPal...97.1009M. doi:10.1017/jpa.2023.63. ISSN 0022-3360. S2CID 266292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