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경도약대암장

연경도약대암장(硏經跳躍臺巖嶂, Yeongyeong Doyakdae Rocky Climb), 대구 연경동 도약대 암장은 대구광역시 동구 연경동 지역[1]에 위치한 암벽등반 암장이며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 신라 역암층으로 구성된 자연 절벽이다. 도시에 인접한 암장으로 1990년 개척을 시작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개요
[편집]역사
[편집]1990년 대구 극등회는 동화천 하천변에 위치한 이 절벽을 '연경동 도약대'로 처음 명명하였다. 이후 여러 산악회에서 추가로 루트를 개척하여 현재는 총 51개 루트가 개설되어 있다. 도시에서 가까워 많은 등반자가 찾으며 여름에는 발전기로 불을 밝혀 야간 등반도 실시한다.[2][3]
구성
[편집]연경도약대암장은 가장 좌측부터 도약대, 용바위1, 용바위2, 고바위 4개 암장으로 구성되며 이 중 도약대 바위 이름을 따서 통상적으로 연경 도약대라고 지칭한다. 총 51개 루트가 존재하며 루트의 난이도는 대체로 5.10~5.11급으로 초·중급이다.[2][4]
접근
[편집]연경도약대암장은 대구광역시에 있어 시내와 가까와 접근이 매우 편리하며 연경체육공원 주차장(도로명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동화천로 330) 뒤쪽 길로 접근하거나 연경공원(도로명주소: 대구 북구 동화천로 333)에서 동화천 하천 산책로를 따라 접근할 수 있다. 연경체육공원 주차장에는 20여 대가 주차할 수 있고 화장실이 있으며 이 주차장 뒤쪽에서 연경도약대암장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이 있다.
- 자동차 (지번: 대구 동구 지묘동 산 73-1/도로명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동화천로 330 또는 333)
- 버스 (연경체육공원앞 정류소)
- ● 501번 : 대구성서공단 ↔ 달서구 ↔ 서부정류장 ↔ 두류공원, 감삼역 ↔ 청라언덕역 ↔ 곽병원, CGV대구한일 ↔ 경대교 ↔ 경북대학교 북문 ↔ 복현오거리 ↔ 봉무동 ↔ 파군재삼거리 ↔ 연경체육공원 ↔ 연경동
- ● 503번 : 대구성서공단 ↔ 계명대역 ↔ 용산2동 ↔ 감삼역, 두류역 ↔ 두류공원 ↔ 현충로역 ↔ 명덕역 ↔ 반월당역 ↔ 중앙로역 ↔ 경대교 ↔ 경북대학교 정문 ↔ 복현오거리 ↔ 산격대교 ↔ 동·서변동 ↔ 연경동 ↔ 연경체육공원 ↔ 연경동종점
- ● 북구2번 : 달성공원건너, 청라언덕역, 반월당역 ↔ 대구역 북편네거리 ↔ 칠성시장역 ↔ 경북대학교 정문 ↔ 복현2동 ↔ 엑스코 ↔ 산격대교 ↔ 동·서변동 ↔ 연경동 ↔ 연경체육공원 ↔ 파군재 ↔ 봉무동
지질
[편집]연경도약대암장은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 신라 역암층 지층으로 구성된다. 신라 역암층은 경상 누층군의 역암 지층으로 연경도약대암장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역암의 자갈들을 관찰할 수 있다. 대구 지질도폭(1928)에 의하면 신라 역암층은 주로 역암으로 구성되며 두께는 200~600 m이다. 주향은 북동, 경사는 남동으로 10 내지 30°이다.[5] 대구광역시 북부의 신라 역암층은 대체로 잔자갈역암(pebble)에 속하며 대부분의 자갈은 아원형이다. 자갈은 주로 규암, 사암, 편마암, 응회암으로 구성되며 셰일, 석영맥, 화강암, 규장암, 처트의 역이 소량 포함된다. 이 역들의 근원지는 퇴적분지의 북서쪽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6]
사진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다만, 행정 구역 상으로는 지묘동에 위치한다.
- ↑ 가 나 “[한국의 암벽 대구 연경동 (지묘동) 암장] 밤에도 불 켜놓고 등반하는 암장을 아세요?”. 월간산. 2015년 6월 24일.
- ↑ “대구 연경동 도약대”. ROCK PROJECT TOUR - 락 프로젝트 투어.
- ↑ “[동호동락-암벽등반을 즐겨보자] 연경 도약대 암벽장”. 《매일신문》. 2015년 3월 26일.
- ↑ 타테이와 이와오 (1929년 (쇼와 4년)). “朝鮮地質圖 第4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 ↑ 허민 (1990년 2월). “Sedimentary Texture and Provenance of the Cretaceous Silla Conglomerate in Daegu Area, Korea (大邱 地域 白堊紀 新羅礫岩의 組織과 根源地)”. 《대한지질학회》 26 (1):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