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꾹저구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꾹저구탕
다른 이름뚜거탕, 뚜거리탕, 뚜구리탕, 뿌구리탕
원산지강원도 강릉
주요 재료꾹저구
음식 에너지
(서빙 기준)
[단위 변환: %s]%s

꾹저구탕은 민물고기인 꾹저구고추장 등 갖은 양념과 함께 얼큰하게 끓여낸 강원도 영동지방의 향토음식이다. 과거 영동지역 주민들이 집집마다 즐겨먹었는데 가정의 장맛과 함께 주부의 음식솜씨를 알아보는 척도라고 하였다. 최근에는 어획량 감소로 일부지역 음식점을 제외하고는 먹기가 쉽지 않다.[1]

꾹저구

꾹저구는 강바닥에 붙어사는 농어목 망둑어과 민물고기로, 강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기수역에 많이 서식한다. 강릉 남대천연곡천, 양양 남대천, 삼척 오십천영동지역 하천에서 두루 발견할 수 있었는데 하천 오염이 심해지면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찾기 어려워졌다. 과거 이 지역 주민들의 꾹저구에 대한 애착이 대단해서 강릉 남대천을 살리겠다는 사람들의 모임을 "꾹저구회"라고 하기도 했다.[2]

꾹저구탕은 들어가는 재료와 만드는 법이 단순하여 장맛이 전체 맛을 좌우한다. 먼저 꾹저구를 손질해서 소금물에 여러차례 씻어 진을 빼고 끓는 물에 넣는다. 고추, , 마늘 등을 썰어 넣고 고추장을 더해 푹 끓여낸다. 생선 가시가 억세지 않아 국자로 푹푹 눌러주면 형체 없이 으스러지는데, 이렇게 하면 국물이 걸쭉해지면서 맛이 진해지고 구수해진다.[2] 일부 지역에서는 추어탕처럼 꾹저구를 체에 갈아 끓이기도 한다.[3]

역사

[편집]

꾹저구라는 이름은 관동별곡으로 유명한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최고봉 송강 정철(鄭澈)강릉 연곡지역을 방문했을 때 주민들이 대접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당시 지역 현감관찰사를 대접하기 위해 음식을 준비하도록 명했는데 날씨 때문에 바다에 배가 나가지 못해 마땅한 음식을 준비하지 못했다. 주민들이 궁여지책으로 연곡천에서 민물고기를 잡아 을 끓여 올렸는데 송강은 "그 맛이 시원하고 담백하다"며 "이 탕을 대체 무슨 고기로 끓였느냐"고 물었다. 이때까지 이름조차 모르고 잡아먹던 고기라 말문을 열지 못하던 주민들은 "저구새가 '꾹' 집어 먹은 고기"라고 답하자, 송강 선생이 "그러면 앞으로 이 고기를 '꾹저구'라 하면 되겠다"라고 하여 꾹저구가 되었다고 한다. 연곡천변 음식점에서 학식있는 촌로들이 꾹저구탕을 시켜놓고 송강 가사의 한 구절을 읊조리는 것이 이 때문이라 한다.[4]

강호(江湖)에 병이 깁퍼 죽림(竹林)의 누엇더니, 관동(關東) 팔백리에 방면(方面)을 맛디시니, 어와 성은(聖恩)이야 가디록 망극하다

과거 영동지방의 가정에서 두루 먹었던 것으로 보인다. 1973년 10월 13일자 조선일보에는 "별미진미 강릉 꾹저구탕"이라는 제목의 칼럼으로 꾹저구탕을 소개하였는데, "가정에서는 그 집의 장맛과 주부의 요리솜씨에 따라 맛이 다르다"며 "최근에는 식당에서 팔아 고유의 맛을 잃어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5] 1990년대 꾹저구 잡이가 마을 학생들의 좋은 용돈 벌이였을 정도로 꾹저구 음식점이 번성했다가, 2020년대에는 강릉양양지역 일부 식당만이 그 명맥만 유지할 정도로 희귀한 음식이 되었다.[6]

참고 문헌

[편집]
  1. “꾹저구탕 (꾹저구湯)”.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향토밥상] 담백한 장맛에 깔끔한 뒷맛…감자밥과 ‘찰떡궁합’”. 농민신문. 2023년 8월 28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3. “송강 정철이 반한 담백하면서 비리지 않은, 꾹저구탕”. 《지역N문화》.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4. “[한국의 맛](45) 강릉 꾹저구탕”. 경향신문. 2003년 10월 1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5. “別味珍味(별미진미) 58 江陵(강릉) 「꾹저구탕」”. 조선일보. 1973년 10월 13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 
  6. ““끝~내줘요” 그래서 꾹저구탕...송강 정철도 반한 맛”. 한겨례. 2024년 8월 2일. 2025년 10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