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카라과-대한민국 관계
![]() | |
![]() 니카라과 |
![]() 대한민국 |
---|---|
외교 공관 | |
주유엔 니카라과 대표부 (겸임, 미국 뉴욕 소재) | 주니카라과 대한민국 대사관 |
사절 | |
대사 | 대사 |
니카라과와 대한민국은 1962년 1월 26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연혁
[편집]- 1962년 외교 관계 수립
역사
[편집]두 나라는 1962년에 수교에 합의하였으나, 1979년 8월에 니카라과에서 친사회주의 성향 산디니스타 국민해방전선의 등장과 소모사가 독재 정권이 퇴진하게 되면서 외교 관계가 동결되었다. 이는 당시 산디니스타 아래 니카라과가 사회주의 이념을 표방하며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쿠바 등과 우호적으로 지냈던 점과 무관하지 않다.[1][2] 그 뒤 니카라과는 1979년 남한과 외교 관계를 동결하고 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이후 1990년 8월에 비올레타 차모로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외교 관계를 회복하였다.[3][4] 대한민국은 1997년에, 니카라과는 1995년에 상주공관을 서로 설치하였다. 김대중 정부 시절이던 2000년에는 아르놀도 알레만 대통령 내외가 한국을 국빈 방문한 적이 있다.[5][6]
1997년에 대사관을 폐쇄한 적이 있는 니카라과는, 2014년에 대한민국 주재 대사관을 재개관했다. 그러나 니카라과 정부는 2024년 4월 23일에 발행된 관보를 통해 세니아 루트 아르세 세페다(Zhenia Ruth Arce Zepeda)를 대한민국 주재 니카라과 대사로 임명했던 결정을 2024년 4월 17일을 기해 철회한다고 밝혔는데 아르세 세페다는 2023년 5월에 대한민국 주재 니카라과 대사로 임명되어 같은 해 10월 17일에 윤석열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했었다. 또한 니카라과 정부는 2024년 4월 24일에 대한민국 외교부에 재정 문제를 이유로 대한민국 주재 대사관을 폐쇄하겠다고 통보했고 2024년 5월을 기해 정식 폐쇄했다. 이는 니카라과의 다니엘 오르테가 정부의 인권 침해와 민주주의 훼손에 대한 미국과 유럽 연합의 제재에 따른 경제 상황 악화, 니카라과와 반미주의 노선을 공유한다는 점 때문에 밀착 관계에 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공관 상호 개설 합의 등에 따른 후속 조치로 해석되었다.[7] 대한민국 정부는 2024년 7월에 민재훈 당시 니카라과 주재 대사를 본국으로 급히 귀국시켰고 니카라과 주재 대사관을 임시대리대사 체제로 전환했다.[8] 니카라과 정부는 2024년 8월에 하이메 에르미다 카스티요(Jaime Hermida Castillo) 미국 뉴욕 유엔 본부 주재 니카라과 대사를 대한민국 주재 비상주 니카라과 대사로 임명했다.[9][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errios, Ruben (1985). “Relations between Nicaragua and the Socialist Countries”. 《Journal of Interamerican Studies and World Affairs》 27 (3): 111–139. doi:10.2307/165602. ISSN 0022-1937.
- ↑ Toussaint, Eric; Legrand, Nathan (2024년 4월 28일). “Nicaragua 1979-2019” (영어).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한국경제티브이 (2024년 4월 24일). “니카라과 10년만에 주한대사관 다시 폐쇄재정상황 악화종합”.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한국과의 관계 상세보기|니카라과 동향주니카라과 대한민국 대사관”.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2024 니카라과 개황 상세보기|니카라과 개관주니카라과 대한민국 대사관”.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알레만」니카라과대통령 내외 국빈방한”.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단독]니카라과, 10년만에 한국대사관 철수…최근 북-중-러와 밀착”. 《동아일보》. 2024년 4월 24일. 2024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단독] 니카라과 남북 외교전... 외교부 중남미 국장 경질 내막”. 《주간조선》. 2025년 6월 14일. 2025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Nombran a Jaime Hermida Castillo como embajador en Corea del Sur”. 《100% Noticias》 (스페인어). 2024년 8월 2일. 2025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니카라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