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관계
보이기
![]() | |
![]() 대한민국 |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
---|---|
외교 공관 | |
주아세안 대한민국 대표부 | 상주 대표부 없음 |
사절 | |
대사 이장근 | 없음 |
대한민국과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89년 11월에 부분 대화 관계에 합의하였다. 대한민국은 아세안 회원국들과 모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상세
[편집]대한민국과 아세안은 1989년 부분 대화 관계 합의 이후에 지속적으로 상호 관계를 발전시켰다. 1991년에는 완전 대화 관계, 1997년에는 최초로 아세안+3, 한-아세안 정상회담을 가졌다. 2006년 및 2007년에 한-아세안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으며,[1] 2009년에는 한-아세안 센터를 출범시켰다.[2]
국제협력에 있어서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메콩 정상회의를 통해서 한국과 아세안의 공동이익을 구체화시키고 있다.[3][4] 그리고 아세안+3를 통해서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간 연결을 촉진 중에 있다.
안보 측면에서는 아세안 지역 포럼을 통해서 남한과 북한이 모두 참여하는 다자주의 안보 포럼을 운영 중에 있다.[5] 또한 대한민국과 아세안은 북핵에 대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위반이라는 공동 입장을 취하고 있다.
2011년에 한국은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에 주아세안 상주대표부를 설치하였고[6], 2019년에는 기존 남아시아태평양국 아세안협력과를 아세안국으로 격상시키며 그 기능과 권한을 강화하였다.[7] 2023년에는 한-아세안 연대구상을 발표하며, 한국과 아세안 간 정치 및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인다.[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FTA 강국, KOREA”. 2024년 5월 5일에 확인함.
- ↑ “센터소개 > 기관소개 > 한-아세안센터 > 홈”. 2024년 5월 5일에 확인함.
- ↑ “상세 : 언론보도 < 성과 모아보기 < 경제외교성과 | PresidentVisit”. 2024년 5월 5일에 확인함.
- ↑ 대통령실, 대한민국. “게시글 상세 페이지 | 대통령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4년 5월 5일에 확인함.
- ↑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 상세보기|아세안 주요회의체주아세안 대한민국 대표부”. 2024년 5월 5일에 확인함.
- ↑ 뉴스, SBS. “MB "주아세안 대표부 설치"”. 2024년 5월 5일에 확인함.
- ↑ “외교부, 아세안 전담국 신설…주아세안 대표부 유엔수준 격상”. 2024년 5월 5일에 확인함.
- ↑ 최인아; 장한별 (2023년 5월).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의 주요 내용과 대아세안 협력 전망”.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14.
![]() |
이 글은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아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