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팔레스타인 관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팔레스타인 관계
대한민국 및 팔레스타인의 위치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팔레스타인의 국기
팔레스타인
외교 공관
주팔레스타인 대한민국 대표사무소주일본 팔레스타인 상주총대표부 (겸임)
사절
대표사무소장 전규석대표 왈리드 시암

대한민국팔레스타인 양국은 2025년 현재 미수교 상태이다. 이는 팔레스타인의 국제적 승인과 관련된 복잡한 국제 정세에 기인한 상황이다. 다만 팔레스타인이 1989년 독립을 선언한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를 팔레스타인의 유일합법 대표기구로 인정한 상태이다.[1][2][3][4][5]

2012년 팔레스타인의 유엔총회 옵저버 국가 승격 결의안에서는 대한민국은 기권하였다. 2015년 팔레스타인 외교부장관 리아드 말키는 한국의 팔레스타인 국가승인을 요청하기도 하였다.[6] 한국은 유엔 총회 및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회의에서 팔레스타인 관련 결의안에 기권표를 던지고 있다.[7][8][9][10] 그러나 2023년부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유엔 총회에서 처음으로 팔레스타인 유엔 회원국 지위 부여에 대한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다.[11][12][13] 동시에 한국은 팔레스타인에 무상원조, 행정 및 기술 지원, 의료 보건 등 인도주의에 기반한 다양한 공여 및 원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14][15][16][17]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주팔레스타인 대한민국 대표사무소가 팔레스타인에 관한 외교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팔레스타인 정부에서는 주일본 팔레스타인 상주총대표부가 대한민국에 관한 외교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역사

[편집]

1988년 11월 15일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PLO) 의장이 독립국 창설 선언과 동시에 전세계에 자국의 국가 승인을 요청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외교부는 11월 29일 최광수 외무부장관 명의 메시지를 발표, 유엔결의에 따른 팔레스타인인의 민족자결권과 독립국가 수립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였다.[18]

그러나 국가승인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이스라엘, 아랍권 국가들과의 관계를 고려해 보류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그해 말 제43차 유엔 총회를 계기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 회원국이 82개국으로 늘자, 박쌍용 유엔대사를 비롯한 외교가 내에서 국가 승인을 긍정적으로 검토하자는 목소리가 제기되었으나, 외교부는 국가 선포는 환영하되 승인은 하지 않는 당초의 입장을 유지하게 되었으며, 대사관 설치나 정부인사 교류는 제한적이되 실질 협력관계는 이어가게 되었다.[18]

1993년 9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이스라엘 간에 체결된 오슬로 협정을 계기로 대한민국은 일명 '두 국가 해법'을 일관되게 지지히였으며 이를 저해하는 모든 조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있다.[19] 1997년 권오기 통일부총리가 대한민국 정부인사로는 처음으로 팔레스타인을 방문하였으며, 1999년 1월 25일 김종필 국무총리가 정부 고위인사로는 최초로 방문해 야세르 아라파트 자치정부수반과 회담을 가졌다.[20]

2024년 4월 19일 팔레스타인유엔 정회원국 가입 문제에 관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서 이사국 15개국 중 하나로 대한민국이 찬성표를 던졌으나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부결되었다.[21] 그러나 이듬해 2025년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침공을 계기로 영국캐나다 등 서방국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이 잇따른 가운데, 조현 외교부 장관은 "두 국가 해법 실현에 진정 도움이 될 시점에 팔레스타인국을 승인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다시금 신중론을 표했다.[2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외교부. “2021 팔레스타인 개황 상세보기|외교간행물 | 외교부”. 2023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 중동1과,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 (2016년 1월).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 중동1과] 팔레스타인 개황 : 2016. 2”.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7): 0–0. 
  3. Cohen, Yaacov (2006). “The Improvement in Israeli-South Korean Relations”. 《Jewish Political Studies Review》 18 (1/2): 105–118. ISSN 0792-335X. 
  4.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독립국 선언[이진숙]”. 1988년 11월 15일. 2023년 10월 30일에 확인함. 
  5. “[외교문서]격론 끝 이상한 절충…6共의 팔레스타인 논쟁”. 2020년 3월 31일. 2023년 10월 30일에 확인함. 
  6. 기자, 이재호 (2015년 2월 13일). "한국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해주길". 2023년 10월 30일에 확인함. 
  7. “하마스-이스라엘 분쟁, 한국은 누구 편일까? [송현서의 디테일]”. 202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8. "한국 정부, 팔레스타인 민간인 보호 결의안 기권...무책임한 선택". 2018년 6월 17일. 202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9. “팔레스타인, 유엔 ‘옵저버 국가’로 격상...한국은 기권”. 2012년 11월 30일. 2023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0. 정규득 (2012년 11월 30일). “팔레스타인, 유엔 `옵서버 국가'로 격상(종합2보)”. 2023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1. “At Emergency Special Session, General Assembly Overwhelmingly Backs Membership of Palestine to United Nations, Urges Security Council Support Bid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2024년 5월 15일에 확인함. 
  12. Wonju, Yi (2024년 4월 19일). “S. Korea supports resolution backing U.N. membership of Palestine” (영어). 2024년 5월 15일에 확인함. 
  13. linapark (2024년 5월 13일). “Both North and South Korea back UN resolution calling for Palestinian membership | NK News” (미국 영어). 2024년 5월 15일에 확인함. 
  14. “한국, 팔레스타인•파키스탄에 행정, 환경 지원”. 202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15. “‘팔레스타인’ 구하기 74억弗 원조…한국은 2000만弗”. 2007년 12월 18일. 202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16. 국무조정실. “팔레스타인 상처를 치유할 ‘코리아 보건소’ 개원”. 202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17. 참여연대 (2009년 1월 23일). “[외교부] '가자사태'관련 2차 공개질의서에 대한 답변 - 참여연대 -”. 202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18. 홍제표 (2020년 3월 31일). “[외교문서] 격론 끝 이상한 절충…6共의 팔레스타인 논쟁”. 노컷뉴스.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19. 이재호 (2025년 8월 14일). “외교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그런다고 가자지구 문제 해결되나". 프레시안.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20. 신삼호 (1999년 1월 25일). “김총리, 인도 중동순방 의미”. 연합뉴스.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21. 김지연; 이지헌 (2024년 4월 19일). “안보리, 팔레스타인 유엔 정회원국 가입안 부결…美 거부권 행사(종합2보)”. 연합뉴스.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22. “조현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두 국가 해법’ 도움 될 시점에””. 세계일보. 2025년 9월 24일.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