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부산광역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부산광역시

← 2012년
2017년 5월 9일
2022년 →

 
후보 문재인 홍준표
정당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득표수 872,127 720,484
득표율 38.71% 31.98%

 
후보 안철수 유승민
정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득표수 378,907 162,480
득표율 16.82% 7.21%

선거전 대통령

황교안 (권한대행)
무소속

대통령 당선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부산광역시 지역 개표 결과이다.

개표 결과

[편집]

중구

[편집]
유권자수: 40,448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홍준표 자유한국당 10,684표
37.47%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9,918표
34.78%
안철수 국민의당 4,675표
16.39%
유승민 바른정당 1,845표
6.47%
심상정 정의당 1,274표
4.46%
조원진 새누리당 47표
0.16%
김민찬 무소속 18표
0.06%
김선동 민중연합당 14표
0.04%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11표
0.03%
이경희 한국국민당 7표
0.02%
오영국 경제애국당 4표
0.01%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3표
0.01%
윤홍식 홍익당 9표
0.03%
합계 28,509표

서구

[편집]
유권자수: 98,536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홍준표 자유한국당 26,360표
37.04%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24,522표
34.46%
안철수 국민의당 11,868표
16.68%
유승민 바른정당 4,913표
6.90%
심상정 정의당 3,131표
4.40%
조원진 새누리당 77표
0.10%
김민찬 무소속 77표
0.10%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70표
0.09%
윤홍식 홍익당 51표
0.07%
김선동 민중연합당 32표
0.04%
이경희 한국국민당 25표
0.03%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14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8표
0.01%
합계 71,148표

동구

[편집]
유권자수: 79,720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홍준표 자유한국당 22,188표
38.20%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19,606표
33.75%
안철수 국민의당 9,815표
16.89%
유승민 바른정당 3,606표
6.20%
심상정 정의당 2,589표
4.45%
조원진 새누리당 65표
0.11%
김민찬 무소속 62표
0.10%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47표
0.08%
윤홍식 홍익당 31표
0.05%
김선동 민중연합당 21표
0.03%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19표
0.03%
이경희 한국국민당 19표
0.03%
오영국 경제애국당 14표
0.02%
합계 58,082표

영도구

[편집]
유권자수: 109,885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30,094표
38.75%
홍준표 자유한국당 25,345표
32.63%
안철수 국민의당 13,082표
16.84%
유승민 바른정당 5,375표
6.92%
심상정 정의당 3,416표
4.39%
김민찬 무소속 82표
0.10%
조원진 새누리당 78표
0.10%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51표
0.06%
김선동 민중연합당 46표
0.05%
윤홍식 홍익당 45표
0.05%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21표
0.02%
이경희 한국국민당 15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9표
0.01%
합계 77,659표

부산진구

[편집]
유권자수: 323,551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95,042표
38.76%
홍준표 자유한국당 79,545표
32.44%
안철수 국민의당 40,636표
16.57%
유승민 바른정당 16,855표
6.87%
심상정 정의당 12,045표
4.91%
조원진 새누리당 309표
0.12%
김민찬 무소속 224표
0.09%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146표
0.05%
김선동 민중연합당 121표
0.04%
윤홍식 홍익당 111표
0.04%
이경희 한국국민당 49표
0.01%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45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25표
0.01%
합계 245,153표

동래구

[편집]
유권자수: 229,464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67,947표
37.65%
홍준표 자유한국당 59,616표
33.03%
안철수 국민의당 30,208표
16.73%
유승민 바른정당 13,211표
7.32%
심상정 정의당 8,812표
4.88%
조원진 새누리당 196표
0.10%
김민찬 무소속 169표
0.09%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82표
0.04%
김선동 민중연합당 80표
0.04%
윤홍식 홍익당 65표
0.03%
이경희 한국국민당 32표
0.01%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26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25표
0.01%
합계 180,469표

남구

[편집]
유권자수: 233,838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68,566표
37.83%
홍준표 자유한국당 59,137표
32.63%
안철수 국민의당 30,943표
17.07%
유승민 바른정당 13,029표
7.19%
심상정 정의당 8,780표
4.84%
조원진 새누리당 226표
0.12%
김민찬 무소속 174표
0.09%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98표
0.05%
윤홍식 홍익당 92표
0.05%
김선동 민중연합당 72표
0.03%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32표
0.01%
이경희 한국국민당 29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27표
0.01%
합계 181,205표

북구

[편집]
유권자수: 258,693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83,611표
41.22%
홍준표 자유한국당 61,175표
30.16%
안철수 국민의당 32,712표
16.13%
유승민 바른정당 14,567표
7.18%
심상정 정의당 9,862표
4.86%
김민찬 무소속 233표
0.11%
조원진 새누리당 213표
0.10%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124표
0.06%
윤홍식 홍익당 95표
0.04%
김선동 민중연합당 93표
0.04%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48표
0.02%
이경희 한국국민당 39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24표
0.01%
합계 202,796표

해운대구

[편집]
유권자수: 344,624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102,106표
38.39%
홍준표 자유한국당 80,904표
30.42%
안철수 국민의당 48,325표
18.17%
유승민 바른정당 20,918표
7.86%
심상정 정의당 12,573표
4.72%
조원진 새누리당 428표
0.16%
김민찬 무소속 225표
0.08%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124표
0.04%
윤홍식 홍익당 115표
0.04%
김선동 민중연합당 99표
0.03%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53표
0.01%
이경희 한국국민당 51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31표
0.01%
합계 265,952표

기장군

[편집]
유권자수: 124,123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39,412표
41.90%
홍준표 자유한국당 26,556표
28.23%
안철수 국민의당 15,909표
16.91%
유승민 바른정당 6,775표
7.20%
심상정 정의당 4,988표
5.30%
조원진 새누리당 107표
0.11%
김민찬 무소속 95표
0.10%
윤홍식 홍익당 58표
0.06%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54표
0.05%
김선동 민중연합당 43표
0.04%
이경희 한국국민당 20표
0.02%
오영국 경제애국당 17표
0.01%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16표
0.01%
합계 94,050표

사하구

[편집]
유권자수: 280,843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82,452표
39.09%
홍준표 자유한국당 65,252표
30.93%
안철수 국민의당 36,713표
17.40%
유승민 바른정당 14,958표
7.09%
심상정 정의당 10,664표
5.05%
조원진 새누리당 225표
0.10%
김민찬 무소속 215표
0.10%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138표
0.06%
윤홍식 홍익당 85표
0.04%
김선동 민중연합당 71표
0.03%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66표
0.03%
이경희 한국국민당 63표
0.02%
오영국 경제애국당 25표
0.01%
합계 210,927표

금정구

[편집]
유권자수: 209,881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60,169표
36.82%
홍준표 자유한국당 54,418표
33.30%
안철수 국민의당 26,729표
16.36%
유승민 바른정당 13,143표
8.04%
심상정 정의당 8,188표
5.01%
조원진 새누리당 190표
0.11%
김민찬 무소속 159표
0.09%
김선동 민중연합당 103표
0.06%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99표
0.06%
윤홍식 홍익당 91표
0.05%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35표
0.02%
이경희 한국국민당 33표
0.02%
오영국 경제애국당 13표
0.00%
합계 163,370표

강서구

[편집]
유권자수: 88,518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30,783표
44.99%
홍준표 자유한국당 18,711표
27.34%
안철수 국민의당 10,629표
15.53%
유승민 바른정당 4,875표
7.12%
심상정 정의당 3,154표
4.60%
조원진 새누리당 64표
0.09%
김민찬 무소속 59표
0.08%
윤홍식 홍익당 39표
0.05%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34표
0.04%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21표
0.03%
김선동 민중연합당 20표
0.02%
이경희 한국국민당 19표
0.02%
오영국 경제애국당 9표
0.01%
합계 68,417표

연제구

[편집]
유권자수: 175,265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52,454표
38.25%
홍준표 자유한국당 44,221표
32.25%
안철수 국민의당 23,321표
17.00%
유승민 바른정당 9,900표
7.22%
심상정 정의당 6,745표
4.91%
조원진 새누리당 130표
0.09%
김민찬 무소속 105표
0.07%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59표
0.04%
윤홍식 홍익당 55표
0.04%
김선동 민중연합당 53표
0.03%
이경희 한국국민당 27표
0.01%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20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15표
0.01%
합계 137,105표

수영구

[편집]
유권자수: 154,637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43,702표
36.82%
홍준표 자유한국당 39,832표
33.56%
안철수 국민의당 20,319표
17.11%
유승민 바른정당 8,414표
7.08%
심상정 정의당 5,952표
5.01%
조원진 새누리당 171표
0.14%
김민찬 무소속 91표
0.07%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70표
0.05%
윤홍식 홍익당 47표
0.03%
김선동 민중연합당 38표
0.03%
이경희 한국국민당 22표
0.01%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18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10표
0.00%
합계 118,686표

사상구

[편집]
유권자수: 198,198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61,743표
41.38%
홍준표 자유한국당 46,540표
31.19%
안철수 국민의당 23,023표
15.43%
유승민 바른정당 10,096표
6.76%
심상정 정의당 7,156표
4.79%
김민찬 무소속 168표
0.11%
조원진 새누리당 125표
0.08%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109표
0.07%
김선동 민중연합당 75표
0.05%
윤홍식 홍익당 52표
0.03%
이경희 한국국민당 46표
0.03%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28표
0.01%
오영국 경제애국당 20표
0.01%
합계 149,181표

전체 결과

[편집]
유권자수: 2,950,224명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872,127표
38.71%
홍준표 자유한국당 720,484표
31.98%
안철수 국민의당 378,907표
16.82%
유승민 바른정당 162,480표
7.21%
심상정 정의당 109,329표
4.85%
조원진 새누리당 2,651표
0.11%
김민찬 무소속 2,156표
0.09%
장성민 국민대통합당 1,316표
0.05%
윤홍식 홍익당 1,041표
0.04%
김선동 민중연합당 981표
0.04%
이경희 한국국민당 496표
0.02%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465표
0.02%
오영국 경제애국당 276표
0.01%
합계 2,252,709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8,71%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부산광역시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3당합당 이후 민주당계 정당이 부산광역시에서 거둔 첫번째 승리가 되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31.98%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부산광역시는 그동안 보수정당에 강한 지지세를 몰아주며 이전 대선에서 이회창, 이명박, 박근혜 후보에게 과반 이상의 득표율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그에 한참 못미치는 약 32%의 득표율을 얻으며 보수정당에 대한 민심의 변화를 경험해야 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16.82%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 안철수 후보는 2위인 홍준표 후보와 큰 격차가 나면서 득표율 15%를 넘기는데 그쳤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7.21%의 득표율로 4위에 자리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85%의 득표율로 5위를 차지했다.

주요 후보 결과

[편집]
지역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중구 9,918 34.78% 10,684 37.47% 4,675 16.39% 1,845 6.47% 1,274 4.46%
서구 24,522 34.46% 26,360 37.04% 11,868 16.68% 4,913 6.90% 3,131 4.40%
동구 19,606 33.75% 22,188 38.20% 9,815 16.89% 3,606 6.20% 2,589 4.45%
영도구 30,094 38.75% 25,345 32.63% 13,082 16.84% 5,375 6.92% 3,416 4.39%
부산진구 95,042 38.76% 79,545 32.44% 40,636 16.57% 16,855 6.87% 12,045 4.91%
동래구 67,947 37.65% 59,616 33.03% 30,208 16.73% 13,211 7.32% 8,812 4.88%
남구 68,566 37.83% 59,137 32.63% 30,943 17.07% 13,029 7.19% 8,780 4.84%
북구 83,611 41.22% 61,175 30.16% 32,712 16.13% 14,567 7.18% 9,862 4.86%
해운대구 102,106 38.39% 80,904 30.42% 48,325 18.17% 20,918 7.86% 12,573 4.72%
기장군 39,412 41.90% 26,556 28.23% 15,909 16.91% 6,775 7.20% 4,988 5.30%
사하구 82,452 39.09% 65,252 30.93% 36,713 17.40% 14,958 7.09% 10,664 5.05%
금정구 60,169 36.82% 54,418 33.30% 26,729 16.36% 13,143 8.04% 8,188 5.01%
강서구 30,783 44.99% 18,711 27.34% 10,629 15.53% 4,875 7.12% 3,154 4.60%
연제구 52,454 38.25% 44,221 32.25% 23,321 17.00% 9,900 7.22% 6,745 4.91%
수영구 43,702 36.82% 39,832 33.56% 20,319 17.11% 8,414 7.08% 5,952 5.01%
사상구 61,743 41.38% 46,540 31.19% 23,023 15.43% 10,096 6.76% 7,156 4.79%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원도심 지역인 중구, 서구, 동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어린시절을 지냈던 영도구에서는 원도심 지역에 속하는데도 승리를 하였다. 또한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였던 사상구와 기장군, 강서구 등 일부 지역에서는 2위인 홍준표 후보에 10%p 이상의 격차를 내면서 승리를 거두는 성과를 올렸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원도심 지역에 속하는 중구, 서구, 동구에서 승리했다. 다만 이들 지역에서도 5%p 미만의 격차로 승리하면서 부진하였으며 나머지 지역 중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문재인 후보에 5%p 이상의 격차로 패배하면서 부산광역시에서 참패를 기록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전 지역에서 3위를 차지했다. 안철수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득표율 15%를 달성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6~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전 지역 4위를 차지했다. 유승민 후보는 금정구에서 유일하게 8% 득표율을 넘으며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5%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전 지역 5위를 차지했다. 심상정 후보는 기장군, 수영구 등 일부 지역에서 5% 이상의 득표율을 달성했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